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위

"실습: 정읍 보화리 석조이불입상"의 두 판 사이의 차이

KHS DH wiki

(새 문서: {{명함:물품 |사진=정읍 보화리 석조이불입상.jpg |한글=정읍 보화리 석조이불입상 |한자=禮山 花田里 石造四面佛像 |영어=Two Stone Standing Budd...)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8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8번째 줄: 18번째 줄:
 
전라북도 정읍시 야산 중턱에 나란히 서 있는 2구의 석불입상이다. 최근 백제시대의 불상으로 확인되었는데, 백제 불상의 예를 정읍까지 확대시켰다는 점에서 중요한 자료가 된다. 두 불상은 모두 비슷한 형식과 양식적 특징을 보여주고 있지만, 오른쪽 불상이 왼쪽 불상보다 약간 커서 원래는 삼존불(三尊佛)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오른쪽의 큰 불상은 뒤편의 광배(光背)가 깨지고 대좌(臺座)의 아랫부분을 잃어버린 것 외에는 완전한 모습이며, 두 눈이 파여진 것이 흠이다.  
 
전라북도 정읍시 야산 중턱에 나란히 서 있는 2구의 석불입상이다. 최근 백제시대의 불상으로 확인되었는데, 백제 불상의 예를 정읍까지 확대시켰다는 점에서 중요한 자료가 된다. 두 불상은 모두 비슷한 형식과 양식적 특징을 보여주고 있지만, 오른쪽 불상이 왼쪽 불상보다 약간 커서 원래는 삼존불(三尊佛)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오른쪽의 큰 불상은 뒤편의 광배(光背)가 깨지고 대좌(臺座)의 아랫부분을 잃어버린 것 외에는 완전한 모습이며, 두 눈이 파여진 것이 흠이다.  
  
민머리에 상투 모양의 머리묶음이 솟아 있는데, 백제시대의 불상인 부여 군수리 석조여래좌상(보물)과 흡사하다. 얼굴 역시 길고 풍만하며 부드러워 백제불상의 특징이 잘 드러나고 있다. 이 불상에서 가장 특징적인 것은 옷차림새인데, 왼쪽 어깨에만 걸쳐져 있는 옷을 입고 있으며 속에 입은 옷과 아래의 치마도 보인다. 옷주름들은 부드러우면서도 소박한 편으로 어깨나 손, 발 등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오른팔이 없어진 작은 불상도 같은 특징을 나타내고 있다. 얼굴의 각 부분은 마모가 심하나 입가로부터 양쪽 볼에까지 미소를 짓고 있어 어린 아이와 같은 느낌이 든다. 부드럽고 우아한 모습, 아기같은 체구, 특징있는 옷 차림새 등에서 백제 후기 불상의 특징이 잘 나타나고 있는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
민머리에 상투 모양의 머리묶음이 솟아 있는데, 백제시대의 불상인 부여 군수리 석조여래좌상(보물)[[실습:부여 군수리 석조여래좌상|부여 군수리 석조여래좌상]]과 흡사하다. 얼굴 역시 길고 풍만하며 부드러워 백제불상의 특징이 잘 드러나고 있다. 이 불상에서 가장 특징적인 것은 옷차림새인데, 왼쪽 어깨에만 걸쳐져 있는 옷을 입고 있으며 속에 입은 옷과 아래의 치마도 보인다. 옷주름들은 부드러우면서도 소박한 편으로 어깨나 손, 발 등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오른팔이 없어진 작은 불상도 같은 특징을 나타내고 있다. 얼굴의 각 부분은 마모가 심하나 입가로부터 양쪽 볼에까지 미소를 짓고 있어 어린 아이와 같은 느낌이 든다. 부드럽고 우아한 모습, 아기같은 체구, 특징있는 옷 차림새 등에서 백제 후기 불상의 특징이 잘 나타나고 있는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
<ref>[https://buyeo.museum.go.kr/baekjeplatform/crlts/view.do?crltsSn=2204130030&sw=&key=2201120009&pageIndex=1&keyWord=&sc_appnCrlts= "정읍 보화리 석조이불입상"], 『백제문화플랫폼』, 국립부여박물관.</ref>
  
 
==갤러리==
 
==갤러리==
29번째 줄: 30번째 줄:
  
 
==위치 정보==
 
==위치 정보==
{{구글지도 | 위도 =36.7539459 | 경도 =126.67894942433325 | 줌 = 16}}
+
<html>
 +
<iframe src="https://www.google.com/maps/embed?pb=!1m14!1m8!1m3!1d12983.103637602546!2d126.7772921!3d35.5592362!3m2!1i1024!2i768!4f13.1!3m3!1m2!1s0x3571a57b31c9f68b%3A0x104998c8c490328f!2z7KCV7J2N67O07ZmU66as7ISd67aI7J6F7IOB!5e0!3m2!1sko!2skr!4v1728900945842!5m2!1sko!2skr" width="600" height="450" style="border:0;" allowfullscreen="" loading="lazy" referrerpolicy="no-referrer-when-downgrade"></iframe>
 +
</html>
  
 
{| class="wikitable"
 
{| class="wikitable"
35번째 줄: 38번째 줄:
 
! 위도 !! 경도 !! 주소
 
! 위도 !! 경도 !! 주소
 
|-
 
|-
| 36.2763865 || 126.6792368 || 대한민국 충청남도 예산군 봉산면 화전리 61
+
| 35.5592362 || 126.7772921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소성면 보화리 116
 
|}
 
|}
  
 
===동영상===
 
===동영상===
<html>  
+
<html>
<iframe width="1280" height="720" src="https://www.youtube.com/embed/3-YNzOQ8DMk" title="평범한 불상은 가라! &#39;예산화전리석조사면불상&#39;" frameborder="0" allow="accelerometer; autoplay; clipboard-write; encrypted-media; gyroscope; picture-in-picture; web-share" referrerpolicy="strict-origin-when-cross-origin" allowfullscreen></iframe>
+
<iframe width="672" height="378" src="https://www.youtube.com/embed/_H1r1Lawr8k" title="[전북의 발견] 백제의 시간을 기억하다, 정읍 보화리 석불 | JTV전주방송" frameborder="0" allow="accelerometer; autoplay; clipboard-write; encrypted-media; gyroscope; picture-in-picture; web-share" referrerpolicy="strict-origin-when-cross-origin" allowfullscreen></iframe>
 
</html>
 
</html>
 +
 +
==참고문헌==
 +
===Web Resource===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width:100%;"
 +
|-
 +
! Category !! Title !! Site !! Url
 +
|-
 +
| 해설 || 정읍 보화리 석조이불입상 || 백제문화플랫폼 ||https://buyeo.museum.go.kr/baekjeplatform/crlts/view.do?crltsSn=2204130030&sw=&key=2201120009&pageIndex=1&keyWord=&sc_appnCrlts=
 +
|-
 +
| 사전 || 석조이불입상 중 향우측 불상(정면향) || 나만의 국가유산 해설사 || https://m.cha.go.kr/public/commentary/culSelectDetail.do;jsessionid=xO54sKBN2AHs6tv639sLJ8bxxqway44zzlLuCHXbL3FJbNsrx8dXTDZwaopEy5Yn.cha-was01_servlet_engine2?ccbaKdcd=12&ccbaAsno=09140000&ccbaCtcd=35&ccbaCpno=&menuId=03
 +
|-
 +
| 사전 || 석조이불입상 중 향좌측 불상의 상반신 || 나만의 국가유산 해설사 || https://m.cha.go.kr/public/commentary/culSelectDetail.do;jsessionid=xO54sKBN2AHs6tv639sLJ8bxxqway44zzlLuCHXbL3FJbNsrx8dXTDZwaopEy5Yn.cha-was01_servlet_engine2?ccbaKdcd=12&ccbaAsno=09140000&ccbaCtcd=35&ccbaCpno=&menuId=03
 +
|-
 +
| 사진 || 석조이불입상 중 향좌측 불상의 손모습과 유려한 흐름의 옷자락 || 나만의 국가유산 해설사 || https://m.cha.go.kr/public/commentary/culSelectDetail.do;jsessionid=xO54sKBN2AHs6tv639sLJ8bxxqway44zzlLuCHXbL3FJbNsrx8dXTDZwaopEy5Yn.cha-was01_servlet_engine2?ccbaKdcd=12&ccbaAsno=09140000&ccbaCtcd=35&ccbaCpno=&menuId=03
 +
|-
 +
| 동영상 || [전북의 발견] 백제의 시간을 기억하다, 정읍 보화리 석불 JTV전주방송|| 유튜브 || https://youtube/_H1r1Lawr8k?si=gdGTRmTG_S4VX5-A
 +
|}
 +
※ 사전, 해설, 참고, 기사, 잡지, 사진, 동영상 등
 +
 +
===Bibliography===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width:100%;"
 +
|-
 +
! Category !! Title !! Site !! Url
 +
|-
 +
| 논문 || 정영호, 「백제 석불 양식과 조성 배경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석사 논문, 2014. || DBpia || https://www.dbpia.co.kr/journal/detail?nodeId=T13544705
 +
|-
 +
|}
 +
※ 단행본, 논문 등
 +
 +
 +
[[분류:한국전통문화대학교]] [[분류:Knuch실습:디지털아카이브2024-2]] [[분류:Knuch:윤지우]]

2024년 10월 16일 (수) 14:07 기준 최신판

정읍 보화리 석조이불입상
(禮山 花田里 石造四面佛像)
정읍 보화리 석조이불입상.jpg
한글 정읍 보화리 석조이불입상
한자 禮山 花田里 石造四面佛像
영어 Two Stone Standing Buddhas in Bohwa-ri, Jeongeup
시대 백제
소장처 정읍시
유형 유물 / 불교조각 / 석조 / 불상
국가유산 종목 보물
국가유산 지정일 1984년 11월 30



내용

전라북도 정읍시 야산 중턱에 나란히 서 있는 2구의 석불입상이다. 최근 백제시대의 불상으로 확인되었는데, 백제 불상의 예를 정읍까지 확대시켰다는 점에서 중요한 자료가 된다. 두 불상은 모두 비슷한 형식과 양식적 특징을 보여주고 있지만, 오른쪽 불상이 왼쪽 불상보다 약간 커서 원래는 삼존불(三尊佛)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오른쪽의 큰 불상은 뒤편의 광배(光背)가 깨지고 대좌(臺座)의 아랫부분을 잃어버린 것 외에는 완전한 모습이며, 두 눈이 파여진 것이 흠이다.

민머리에 상투 모양의 머리묶음이 솟아 있는데, 백제시대의 불상인 부여 군수리 석조여래좌상(보물)부여 군수리 석조여래좌상과 흡사하다. 얼굴 역시 길고 풍만하며 부드러워 백제불상의 특징이 잘 드러나고 있다. 이 불상에서 가장 특징적인 것은 옷차림새인데, 왼쪽 어깨에만 걸쳐져 있는 옷을 입고 있으며 속에 입은 옷과 아래의 치마도 보인다. 옷주름들은 부드러우면서도 소박한 편으로 어깨나 손, 발 등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오른팔이 없어진 작은 불상도 같은 특징을 나타내고 있다. 얼굴의 각 부분은 마모가 심하나 입가로부터 양쪽 볼에까지 미소를 짓고 있어 어린 아이와 같은 느낌이 든다. 부드럽고 우아한 모습, 아기같은 체구, 특징있는 옷 차림새 등에서 백제 후기 불상의 특징이 잘 나타나고 있는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1]

갤러리

사진

위치 정보

위도 경도 주소
35.5592362 126.7772921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소성면 보화리 116

동영상

참고문헌

Web Resource

Category Title Site Url
해설 정읍 보화리 석조이불입상 백제문화플랫폼 https://buyeo.museum.go.kr/baekjeplatform/crlts/view.do?crltsSn=2204130030&sw=&key=2201120009&pageIndex=1&keyWord=&sc_appnCrlts=
사전 석조이불입상 중 향우측 불상(정면향) 나만의 국가유산 해설사 https://m.cha.go.kr/public/commentary/culSelectDetail.do;jsessionid=xO54sKBN2AHs6tv639sLJ8bxxqway44zzlLuCHXbL3FJbNsrx8dXTDZwaopEy5Yn.cha-was01_servlet_engine2?ccbaKdcd=12&ccbaAsno=09140000&ccbaCtcd=35&ccbaCpno=&menuId=03
사전 석조이불입상 중 향좌측 불상의 상반신 나만의 국가유산 해설사 https://m.cha.go.kr/public/commentary/culSelectDetail.do;jsessionid=xO54sKBN2AHs6tv639sLJ8bxxqway44zzlLuCHXbL3FJbNsrx8dXTDZwaopEy5Yn.cha-was01_servlet_engine2?ccbaKdcd=12&ccbaAsno=09140000&ccbaCtcd=35&ccbaCpno=&menuId=03
사진 석조이불입상 중 향좌측 불상의 손모습과 유려한 흐름의 옷자락 나만의 국가유산 해설사 https://m.cha.go.kr/public/commentary/culSelectDetail.do;jsessionid=xO54sKBN2AHs6tv639sLJ8bxxqway44zzlLuCHXbL3FJbNsrx8dXTDZwaopEy5Yn.cha-was01_servlet_engine2?ccbaKdcd=12&ccbaAsno=09140000&ccbaCtcd=35&ccbaCpno=&menuId=03
동영상 [전북의 발견] 백제의 시간을 기억하다, 정읍 보화리 석불 JTV전주방송 유튜브 https://youtube/_H1r1Lawr8k?si=gdGTRmTG_S4VX5-A

※ 사전, 해설, 참고, 기사, 잡지, 사진, 동영상 등

Bibliography

Category Title Site Url
논문 정영호, 「백제 석불 양식과 조성 배경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석사 논문, 2014. DBpia https://www.dbpia.co.kr/journal/detail?nodeId=T13544705

※ 단행본, 논문 등

  1. "정읍 보화리 석조이불입상", 『백제문화플랫폼』, 국립부여박물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