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하나는 보이지 않습니다) |
28번째 줄: |
28번째 줄: |
| ===Photo=== | | ===Photo=== |
| [[파일: 여행사진.jpg|섬네일|가운데|여행사진]] | | [[파일: 여행사진.jpg|섬네일|가운데|여행사진]] |
− |
| |
− |
| |
− | ==중간과제 : 연구계획서==
| |
− | ===연구주제===
| |
− | 연구계획서의 주제는 "한국의 정(情) 문화에 대한 설명 방법" 입니다.
| |
− |
| |
− | ===문제의식===
| |
− |
| |
− | <html>
| |
− | <iframe width="703" height="395" src="https://www.youtube.com/embed/DYrY1E4-9NI" title="BIG Naughty (서동현) - 정이라고 하자 (Feat.10CM) (Official Live Clip)" frameborder="0" allow="accelerometer; autoplay; clipboard-write; encrypted-media; gyroscope; picture-in-picture" allowfullscreen></iframe>
| |
− | </html>
| |
− |
| |
− | ''그건 사랑이 아냐''
| |
− |
| |
− | ''그건 미련이 아냐''
| |
− |
| |
− | ''그냥 정이라고 하자''
| |
− |
| |
− | ''BIG Naughty(서동현)의 노래 <정이라고 하자 (Feat.10cm)> 가사의 일부''
| |
− |
| |
− | 2022년에 발매된 가사에 따르면, 정(情)은 사랑이 아니라고 말한다. 또한 우리는 "정 때문에 만난다."는 말을 하는 것을 보면, 정은 사랑으로 설명될 수 없는 한국의 독특한 문화임을 알 수 있다.
| |
− |
| |
− | 한국인은 어렸을 때부터 정(情)을 체감해왔기에 그것이 무엇인지 인지하고 있지만, 막 한국 문화를 공부하기 시작한 외국인에게 정을 설명하려고 하면 정말 어려워진다.
| |
− |
| |
− | 최근 음악차트 1위를 차지한 노래에도 정(情)이라는 단어가 등장하는데, 한국인 그리고 외국인을 포함해 사람들이 단 번에 이해할 수 있게 정이란 무엇인지 그리고 정 문화가 무엇인지 정리할 필요를 느낀다.
| |
− |
| |
− | ===디지털방법론을 활용한 연구방법===
| |
− |
| |
− | ====자료수집====
| |
− |
| |
− | *먼저, 정(情)의 근원을 알아야 설명이 가능하겠다.
| |
− |
| |
− | 정(情) 글자는 칠정(七情)의 정과 동일한 글자이다. '''한국고전종합DB'''에 먼저 칠정을 검색해 관련 서적 및 자료를 찾아본다.
| |
− |
| |
− | 이에 더해 '''고전용어 시소러스''' "사단칠정" 단어의 관계도를 통해 칠정의 유의어 및 관련어에 우리가 지금 말하는 정을 설명할 단어가 있을지 찾아보며 그 뿌리에 대해 조사해본다.
| |
− |
| |
−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이라는 웹에서도 정(情) 키워드를 검색해 유학적의미의 정 이외에도 한국 문화적 의미에서도 파악해본다.
| |
− |
| |
− |
| |
− | ===자료 정리 및 시각화===
| |
− |
| |
− | * 위키문서를 활용해 자료를 정리 및 시각화하는 방법을 택했다.
| |
− |
| |
− | * 위키문서에서 키워드에 링크를 걸 수 있는 기능을 적극 활용해, 해당 단어의 정의와 관련 자료를 정리한다.
| |
− |
| |
| | | |
| [[분류:박재이]] [[분류:자기소개]] [[분류:DH-Kphilo:2022-2]] | | [[분류:박재이]] [[분류:자기소개]] [[분류:DH-Kphilo:202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