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위

"실습:공주 무령왕릉과 왕릉원"의 두 판 사이의 차이

KHS DH wiki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4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24번째 줄: 24번째 줄:
 
6호분은 활모양 천장으로 된 이중 널길과 긴 네모형의 널방으로 되어 있는데 오수전(五銖錢)이 새겨진 벽돌로 정연하게 쌓았다. 널방 벽에는 7개의 등자리와 사신도 · 일월도 등의 벽화가 그려져 있다.
 
6호분은 활모양 천장으로 된 이중 널길과 긴 네모형의 널방으로 되어 있는데 오수전(五銖錢)이 새겨진 벽돌로 정연하게 쌓았다. 널방 벽에는 7개의 등자리와 사신도 · 일월도 등의 벽화가 그려져 있다.
  
무령왕릉도 6호분과 같이 연꽃무늬 벽돌로 가로쌓기와 세로쌓기를 반복하여 벽을 쌓았다. 벽에는 5개의 등자리가 있고, 무덤주인을 알 수 있게 해주는 지석 등 많은 유물이 출토되었다.
+
무령왕릉도 6호분과 같이 연꽃무늬 벽돌로 가로쌓기와 세로쌓기를 반복하여 벽을 쌓았다. 벽에는 5개의 등자리가 있고, 무덤주인을 알 수 있게 해주는 [[실습:무령왕릉 지석|무령왕릉 지석]] 등 많은 유물이 출토되었다.
  
 
6호분과 무령왕릉은 현재 남아있는 백제의 벽돌무덤으로, 모두 터널형 널방 앞에 짧은 터널형 널길을 가지고 있으며 긴 배수로도 갖추고 있다. 이러한 형식의 벽돌무덤은 중국의 영향을 받은 것이며, 벽화는 고구려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특히 무령왕릉의 경우 확실한 연대를 알 수 있어 백제사회의 사회 ·문화상을 연구하는데 절대자료로 평가된다.<ref>[https://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1333400130000&pageNo=1_1_2_0 "공주 무령왕릉과 왕릉원"], 『국가유산포털』, 국가유산청.</ref>
 
6호분과 무령왕릉은 현재 남아있는 백제의 벽돌무덤으로, 모두 터널형 널방 앞에 짧은 터널형 널길을 가지고 있으며 긴 배수로도 갖추고 있다. 이러한 형식의 벽돌무덤은 중국의 영향을 받은 것이며, 벽화는 고구려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특히 무령왕릉의 경우 확실한 연대를 알 수 있어 백제사회의 사회 ·문화상을 연구하는데 절대자료로 평가된다.<ref>[https://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1333400130000&pageNo=1_1_2_0 "공주 무령왕릉과 왕릉원"], 『국가유산포털』, 국가유산청.</ref>
81번째 줄: 81번째 줄:
  
 
===Bibliography===
 
===Bibliography===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width:100%;"
 +
|-
 +
! Category !! Title !! Site !! Url
 +
|-
 +
| 논문 || 최일규, 「공주 무령왕릉과 왕릉원 축조 부재료 분석과 보존환경 및 디지털 모니터링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공주대학교 일반대학원 , 2021. || RISS || https://www.riss.kr/link?id=T16039026
 +
|-
 +
| 논문 || 장성윤, 「백제 무령왕릉 벽돌의 고고과학적 특성과 태토 산지 해석」, 국내박사학위논문 , 2013. || RISS || https://www.riss.kr/link?id=T13045809
 +
|-
 +
|}
 +
※ 단행본, 논문 등
  
  

2024년 10월 16일 (수) 14:14 기준 최신판

공주 무령왕릉과 왕릉
(公州 武寧王陵과 王陵園)
공주 송산리 고분군.jpg
한글 공주 무령왕릉과 왕릉
한자 公州 武寧王陵과 王陵園
영어 Tomb of King Muryeong and Royal Tombs, Gongju
시대 백제시대 중기
소장처 공주시 등
유형 무덤, 고분군
크기 541,524.4㎡
국가유산 종목 사적
국가유산 지정일 1963년 1월 21일



내용

공주시 금성동에 있는 웅진 백제시대 왕들의 무덤이 모여있는 곳이다.

무령왕릉을 포함한 이 일대의 고분들은 모두 7기가 전해지는데, 송산을 주산으로 뻗은 구릉 중턱의 남쪽 경사면에 위치한다. 계곡을 사이에 두고 서쪽에는 무령왕릉과 5 ·6호분이 있고 동북쪽에는 1∼4호분이 있다. 1∼6호분은 일제시대에 조사되어 고분의 구조와 형식이 밝혀졌고, 무령왕릉은 1971년 5 ·6호분의 보수공사 때 발견되었다.

고분들은 모두가 표고 약120m 정도되는 송산(宋山)을 북쪽의 주산(主山)으로 한 중턱 남쪽경사면에 자리하고 있는데, 1∼5호분은 모두 굴식 돌방무덤(횡혈식 석실분)으로, 무덤 입구에서 시신이 안치되어 있는 널방(현실)에 이르는 널길이 널방 동쪽벽에 붙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1∼4호분은 바닥에 냇자갈을 깔아 널받침(관대)을 만들었는데, 5호분은 벽돌을 이용하였다. 이처럼 같은 양식의 무덤이면서 구조와 규모에 있어서 약간의 차이가 나는 것은 시기 차이가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5호분은 원형으로 남아 있으나, 1∼4호분은 조사되기 전에 이미 도굴되었다. 이외에 벽돌무덤(전축분)으로 송산리벽화고분이라고도 불리는 6호분과 무령왕릉이 있다.

6호분은 활모양 천장으로 된 이중 널길과 긴 네모형의 널방으로 되어 있는데 오수전(五銖錢)이 새겨진 벽돌로 정연하게 쌓았다. 널방 벽에는 7개의 등자리와 사신도 · 일월도 등의 벽화가 그려져 있다.

무령왕릉도 6호분과 같이 연꽃무늬 벽돌로 가로쌓기와 세로쌓기를 반복하여 벽을 쌓았다. 벽에는 5개의 등자리가 있고, 무덤주인을 알 수 있게 해주는 무령왕릉 지석 등 많은 유물이 출토되었다.

6호분과 무령왕릉은 현재 남아있는 백제의 벽돌무덤으로, 모두 터널형 널방 앞에 짧은 터널형 널길을 가지고 있으며 긴 배수로도 갖추고 있다. 이러한 형식의 벽돌무덤은 중국의 영향을 받은 것이며, 벽화는 고구려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특히 무령왕릉의 경우 확실한 연대를 알 수 있어 백제사회의 사회 ·문화상을 연구하는데 절대자료로 평가된다.[1]


갤러리

사진


동영상


위치 정보



위도 경도 주소
36.4634328 127.1144714 대한민국 충청남도 공주시 왕릉로 37


관련 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실습:공주 무령왕릉과 왕릉원 실습 공주 무령왕릉과 왕릉원 A는 B에 소장되어있다.


참고문헌

Web Resource

Category Title Site Url
해설 공주 무령왕릉과 왕릉원 국가유산포털 https://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1333400130000&pageNo=1_1_2_0
사진 공주 무령왕릉과 왕릉원 국가유산포털 https://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1333400130000&pageNo=1_1_2_0
동영상 세계유산 백제문화유적지구, 공주 무령왕릉과 왕릉원 Youtube https://www.youtube.com/watch?v=7hnRWRlIQZY

※ 사전, 해설, 참고, 기사, 잡지, 사진, 동영상 등


Bibliography

Category Title Site Url
논문 최일규, 「공주 무령왕릉과 왕릉원 축조 부재료 분석과 보존환경 및 디지털 모니터링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공주대학교 일반대학원 , 2021. RISS https://www.riss.kr/link?id=T16039026
논문 장성윤, 「백제 무령왕릉 벽돌의 고고과학적 특성과 태토 산지 해석」, 국내박사학위논문 , 2013. RISS https://www.riss.kr/link?id=T13045809

※ 단행본, 논문 등


주석

  1. "공주 무령왕릉과 왕릉원", 『국가유산포털』, 국가유산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