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의 두 판 사이의 차이
KHS DH wiki
(→노드(Node) 정보) |
(→노드(Node) 정보) |
||
21번째 줄: | 21번째 줄: | ||
! style="width:15%;"|id !! style="width:10%;"|class !! style="width:15%;"|label !! style="width:30%;"|infoUrl !! style="width:30%;"|iconUrl | ! style="width:15%;"|id !! style="width:10%;"|class !! style="width:15%;"|label !! style="width:30%;"|infoUrl !! style="width:30%;"|iconUrl | ||
|- | |- | ||
− | | 추석 || 세시풍속 || 추석 || http://dhlab.aks.ac.kr/~hyunseung/wiki/index.php/추석 || https://img.icons8.com/ | + | | 추석 || 세시풍속 || 추석 || http://dhlab.aks.ac.kr/~hyunseung/wiki/index.php/추석 || https://img.icons8.com/fluency/48/korean-rice-cake.png |
|} | |} | ||
2024년 3월 27일 (수) 12:10 기준 최신판
추석 (秋夕) |
|
한글 | 추석 |
---|---|
한자 | 秋夕 |
이칭 | 한가위, 가위, 가배(嘉俳), 가배일(嘉俳日), 중추(中秋), 중추절(仲秋節), 중추가절(仲秋佳節) |
유형 | 세시풍속 |
정의
매년 음력 8월 15일을 뜻하는 우리나라의 명절이자, 국가무형문화재로 지정된 전통 생활관습 / 절기풍속이다.
내용
추석은 음력 8월 15일로, 수확기가 시작되는 '보름 명절'이라는 의미에서 예부터 중요하게 여겨졌다. 그동안 농사가 잘되게 해준 것을 감사하는 농공감사일(農功感謝日)이며, 곧 농사의 결실을 보게 되는 절일(節日)이다. 또한, 한 해 농사를 마무리하는 시기로서 이듬해 풍농(豐農)을 기린다는 깊은 의미가 있다.
수확의 달을 맞이해 추석에는 달맞이, 강강술래, 씨름, 송편 만들기 등의 세시풍속을 행했다.
데이터(Data)
노드(Node) 정보
id | class | label | infoUrl | iconUrl |
---|---|---|---|---|
추석 | 세시풍속 | 추석 | http://dhlab.aks.ac.kr/~hyunseung/wiki/index.php/추석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