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위

"익산 미륵사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KHS DH wiki

6번째 줄: 6번째 줄:
 
|주소=전북 익산시 금마면 기양리 32-2번지
 
|주소=전북 익산시 금마면 기양리 32-2번지
 
}}
 
}}
 +
 +
==정의==
 +
전북 익산시 금마면 기양리 32-2번지에 위치한 백제 무왕 시기 절터.
 +
 +
==내용==
 +
[[창경궁 통명전]]은 [[창경궁]] 내전의 으뜸전각으로 왕비의 침전이나 왕대비의 생활공간으로 사용되었다. 1484년(성종 15)에 처음 지었다가 [[임진왜란]]으로 불에 탄 것을 광해군 대에 다시 지었고, 1790년(정조 14)에 다시 불에 탔으나 1833년(순조 33) 통명전 오른쪽에 있는 양화당(養和堂)과 함께 다시 지었다.
 +
 +
규모는 앞면 7칸, 옆면 4칸이며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여덟 팔(八)자 모양을 한 팔작지붕이고, 지붕 위는 용마루가 없는데 현재 창경궁에 남아 있는 건물 중 유일하다. 공포는 새 날개 모양으로 뻗쳐 나온 재료 구성이 조선 중기 양식의 특징과 정결한 건물의 느낌을 잘 살리고 있다. 월대 위에 기단을 형성하고 그 위에 건물을 올렸으며, 잔치나 의례를 열 수 있는 넓은 마당에는 얇고 넓적한 박석(薄石)을 깔았다. 건물 왼쪽에는 동그란 샘과 돌난간을 두른 네모난 연못을 두었고, 건물 뒤쪽에는 작은 정원을 두었다.
 +
 +
통명전은 창경궁에 있던 내전 건물 중에서 가장 잘 남아 있는 건물로 19세기 건축 양식 연구에도 귀중한 자료가 된다.<ref>[https://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1121108180000 "창경궁 통명전"],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ref>
 +
 +
 +
==데이터(Data)==
 +
===노드(Node) 정보===
 +
{| class="wikitable" style="width:100%; word-break:break-all;"
 +
! style="width:15%;"|id !! style="width:10%;"|class !! style="width:15%;"|label !! style="width:30%;"|infoUrl !! style="width:30%;"|iconUrl
 +
|-
 +
| 익산_미륵사지 || 유적 || 익산_미륵사지 ||
 +
|}
 +
 +
 +
===공간 정보===
 +
{|class="wikitable" style="width:100%; word-break:break-all;"
 +
!style="width:5%px"|위도 || style="width:5%px"|경도 || style="width:90%px"|주소
 +
|-
 +
| 36.0124647 || 127.0307453 ||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 금마면 기양리 97
 +
|}
 +
 +
{{구글지도 | 위도= 36.0124647  | 경도=127.0307453| 줌=16 }}
 +
 +
 +
==시각자료==
 +
===갤러리===
 +
<gallery  mode=packed-hover heights=250px>
 +
파일:창경궁통명전 문화재청.jpg| 창경궁 통명전 전경<ref>[https://www.heritage.go.kr/heri/cul/imgHeritage.do?ccimId=6408139&ccbaKdcd=12&ccbaAsno=08180000&ccbaCtcd=11 "창경궁 통명전"],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ref>
 +
파일:창경궁통명전 내부현판순조어필 문화재청.jpg| 창경궁 통명전 현판(순조의 어필)<ref>[https://www.heritage.go.kr/heri/cul/imgHeritage.do?ccimId=1614024&ccbaKdcd=12&ccbaAsno=08180000&ccbaCtcd=11 "창경궁 통명전"],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ref>
 +
</gallery>
 +
 +
 +
==참고문헌==
 +
===Web Resource===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width:100%;"
 +
|-
 +
! Category !! Title !! Site !! Url
 +
|-
 +
| 사전 || 창경궁(昌慶宮)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55319
 +
|-
 +
| 사전 || 통명전(通明殿) || 위키실록사전 || https://dh.aks.ac.kr/sillokwiki/index.php/통명전(通明殿)
 +
|-
 +
| 해설 || 창경궁 통명전(昌慶宮 通明殿) || 국가유산포털 || https://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1121108180000
 +
|-
 +
| 사진 || 창경궁 통명전 전경 || 국가유산포털 || https://www.heritage.go.kr/heri/cul/imgHeritage.do?ccimId=6408139&ccbaKdcd=12&ccbaAsno=08180000&ccbaCtcd=11
 +
|-
 +
| 동영상 || [ Beautiful KOREA ] 3D 영상으로 보는 한국의 보물 / 창경궁 통명전 || Youtube || https://www.youtube.com/embed/DMnaWOQhFQY?si=JFQ8Mg74cIMuGEjM
 +
|-
 +
|}
 +
※ 사전, 해설, 참고, 기사, 잡지, 사진, 동영상 등
 +
 +
 +
===Bibliography===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width:100%;"
 +
|-
 +
! Category !! Title !! Site !! Url
 +
|-
 +
| 단행본 || 최동군, 『창덕궁·창경궁: 현판으로 읽다』, 담디, 2020. || 국립중앙도서관 || https://www.nl.go.kr/NL/contents/search.do?#viewKey=684932271&viewType=AH1
 +
|-
 +
| 단행본 || 김영봉 외, 『궁궐의 현판과 주련 2: 창덕궁 창경궁』, 수류산방, 2008. || 국립중앙도서관 || https://www.nl.go.kr/NL/contents/search.do?#viewKey=88039341&viewType=AH1
 +
|-
 +
| 논문 || 이재용, 「조선 후기 동궐(창덕궁·창경궁)의 원형 추정에 관한 연구-<동궐도>의 기하학적 재구성을 통하여-」, 박사학위논문,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유산전문대학원, 2019. || RISS || http://www.riss.kr/link?id=T15014786
 +
|-
 +
| 논문 || 최종희 외, 「창경궁 통명전, 관덕정 일원의 식생경관 보전관리를 위한 기초조사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4-3, 한국전통조경학회, 2006. || RISS || http://www.riss.kr/link?id=A75663827
 +
|-
 +
|}
 +
※ 단행본, 논문 등
 +
 +
----
 +
<references/>
  
 
[[분류:Knuch:박서은]]
 
[[분류:Knuch:박서은]]

2024년 11월 27일 (수) 01:01 판

익산 미륵사지
(益山 彌勒寺址)
한글 익산 미륵사지
한자 益山 彌勒寺址
주소 전북 익산시 금마면 기양리 32-2번지
유형 사적



정의

전북 익산시 금마면 기양리 32-2번지에 위치한 백제 무왕 시기 절터.

내용

창경궁 통명전창경궁 내전의 으뜸전각으로 왕비의 침전이나 왕대비의 생활공간으로 사용되었다. 1484년(성종 15)에 처음 지었다가 임진왜란으로 불에 탄 것을 광해군 대에 다시 지었고, 1790년(정조 14)에 다시 불에 탔으나 1833년(순조 33) 통명전 오른쪽에 있는 양화당(養和堂)과 함께 다시 지었다.

규모는 앞면 7칸, 옆면 4칸이며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여덟 팔(八)자 모양을 한 팔작지붕이고, 지붕 위는 용마루가 없는데 현재 창경궁에 남아 있는 건물 중 유일하다. 공포는 새 날개 모양으로 뻗쳐 나온 재료 구성이 조선 중기 양식의 특징과 정결한 건물의 느낌을 잘 살리고 있다. 월대 위에 기단을 형성하고 그 위에 건물을 올렸으며, 잔치나 의례를 열 수 있는 넓은 마당에는 얇고 넓적한 박석(薄石)을 깔았다. 건물 왼쪽에는 동그란 샘과 돌난간을 두른 네모난 연못을 두었고, 건물 뒤쪽에는 작은 정원을 두었다.

통명전은 창경궁에 있던 내전 건물 중에서 가장 잘 남아 있는 건물로 19세기 건축 양식 연구에도 귀중한 자료가 된다.[1]


데이터(Data)

노드(Node) 정보

id class label infoUrl iconUrl
익산_미륵사지 유적 익산_미륵사지


공간 정보

위도 경도 주소
36.0124647 127.0307453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 금마면 기양리 97




시각자료

갤러리


참고문헌

Web Resource

Category Title Site Url
사전 창경궁(昌慶宮)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55319
사전 통명전(通明殿) 위키실록사전 https://dh.aks.ac.kr/sillokwiki/index.php/통명전(通明殿)
해설 창경궁 통명전(昌慶宮 通明殿) 국가유산포털 https://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1121108180000
사진 창경궁 통명전 전경 국가유산포털 https://www.heritage.go.kr/heri/cul/imgHeritage.do?ccimId=6408139&ccbaKdcd=12&ccbaAsno=08180000&ccbaCtcd=11
동영상 [ Beautiful KOREA ] 3D 영상으로 보는 한국의 보물 / 창경궁 통명전 Youtube https://www.youtube.com/embed/DMnaWOQhFQY?si=JFQ8Mg74cIMuGEjM

※ 사전, 해설, 참고, 기사, 잡지, 사진, 동영상 등


Bibliography

Category Title Site Url
단행본 최동군, 『창덕궁·창경궁: 현판으로 읽다』, 담디, 2020. 국립중앙도서관 https://www.nl.go.kr/NL/contents/search.do?#viewKey=684932271&viewType=AH1
단행본 김영봉 외, 『궁궐의 현판과 주련 2: 창덕궁 창경궁』, 수류산방, 2008. 국립중앙도서관 https://www.nl.go.kr/NL/contents/search.do?#viewKey=88039341&viewType=AH1
논문 이재용, 「조선 후기 동궐(창덕궁·창경궁)의 원형 추정에 관한 연구-<동궐도>의 기하학적 재구성을 통하여-」, 박사학위논문,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유산전문대학원, 2019. RISS http://www.riss.kr/link?id=T15014786
논문 최종희 외, 「창경궁 통명전, 관덕정 일원의 식생경관 보전관리를 위한 기초조사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4-3, 한국전통조경학회, 2006. RISS http://www.riss.kr/link?id=A75663827

※ 단행본, 논문 등


  1. "창경궁 통명전",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2. "창경궁 통명전",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3. "창경궁 통명전",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