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nuch 최연지 연구 기획"의 두 판 사이의 차이
KHS DH wiki
21번째 줄: | 21번째 줄: | ||
<references/> | <references/> | ||
+ | #class | ||
+ | *시도유형문화유산 | ||
+ | *유적 | ||
+ | *소재지 | ||
+ | *국가 | ||
+ | *유물 | ||
+ | *인물 | ||
+ | |||
+ | #relation | ||
+ | *A의_소재지는_B다 | ||
+ | *A의_옛_소재지는 B다 | ||
+ | *A는_B에_위치한다 | ||
+ | *A는_B로_지정되었다 | ||
+ | *A는_B시대에_만들어졌다 | ||
+ | |||
+ | #Nodes | ||
+ | *의열사비 | ||
+ | *의열사 | ||
+ | *도림사지삼층석탑 | ||
+ | *도림사 | ||
+ | *부산각서석 | ||
+ | *부여동헌 | ||
+ | *홍산동헌 | ||
+ | *부여홍산상천리마애불입상 | ||
+ | *국립부여박물관 | ||
+ | *고려 | ||
+ | *조선 | ||
+ | |||
+ | |||
+ | ==연구 데이터== | ||
+ | |||
+ | ===Nodes=== | ||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width:100%; word-break:break-all;" | ||
+ | !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infoUrl || iconUrl || note | ||
+ | |- | ||
+ | | 의열사비 || 유물 || || || 의열사비 || || || | ||
+ | |- | ||
+ | | 의열사 || 소재지 || || || 의열사 || || || | ||
+ | |- | ||
+ | | 도림사지삼층석탑 || 유적 || || || 도림사지삼층석탑 || || || | ||
+ | |- | ||
+ | | 도림사 || 소재지 || || || 도림사 || || || | ||
+ | |- | ||
+ | | 부산각서석 || 유물 || || || 부산각서석 || || || | ||
+ | |- | ||
+ | | 부여동헌 || 유적 || || || 부여동헌 || || || | ||
+ | |- | ||
+ | | 홍산동헌 || 유적 || || || 홍산동헌 || || || | ||
+ | |- | ||
+ | | 부여홍산상천리마애불입상 || 유물 || || || 부여홍산상천리마애불입상 || || || | ||
+ | |- | ||
+ | | 국립부여박물관 || 소재지 || || || 국립부여박물관 || || || | ||
+ | |- | ||
+ | | 고려 || 국가 || || || 고려 || || || | ||
+ | |- | ||
+ | | 조선 || 국가 || || || 조선 || || || | ||
+ | |- | ||
+ | |} | ||
+ | ※ 주의: URL에 특수 문자 코드 사용시 오류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예: 콜론(:) 등)<br> | ||
+ | ※ 노드의 아이콘 이미지는 컴퓨터 내 폴더에 모아두었다가 zip 파일로 만들어 메일 보내기. | ||
+ | |||
+ | ===Links=== | ||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width:100%; word-break:break-all;" | ||
+ | ! source || target || relation || description | ||
+ | |- | ||
+ | | 공주산성 || 공주_공산성 || sameAs || '공주산성'과 '공주 공산성'은 같은 대상을 지칭하는 말이다. | ||
+ | |- | ||
+ | |} | ||
+ | |||
+ | [[샘플:20241113:네트워크그래프.lst]] | ||
+ | {{NetworkGraph | title=샘플:20241113:네트워크그래프.lst}} | ||
+ | |||
+ | |||
+ | [[분류:김현승]] | ||
[[분류:한국전통문화대학교]] [[분류:Knuch:최연지]] | [[분류:한국전통문화대학교]] [[분류:Knuch:최연지]] |
2024년 11월 13일 (수) 10:30 판
내용
한국전통문화대학교의 위치 특성상 평소에 부여박물관이나 무량사, 정림사지 등의 잘 알려진 문화유산을 접할 기회는 많다. 단, 잘 알려진 몇몇 문화유산을 제외하고는 부여의 다양한 문화유산에 대해 자세하게 아는 바가 없으며, 접할 기회 또한 적었다. 이번 기회를 통해 잘 알려지지 않은 부여의 시도지정유산, 그 중에서도 시도유형문화유산의 일부에 대해 조사해 정보를 정리하고자 한다. 또한 이러한 시도유형문화유산의 보존을 통해 얻는 가치에 대해 탐구하고자 한다.
대상 자원
시도지정유산
특별시장, 광역시장, 도지사가 국가지정유산으로 지정되지 아니한 국가유산 중 보존가치가 있다고 인정되는 것을 지방자치단체의 조례에 의하여 지정한 국가유산이다. [1]
부여의 시도유형문화유산
참고자료
국가유산 검색-국가유산포털
각주
- class
- 시도유형문화유산
- 유적
- 소재지
- 국가
- 유물
- 인물
- relation
- A의_소재지는_B다
- A의_옛_소재지는 B다
- A는_B에_위치한다
- A는_B로_지정되었다
- A는_B시대에_만들어졌다
- Nodes
- 의열사비
- 의열사
- 도림사지삼층석탑
- 도림사
- 부산각서석
- 부여동헌
- 홍산동헌
- 부여홍산상천리마애불입상
- 국립부여박물관
- 고려
- 조선
연구 데이터
Nodes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infoUrl | iconUrl | note |
---|---|---|---|---|---|---|---|
의열사비 | 유물 | 의열사비 | |||||
의열사 | 소재지 | 의열사 | |||||
도림사지삼층석탑 | 유적 | 도림사지삼층석탑 | |||||
도림사 | 소재지 | 도림사 | |||||
부산각서석 | 유물 | 부산각서석 | |||||
부여동헌 | 유적 | 부여동헌 | |||||
홍산동헌 | 유적 | 홍산동헌 | |||||
부여홍산상천리마애불입상 | 유물 | 부여홍산상천리마애불입상 | |||||
국립부여박물관 | 소재지 | 국립부여박물관 | |||||
고려 | 국가 | 고려 | |||||
조선 | 국가 | 조선 |
※ 주의: URL에 특수 문자 코드 사용시 오류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예: 콜론(:) 등)
※ 노드의 아이콘 이미지는 컴퓨터 내 폴더에 모아두었다가 zip 파일로 만들어 메일 보내기.
Links
source | target | relation | description |
---|---|---|---|
공주산성 | 공주_공산성 | sameAs | '공주산성'과 '공주 공산성'은 같은 대상을 지칭하는 말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