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위

"실습:무령왕릉 지석"의 두 판 사이의 차이

KHS DH wiki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7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6번째 줄: 16번째 줄:
  
 
==내용==
 
==내용==
이 지석은 백제 25대 왕인 무령왕과 왕비의 지석으로 2매이다. 이 2매의 지석은 왕과 왕비의 장례를 지낼 때 땅의 신에게 묘소로 쓸 땅을 사들인다는 문서를 작성하여 그것을 돌에 새겨넣은 매지권으로, 1971년 무령왕릉이 발견될 때 함께 출토되었다.
+
이 지석은 백제 25대 왕인 [[실습:무령왕 | 무령왕]]과 왕비의 지석으로 2매이다. 이 2매의 지석은 왕과 왕비의 장례를 지낼 때 땅의 신에게 묘소로 쓸 땅을 사들인다는 문서를 작성하여 그것을 돌에 새겨넣은 매지권으로, 1971년 무령왕릉이 발견될 때 함께 출토되었다.
  
 
왕의 지석은 가로 41.5㎝, 세로 35㎝이며, 표면에 5∼6㎝의 선을 만들고 그 안에 6행에 걸쳐 새겼다. 왕의 기록은『삼국사기』의 기록과 일치하고 있다. 뒷면에는 주위에 네모나게 구획선을 긋고 그 선을 따라 12방위를 표시하였는데, 무슨 이유인지는 알 수 없으나 서쪽 부분은 표시하지 않았다.
 
왕의 지석은 가로 41.5㎝, 세로 35㎝이며, 표면에 5∼6㎝의 선을 만들고 그 안에 6행에 걸쳐 새겼다. 왕의 기록은『삼국사기』의 기록과 일치하고 있다. 뒷면에는 주위에 네모나게 구획선을 긋고 그 선을 따라 12방위를 표시하였는데, 무슨 이유인지는 알 수 없으나 서쪽 부분은 표시하지 않았다.
27번째 줄: 27번째 줄:
 
==갤러리==
 
==갤러리==
 
===사진===
 
===사진===
<gallery mode="packed"  heights="250px" style="float:center">
+
<gallery mode="packed"  heights="500px" style="float:center">
 
파일:무령왕릉지석2.jpg | 무령왕릉 지석
 
파일:무령왕릉지석2.jpg | 무령왕릉 지석
 
</gallery>
 
</gallery>
65번째 줄: 65번째 줄:
 
! Category !! Title !! Site !! Url
 
! Category !! Title !! Site !! Url
 
|-
 
|-
| 사전 || 부여 석조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24412
+
| 해설 || 무령왕릉 지석 || 국가유산포털 || https://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pageNo=1_1_2_0&VdkVgwKey=11,01630000,34
 
|-
 
|-
| 사전 || 부여 석조 || 위키백과 || https://ko.wikipedia.org/wiki/부여_석조
+
| 사진 || 무령왕릉 지석 || 국가유산포털 || https://www.heritage.go.kr/heri/cul/imgHeritage.do?ccimId=1612295&ccbaKdcd=11&ccbaAsno=01630000&ccbaCtcd=34
 
|-
 
|-
| 사전 || 부여 석조 || 디지털부여문화대전 || https://www.grandculture.net/buyeo/toc/GC09000670
+
| 사전 || 무령왕릉 지석 || 위키백과 || https://ko.wikipedia.org/wiki/무령왕릉_지석
 
|-
 
|-
| 해설 || 보물 부여 석조 || 국가유산포털 || https://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1123401940000
+
| 영상 || 삼국 시대 무덤 중 유일하게 주인이 밝혀진 [무령왕릉] 차이나는 클라스(jtbclecture) 160회 || Youtube || https://www.youtube.com/watch?v=5QqIiJ7xyAk
 
|-
 
|-
| 사진 || 부여 석조 || 국가유산포털 || https://www.heritage.go.kr/heri/cul/imgHeritage.do?ccimId=1617596&ccbaKdcd=12&ccbaAsno=01940000&ccbaCtcd=34
 
|-
 
| 사진 || 석조 몸체의 훼손 상태 || 국가유산포털 || https://www.heritage.go.kr/heri/cul/imgHeritage.do?ccimId=1617598&ccbaKdcd=12&ccbaAsno=01940000&ccbaCtcd=34
 
|-
 
| 사진 || 석조 중대 || 국가유산포털 || https://www.heritage.go.kr/heri/cul/imgHeritage.do?ccimId=1617597&ccbaKdcd=12&ccbaAsno=01940000&ccbaCtcd=34
 
|-
 
| 동영상 || [ Beautiful KOREA ] 3D 영상으로 보는 한국의 보물 / 부여 석조 || Youtube|| https://www.youtube.com/watch?v=xn1Bk9e1L4o
 
 
|}
 
|}
 
※ 사전, 해설, 참고, 기사, 잡지, 사진, 동영상 등
 
※ 사전, 해설, 참고, 기사, 잡지, 사진, 동영상 등
 
  
 
===Bibliography===
 
===Bibliography===
89번째 줄: 81번째 줄:
 
! Category !! Title !! Site !! Url
 
! Category !! Title !! Site !! Url
 
|-
 
|-
| 단행본 || 국립중앙박물관, 『금석문자료 1 - 삼국시대』, 국립중앙박물관, 2010. || RISS || https://www.riss.kr/link?id=M12814018
+
| 논문 || 한영화, 『무령왕릉 출토 誌石의 성격과 諡號 문제』, 호서사학회, 2021. || DBpia ||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10663672
|-
+
|-  
| 단행본 || 진홍섭, 『한국불교미술』, 문예출판, 1998. || RISS || https://www.riss.kr/link?id=M3874447
+
| 논문 || 장수남, 『백제 무령왕릉 지석의 ‘安登冠大墓’ 재해석』, 호서사학회, 2011. || DBpia ||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1722277
|-
 
| 단행본 || 한국문화재보호협회, 『문화재대관 6 - 보물 4』, 대학당, 1986. || RISS ||  https://www.riss.kr/link?id=M5706020
 
|-
 
| 단행본 || 정영호, 『국보 7 - 석조』, 예경산업사, 1983. || RISS ||  https://www.riss.kr/link?id=M5750923
 
 
|-
 
|-
| 논문 || 한정호, 「백제 석조의 성격과 미륵신앙」, 『미술사학연구』 306, 한국미술사학회, 2020. || KCI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600689
+
| 논문 || 양만열, 『武寧王陵 誌石의 缺字 복원과 穿孔의 의미 考察 - 풍수지리적 관점에서 -』, 한국한문고전학회, 2024. || KISS || https://kiss.kstudy.com/ExternalLink/Ar?key=4101102
 
|-
 
|-
 
|}
 
|}
 
※ 단행본, 논문 등
 
※ 단행본, 논문 등
 
  
 
==주석==
 
==주석==

2024년 10월 5일 (토) 11:27 기준 최신판

무령왕릉 지석
(武寧王陵 誌石)
무령왕릉지석.jpg
한글 무령왕릉 지석
한자 武寧王陵 誌石
영어 Buried Memorial Tablets from the Tomb of King Muryeong
시대 백제
소장처 국립공주박물관
유형 지석
크기 가로 41.5cm, 세로 35cm
국가유산 종목 국보
국가유산 지정일 1974년 7월 9일



내용

이 지석은 백제 25대 왕인 무령왕과 왕비의 지석으로 2매이다. 이 2매의 지석은 왕과 왕비의 장례를 지낼 때 땅의 신에게 묘소로 쓸 땅을 사들인다는 문서를 작성하여 그것을 돌에 새겨넣은 매지권으로, 1971년 무령왕릉이 발견될 때 함께 출토되었다.

왕의 지석은 가로 41.5㎝, 세로 35㎝이며, 표면에 5∼6㎝의 선을 만들고 그 안에 6행에 걸쳐 새겼다. 왕의 기록은『삼국사기』의 기록과 일치하고 있다. 뒷면에는 주위에 네모나게 구획선을 긋고 그 선을 따라 12방위를 표시하였는데, 무슨 이유인지는 알 수 없으나 서쪽 부분은 표시하지 않았다.

다른 하나는 왕비의 지석인데 가로 41.5㎝, 세로 35㎝이며, 2.5∼2.8㎝ 폭으로 선을 긋고 4행에 걸쳐 새겼다. 선을 그은 부분은 13행이지만 나머지 부분은 공백으로 그대로 남겨 두었다. 뒷면에는 매지문(買地文:땅을 샀다는 문서)을 새겼다. 원래 매지권은 무령왕을 장사지낼 때 만들어진 것인데 그 후 왕비를 합장하였을 때 이 매지권의 뒷면을 이용하여 왕비에 관한 묘지문을 새겼던 것이다.

이 지석은 삼국시대의 능에서 발견된 유일한 매지권으로서 무덤의 주인공을 알 수 있게 한 것으로, 여기에는 당시 백제인들의 매장풍습이 담겨져 있어 매우 귀중한 자료로 평가되고 있다. 또한 무령왕릉에서 발견된 다른 유물들과 함께 6세기 초 백제와 중국 남조와의 문화적 교류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백제사 연구에 귀중한 자료가 된다.[1]


갤러리

사진


동영상


위치 정보



위도 경도 주소
36.4657682 127.112444 충청남도 공주시 관광단지길 34


관련 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실습:무령왕릉 지석 실습 국립공주박물관 A는 B에 소장되어있다.


참고문헌

Web Resource

Category Title Site Url
해설 무령왕릉 지석 국가유산포털 https://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pageNo=1_1_2_0&VdkVgwKey=11,01630000,34
사진 무령왕릉 지석 국가유산포털 https://www.heritage.go.kr/heri/cul/imgHeritage.do?ccimId=1612295&ccbaKdcd=11&ccbaAsno=01630000&ccbaCtcd=34
사전 무령왕릉 지석 위키백과 https://ko.wikipedia.org/wiki/무령왕릉_지석
영상 삼국 시대 무덤 중 유일하게 주인이 밝혀진 [무령왕릉] 차이나는 클라스(jtbclecture) 160회 Youtube https://www.youtube.com/watch?v=5QqIiJ7xyAk

※ 사전, 해설, 참고, 기사, 잡지, 사진, 동영상 등

Bibliography

Category Title Site Url
논문 한영화, 『무령왕릉 출토 誌石의 성격과 諡號 문제』, 호서사학회, 2021. DBpia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10663672
논문 장수남, 『백제 무령왕릉 지석의 ‘安登冠大墓’ 재해석』, 호서사학회, 2011. DBpia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1722277
논문 양만열, 『武寧王陵 誌石의 缺字 복원과 穿孔의 의미 考察 - 풍수지리적 관점에서 -』, 한국한문고전학회, 2024. KISS https://kiss.kstudy.com/ExternalLink/Ar?key=4101102

※ 단행본, 논문 등

주석

  1. 국보 무령왕릉 지석,『국가유산포털』, 국가유산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