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위

"실습:공주 공산성"의 두 판 사이의 차이

KHS DH wiki

(새 문서: {{명함:물품 |사진=부여 석조.jpg |한글=부여 석조 |한자=扶餘 石槽 |영어=Stone Basin, Buyeo |이칭= |제작자= |시대=백제 |제작일= |소장처=국립부...)
 
1번째 줄: 1번째 줄:
 
{{명함:물품
 
{{명함:물품
 
|사진=부여 석조.jpg
 
|사진=부여 석조.jpg
|한글=부여 석조
+
|한글=공주 공산성
|한자=扶餘 石槽
+
|한자=公州 公山城
|영어=Stone Basin, Buyeo
+
|영어=Gongsanseong Fortress, Gongju
 
|이칭=
 
|이칭=
 
|제작자=
 
|제작자=
|시대=백제
+
|시대=삼국시대
 
|제작일=
 
|제작일=
|소장처=국립부여박물관
+
|소장처=공주시 등
|유형=종교물품
+
|유형=유적건조물
|크기=지름 1.42m, 높이 1.57m
+
|면적=376,645.3㎡
|국가유산 종목=보물
+
|국가유산 종목=사적
 
|국가유산 지정일= 1963년 1월 21일
 
|국가유산 지정일= 1963년 1월 21일
 
}}
 
}}
  
 
==내용==
 
==내용==
부여현의 동헌건물 앞에 있었던 것을 일제시대에 옛 박물관 뜰로 옮겼다가 현재의 [[실습 국립부여박물관|국립부여박물관]]으로 옮겨 보존하고 있다.
+
공산성은 백제의 수도가 공주였을 때 공주를 지키던 백제의 산성이다.
  
부여석조는 왕궁에서 연꽃을 심어 그 꽃을 즐겼다는 전설이 있는 백제시대의 유물로, ‘工’자형의 받침대 위에 둥근 꽃망울 형태로 올려져 있다. 받침대는 아무런 장식이 없는 간결한 모양이다. 그 위에 놓인 석조는 입구가 약간 오므라들면서 밖으로 둥글게 원호를 그리며, 바닥은 평평한 듯 하나 완만한 곡선이다. 표면에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8개의 세로줄이 새겨져 있고, 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국보)의 1층 탑몸돌에 새겨진 당나라가 백제를 평정했다는 내용과 같은 글을 새기려던 흔적이 보인다.
+
금강변 야산의 계곡을 둘러싼 산성으로, 원래는 흙으로 쌓은 토성이었으나 조선시대에 석성으로 고쳤다. 쌓은 연대는 정확하지 않으며, 백제 때에는 웅진성으로, 고려시대에는 공주산성·공산성으로, 조선 인조 이후에는 쌍수산성으로 불렀다.
  
이 석조에는 연꽃무늬 장식이 전혀 없는 것으로 보아 사찰과 관계된 유물은 아닌 것으로 보이며, 본래 석조가 있었던 장소가 백제시대의 왕궁터로 전해지고 있어 당시 왕궁에서 쓰이던 석련지(石蓮池)가 아니었나 짐작된다. 형태가 풍만하면서도 깔끔한 곡선으로 처리된 석조로, 백제인의 간결하고 소박한 미적 감각이 잘 나타나 있다.<ref>[https://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1123401940000 "보물 부여 석조"], 『국가유산포털』, 국가유산청.</ref>
+
동서로 약800m, 남북으로 400m 정도의 장방형을 이루고 있다.
 +
 
 +
4방에 문터가 확인되는데, 남문인 진남루와 북문인 공북루가 남아있고 동문과 서문은 터만 남아있었는데, 1993년에 동문터에는 영동루 서문터에는 금서루를 복원하였다.
 +
 
 +
암문·치성·고대·장대·수구문 등의 방어시설이 남아 있으며, 성 안에는 쌍수정·영은사·연지·임류각지, 그리고 만하루지 등이 있다. 또한 연꽃무늬 와당을 비롯하여 백제 기와·토기 등의 유물들과 고려·조선시대의 유물들이 많이 출토되었다.
 +
 
 +
백제 멸망 직후에 의자왕이 잠시 머물기도 하였으며, 백제부흥운동의 거점지이기도 하였다. 통일신라시대에는 김헌창의 난(822)일어나기도 하였으며, 조선시대 이괄의 난(1623)으로 인조가 피난했던 곳이기도 하다.
 +
 
 +
백제 성왕 16년(538)에 부여로 도읍을 옮길 때까지의 백제 도성이었으며, 이후 조선시대까지 지방 행정의 중심지였던 곳으로 역사적 가치가 큰 중요한 유적이다.<ref>[https://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1123401940000 "보물 부여 석조"], 『국가유산포털』, 국가유산청.</ref>
  
  

2024년 10월 14일 (월) 11:26 판

공주 공산성
(公州 公山城)
부여 석조.jpg
한글 공주 공산성
한자 公州 公山城
영어 Gongsanseong Fortress, Gongju
시대 삼국시대
소장처 공주시 등
유형 유적건조물
국가유산 종목 사적
국가유산 지정일 1963년 1월 21일



내용

공산성은 백제의 수도가 공주였을 때 공주를 지키던 백제의 산성이다.

금강변 야산의 계곡을 둘러싼 산성으로, 원래는 흙으로 쌓은 토성이었으나 조선시대에 석성으로 고쳤다. 쌓은 연대는 정확하지 않으며, 백제 때에는 웅진성으로, 고려시대에는 공주산성·공산성으로, 조선 인조 이후에는 쌍수산성으로 불렀다.

동서로 약800m, 남북으로 400m 정도의 장방형을 이루고 있다.

4방에 문터가 확인되는데, 남문인 진남루와 북문인 공북루가 남아있고 동문과 서문은 터만 남아있었는데, 1993년에 동문터에는 영동루 서문터에는 금서루를 복원하였다.

암문·치성·고대·장대·수구문 등의 방어시설이 남아 있으며, 성 안에는 쌍수정·영은사·연지·임류각지, 그리고 만하루지 등이 있다. 또한 연꽃무늬 와당을 비롯하여 백제 기와·토기 등의 유물들과 고려·조선시대의 유물들이 많이 출토되었다.

백제 멸망 직후에 의자왕이 잠시 머물기도 하였으며, 백제부흥운동의 거점지이기도 하였다. 통일신라시대에는 김헌창의 난(822)이 일어나기도 하였으며, 조선시대 이괄의 난(1623)으로 인조가 피난했던 곳이기도 하다.

백제 성왕 16년(538)에 부여로 도읍을 옮길 때까지의 백제 도성이었으며, 이후 조선시대까지 지방 행정의 중심지였던 곳으로 역사적 가치가 큰 중요한 유적이다.[1]


갤러리

사진


동영상


위치 정보



위도 경도 주소
36.2763865 126.9189991 대한민국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금성로 5


관련 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실습:부여 석조 실습 국립부여박물관 A는 B에 소장되어있다.


참고문헌

Web Resource

Category Title Site Url
사전 부여 석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24412
사전 부여 석조 위키백과 https://ko.wikipedia.org/wiki/부여_석조
사전 부여 석조 디지털부여문화대전 https://www.grandculture.net/buyeo/toc/GC09000670
해설 보물 부여 석조 국가유산포털 https://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1123401940000
사진 부여 석조 국가유산포털 https://www.heritage.go.kr/heri/cul/imgHeritage.do?ccimId=1617596&ccbaKdcd=12&ccbaAsno=01940000&ccbaCtcd=34
사진 석조 몸체의 훼손 상태 국가유산포털 https://www.heritage.go.kr/heri/cul/imgHeritage.do?ccimId=1617598&ccbaKdcd=12&ccbaAsno=01940000&ccbaCtcd=34
사진 석조 중대 국가유산포털 https://www.heritage.go.kr/heri/cul/imgHeritage.do?ccimId=1617597&ccbaKdcd=12&ccbaAsno=01940000&ccbaCtcd=34
동영상 [ Beautiful KOREA ] 3D 영상으로 보는 한국의 보물 / 부여 석조 Youtube https://www.youtube.com/watch?v=xn1Bk9e1L4o

※ 사전, 해설, 참고, 기사, 잡지, 사진, 동영상 등


Bibliography

Category Title Site Url
단행본 국립중앙박물관, 『금석문자료 1 - 삼국시대』, 국립중앙박물관, 2010. RISS https://www.riss.kr/link?id=M12814018
단행본 진홍섭, 『한국불교미술』, 문예출판, 1998. RISS https://www.riss.kr/link?id=M3874447
단행본 한국문화재보호협회, 『문화재대관 6 - 보물 4』, 대학당, 1986. RISS https://www.riss.kr/link?id=M5706020
단행본 정영호, 『국보 7 - 석조』, 예경산업사, 1983. RISS https://www.riss.kr/link?id=M5750923
논문 한정호, 「백제 석조의 성격과 미륵신앙」, 『미술사학연구』 306, 한국미술사학회, 2020. KCI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600689

※ 단행본, 논문 등

주석

  1. "보물 부여 석조", 『국가유산포털』, 국가유산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