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박장"의 두 판 사이의 차이
KHS DH wiki
(→데이터(Data)) |
(→정의) |
||
9번째 줄: | 9번째 줄: | ||
==정의== | ==정의== | ||
− | + | 직물 또는 복식 위에 얇은 금박을 붙여 다양한 문양을 표현하는 기술 및 장인이다. | |
==내용== | ==내용== |
2024년 11월 20일 (수) 02:36 판
금박장 (金箔匠) |
|
한글 | 금박장 |
---|---|
한자 | 金箔匠 |
영어 | Geumbakjang (Gold Leaf Imprinting) |
유형 | 무형유산 / 전통기술 / 공예 |
정의
직물 또는 복식 위에 얇은 금박을 붙여 다양한 문양을 표현하는 기술 및 장인이다.
내용
창경궁 통명전은 창경궁 내전의 으뜸전각으로 왕비의 침전이나 왕대비의 생활공간으로 사용되었다. 1484년(성종 15)에 처음 지었다가 임진왜란으로 불에 탄 것을 광해군 대에 다시 지었고, 1790년(정조 14)에 다시 불에 탔으나 1833년(순조 33) 통명전 오른쪽에 있는 양화당(養和堂)과 함께 다시 지었다.
규모는 앞면 7칸, 옆면 4칸이며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여덟 팔(八)자 모양을 한 팔작지붕이고, 지붕 위는 용마루가 없는데 현재 창경궁에 남아 있는 건물 중 유일하다. 공포는 새 날개 모양으로 뻗쳐 나온 재료 구성이 조선 중기 양식의 특징과 정결한 건물의 느낌을 잘 살리고 있다. 월대 위에 기단을 형성하고 그 위에 건물을 올렸으며, 잔치나 의례를 열 수 있는 넓은 마당에는 얇고 넓적한 박석(薄石)을 깔았다. 건물 왼쪽에는 동그란 샘과 돌난간을 두른 네모난 연못을 두었고, 건물 뒤쪽에는 작은 정원을 두었다.
통명전은 창경궁에 있던 내전 건물 중에서 가장 잘 남아 있는 건물로 19세기 건축 양식 연구에도 귀중한 자료가 된다.[1]
데이터(Data)
노드(Node) 정보
id | class | label | infoUrl | iconUrl |
---|---|---|---|---|
금박장 | 공예기술 | 금박장 | http://dhlab.aks.ac.kr/~hyunseung/wiki/index.php/금박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