"Knuch2024-2:TeamA 기말 발표문"의 두 판 사이의 차이
KHS DH wiki
(→Class) |
(→Class) |
||
42번째 줄: | 42번째 줄: | ||
| 기록물 || 시, 보고서, 책, 문서 || | | 기록물 || 시, 보고서, 책, 문서 || | ||
|- | |- | ||
− | | 연혁 || || | + | | 연혁 || || 사건에 기반한 소록도 역사 연혁 |
|- | |- | ||
| 유물 || || | | 유물 || || | ||
48번째 줄: | 48번째 줄: | ||
| 사건 || || | | 사건 || || | ||
|- | |- | ||
− | | 기념일 || || | + | | 기념일 || || 사건에 기반한 기념일 |
|- | |- | ||
| 영화 || || | | 영화 || || |
2024년 12월 13일 (금) 16:33 판
연구 목적
내용
연구 내용
내용
연구 방법
내용
온톨로지 설계
Class
Class | Sub Class | Description |
---|---|---|
지역 | ||
장소 | 의료시설, 교육시설, 공장시설, 공원, 공용시설, 종교시설, 주거숙박시설, 면회장소, 교정시설, 보육시설, 격리장소, 병사지대, 다리, 기념시설 | |
조형물 | 반석, 기념비, 탑, 비석, 동상 | |
단체 | 사업회, 재단, 봉사단체, 시공회사, 환자조직, 조직, 지방자치단체, 카톨릭_단체, 자문기구, 의료과, 자원봉사단체 | |
인물 | 원장, 간호사, 환자, 의사, 목사, 국회의원, 교황, 시인 | |
기록물 | 시, 보고서, 책, 문서 | |
연혁 | 사건에 기반한 소록도 역사 연혁 | |
유물 | ||
사건 | ||
기념일 | 사건에 기반한 기념일 | |
영화 | ||
기관 | ||
병명 | ||
종교 | ||
시기 | ||
정책 | ||
자료 | ||
제도 | ||
행사 | ||
과제 | ||
분류 | ||
공연 | ||
방송 | ||
직업 | ||
법률 | ||
사업 | ||
자문결과 | ||
과제 | ||
계획 | ||
의료시설 | ||
의료기기 | ||
의료행위 | ||
다큐멘터리 | ||
자치대_건설부장 | ||
별명 | ||
한국이름 | ||
보육원 | ||
국가등록문화유산 |
Relation
Relation | Domain | Range | Description | sample |
---|---|---|---|---|
연구 데이터
Nodes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note |
---|
시맨틱 데이터 기반 디지털 큐레이션
소록도자혜의원 설립과 운영(1916~1932)
소록도자혜의원은 1916년 2월 24일 반포된 「조선총독부령 제7호」에 따라 설립되었다. 전라남도 고흥군 소록도는 한센병(나병) 환자들을 격리 치료하기 위한 나요양소로 지정되었으며, 이는 한센병 환자들에 대한 강제 격리 정책의 일환이었다. 이 시기 조선총독부는 일본 내에서 시행된 나요양소 모델을 조선에 도입해 한센병 환자들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치료하려 했다.
소록도자혜의원의 초대 원장은 아리카와 도오루로, 그는 1916년부터 1923년까지 병원을 운영하며 한센병 환자들의 치료와 관리를 담당했다. 그 뒤를 이어 하나이 젠키치가 2대 원장으로 부임(1923~1929)하였으며, 그는 소록도에서의 치료 환경 개선에 기여했다. 그의 공적을 기리는 창덕비가 세워졌다.
소록도의 운영 초기에 기독교 선교사들은 한센병 환자들의 복지와 신앙 활동에 적극 참여했다. 타나카 신자부로라는 목사는 소록도 환자들에게 종교적 위안을 제공했으며, 일부 환자들은 이를 통해 신앙을 받아들였다. 또한, 같은 시기 환자였던 미츠이 테루이치는 다른 환자들의 생활을 돕고 협력하며 공동체 안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1929년 조선총독부는 「국립요양소관제」를 도입하며 소록도자혜의원을 비롯한 나요양소들의 관리 체계를 강화했다. 이후 1931년에는 한센병 환자들을 지원하고 예방 정책을 추진하기 위해 나예방협회가 설립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소록도자혜의원의 기능과 영향력을 더욱 확대시켰다. 3대 원장인 야자와 준이치로(1929~1932)는 병원의 운영을 이어받아 환자 치료와 관리의 체계를 정비했다.
1916년부터 1932년까지 소록도자혜의원은 한센병 환자들의 치료와 격리뿐 아니라, 종교적·사회적 도움을 통해 환자들의 삶을 지원하는 복합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이러한 과정에서 조선총독부의 강제적 정책과 선교사 및 환자 개인들의 자발적 노력이 결합되어 소록도는 한센병 치료와 관련된 역사의 중요한 장으로 남게 되었다.
Digital Curation 2 : 주제
Digital Curation 3 : 주제
Digital Curation 4 : 주제
Digital Curation 5 : 주제
Digital Curation 6 : 주제
Digital Curation 7 : 주제
Digital Curation 8 : 주제
Digital Curation 9 : 주제
Digital Curation 10 : 주제
References
- 참고자료
- 참고자료
Comments
- 내용
- 내용
- 내용
- 내용
-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