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위

"SKKU2025 박건후 디지털큐레이션"의 두 판 사이의 차이

KHS DH wiki

(Class)
(Semantic Storytelling)
215번째 줄: 215번째 줄:
 
<br/>
 
<br/>
 
<br/>
 
<br/>
*[[SKKU2025:Hoo-Ep01 | 에피소드 1: 개요]]<br/>
+
*[[SKKU2025:Hoo-Ep01 | 에피소드 1: 수원삼성의 리그 및 타팀과의 관계]]<br/>
 
**[[SKKU2025:Hoo-Ep02 | 에피소드 2: 수원삼성 응원 문화 일람]]<br/>
 
**[[SKKU2025:Hoo-Ep02 | 에피소드 2: 수원삼성 응원 문화 일람]]<br/>
**[[SKKU2025:Hoo-Ep03 | 에피소드 3: 인천유나이티드 응원 문화 일람]]<br/>
+
**[[SKKU2025:Hoo-Ep03 | 에피소드 3: 수원삼성과 아르헨티나 및 인챠다스와의 응원문화적 관계]]<br/>
**[[SKKU2025:Hoo-Ep04 | 에피소드 4: 스페인어가사 일람]]<br/>
+
**[[SKKU2025:Hoo-Ep04 | 에피소드 4: 수원삼성 응원가와 인챠다스의 관계]]<br/>
 +
**[[SKKU2025:Hoo-Ep05 | 에피소드 5: 인천유나이티드의 리그 및 타팀과의 관계]]<br/>
 +
**[[SKKU2025:Hoo-Ep06 | 에피소드 4: 인천유나이티드와 울트라스의 응원문화적 관계]]<br/>
 +
**[[SKKU2025:Hoo-Ep07 | 에피소드 4: 인천유나이티드 응원가와 원곡들과의 관계]]<br/>
  
 
<br/>
 
<br/>

2025년 6월 23일 (월) 05:56 판

수업 : 디지털한국어문학연구방법론2 연구기획서 초안

국내 프로축구 서포터즈 문화의 기원 분석: 인챠다스(Hinchadas)와 울트라스(Ultras), 수원삼성과 인천유나이티드를 중심으로



저자 : 박건후
발행연월 : 2025.06.
학과/전공 : 국어국문학 현대분과
학교 : 성균관대학교



연구 배경 및 목적

1983년 한국 프로 축구 리그가 출범했을 당시에는 현대적인 의미의 '서포터즈(supporters)'라는 개념이 부재했다. 그러나 당시 차범근 선수가 진출해 있던 독일 분데스리가(Bundesliga) 중계를 통해 축구를 접한 청년들은 유럽의 축구 응원문화에 대한 갈망이 존재했고, 1995년 5월 6일 동대문 운동장에서 '유공 축구단'을 향한 최초의 집단 응원, 1995년 '칸타타 선언', 그리고 1997년 국내 최초의 서포터 클럽 '사이버 윙즈(Cyber Wings)'가 설립되며 점차 프로축구 클럽을 중심으로 하는 현대적인 의미의 '서포터즈' 문화가 자리잡기 시작했다.


이렇게 국내에도 서포터즈 문화가 자리잡은지 30여 년이 흘렀다. 현재의 서포터즈 문화는 어떤 부분에서는 초창기 아르헨티나와 같은 남미 국가, 혹은 이탈리아와 같은 유럽 국가로부터 도입한 응원의 틀이나 방법론을 유지하면서도, 국내의 가요를 응원가로 편곡하는 것과 같이 세부적인 부분에서는 변화와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 특히나 축구 그 자체는 물론 축구 응원 문화에 있어서도 세계적으로 후발주자에 속하는 한국이라는 문화적 지형을 고려할 때, 초창기 다소 배타적인 자세를 유지했던 서포터즈 문화가 점차 '일반 관중'에게도 흥미와 설득력, 포옹력을 갖추기 위해 다방면에서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이렇게 축적된 문화적 자본에 비해서 아직까지 서포터즈 및 한국 프로축구의 응원문화에 대한 본격적인 학술 연구는 양적으로 부족한 편이다. 특히나 대부분의 연구가 한국 프로축구 및 관련 응원문화의 기원을 중심으로 다루고 있을 뿐, 그 이후의 변화나 발전 양상에 조명하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 '서포터즈 문화'가 자리잡은지도 30여년이 가까워오고 있는 현재, 이처럼 '기원'에만 초점을 맞추는 연구를 넘어 학술적 서포터즈 문화 인식 및 연구에 있어 시차를 좁힐 필요가 있다.


'한국'이라는 고유성만을 조명하려는 것 역시 극복해야 할 과제이다. 한국에서 서포터즈 문화는 프로축구 개막(혹은 그 이전부터) 자연스럽게 자리잡은 게 아니라, 프로축구 개막이 선행되고 이후 '축구 선진국'에 존재하던 서포터즈 문화를 다방면에서 참고하고 수입해온 것에 가깝다. 그러나 대중서와 학술적 논문을 막론하고 이들은 대부분 서포터즈 문화가 오로지 한국의 자생적 노력에 의해서만 자연발생했거나, 혹은 스포츠 민족주의적 색체가 짙은(따라서 고유성을 피력하기에 용이한) '붉은 악마(한국 국가대표 서포터즈)'의 탄생 과정에 집중하고 있다.


이러한 서포터즈 문화 연구의 현주소를 고려할 때, 해당 서포터즈 문화가 어느 국가와 문화권에 뿌리를 두고 있는지를 규명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가령, 서포터즈 문화에 관심이 많은 대중 사이에서는 이미 울트라스(Ultras)*와 인챠다스(Hinchadas)*로 문화권에 따라 서포터즈 문화를 양분하고, 이에 따른 세부적인 형식과 스타일 등의 측면에서 차이를 인식하고 있으며, 이것이 실제 국내 서포터즈 문화에 영향을 끼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학술적 연구는 국내에서 거의 전무하다.

또한, 이런 인식론에 기반할 때, '수원삼성 블루윙즈'와 같은 구단은 타 K리그 구단과 달리 응원의 측면에서 상이한 지점들이 다수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이런 문화의 특수성이나 그러한 특수성의 기원에 대해 집중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시피 하다. 대부분은 'K리그 문화의 시작점' 정도로 일축하는 편이나, 정작 '울트라스/인챠다스'의 인식론을 적용할 때 수원삼성의 응원 방법론은 (울트라스 스타일이 대부분인 타 구단과 달리) 인챠다스의 방법론을 중심적으로 적용하고 있다는 차이점이 존재한다.


본 연구는 이런 기존의 학술적 연구와 서포터즈 문화 현실의 간극을 줄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우선 중심적인 연구 대상으로 K리그의 두 구단인 '수원삼성블루윙즈'와 '인천 유나이티드'와 그들의 서포터즈 문화의 결과물들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했다. 두 구단은 각각 인챠다스의 방법론과 울트라스의 방법론이 결과물로서 명확하게 드러나고, 대중 사이에서 역시 각각 인챠다스와 울트라스의 전형으로 인식되고 있다는 점에서 두 구단의 문화적 차이를 극명하게 대비시키기에 용이하다.

세부적인 연구 대상으로는 두 구단의 응원가와 응원 방식(구호, 박수, 걸개, 반데라* 등)을 선정했다. 특히 응원가의 원곡이 어떤 대륙과 국가 및 문화권을 뿌리로 하고 있는지를 규명함으로써, 응원가의 제작에 있어 어떤 문화권의 영향을 많이 받았는지를 설명하고자 한다. 또한 응원가 이외에도 여러 물리적인 응원 방식에서 어떤 국가의 스타일(아르헨티나 혹은 이탈리아)이 명확하게 나타나는지를 대조함으로써, 특히나 수원삼성 응원 문화 전반에 (다른 K리그 구단과 달리) 남미(아르헨티나)의 방식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음을 강조적으로 규명하고자 한다.


디지털 큐레이션은 이러한 연구에 있어 효과적인 방법론으로 기능할 수 있다. 가령, 아직까지 학술적 차원에서 연구가 미진한 '응원가'의 경우 어느 정도의 공신력을 갖추고 리스트화되어 있는 경우가 없다시피하다. 디지털 큐레이션의 방법론은 이렇게 분산되어 있는 관련 자료들(응원가의 목록과 동영상, 가사, 원곡 등)을 리스트화하고 정리하는 것과 같은 1차적 연구, 나아가서 이 자료들 간의 관계성을 규명하기에 매우 효과적이다. 이런 '관계성'의 규명은 서포터즈 문화가 지리적 이동(유럽 혹은 남미로부터 국내로의 유입)을 통해 한국이라는 특수한 지형에 자리잡았음을 고려할 때, 문화의 물리적 이동과 문화권(남미와 유럽) 및 문화적 산물들(응원가와 다양한 응원 방식)간의 관계를 시각화(시맨틱 네트워크 그래프)하여 효과적으로 보여줄 수 있다는 점에서 필수적이다.


이러한 연구는 상술했듯 기존의 국내 서포터즈 문화에 대한 학술적 연구와 현장의 현실과의 인식적 격차를 좁힐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를 통해 단순히 국내 서포터즈 문화의 고유성에만 치중하는 것을 넘어서, 문화적 기원 확인과 문화 산물의 이동, 그리고 한국이라는 특수한 지형에서의 적용과 자생 및 변천, 정체성과 고유성의 확립 등 서포터즈 연구의 대상 및 범위를 넓힐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런 '서포터즈'에 대한 연구가 자리잡은 이후에는 단순히 K리그 구단을 대상으로 하는 것을 넘어서, 후속 연구로서 보다 인챠다스/울트라스의 분류 방법론을 세분화 및 구체화시키고, 국내 서포터즈 문화 전체의 기원과 형식을 분석하는 방식으로 확대될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국내 서포터즈에 대한 문화적 규명과 정체성 확립이 어느 정도 이루어진다면, 이에 대한 후속 연구로서 '해외 축구 구단을 응원하는 한국인'이라는 또 다른 특수한 대상으로 연구 대상을 확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 둘은 '축구 관람을 취미로 삼는 대중'이라는 거대하고 느슨한 범위에서는 피상적인 공통점이 존재하면서도, 그것의 실천과 자기 정체성 인식에 있어서는 다방면에서 차이점이 존재한다. 또한 이 둘은 교집합 없이 단순히 양분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양쪽 모두를 향유하고 소속감을 느끼는 경우도 많다.

이러한 연구를 위해서는 더욱이 서포터즈 문화의 현주소와 학술적 인식을 일치시키고, 이를 기반으로 국내 서포터즈의 정체성에 대한 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 다시 말해서, 본 연구는 기존 국내 서포터즈에 대한 연구를 현재의 관점에서 최신화함과 동시에, 앞으로 축구 문화 연구 확장에 있어 시발점처럼 기능할 수 있을 것이다.




선행연구를 언급하고 나의 연구 주제와 내용, 방법 등과 관련하여 어떤 부분에 어떻게 연관이 있는지 정리한다.




연구 내용

※본문 작성 시 글상자 삭제※


<연구 내용>에 들어갈 내용 :

연구 방법내용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어디에서 어떤 자료들을 보았고, 어떻게 사용하였는지,

그 중에서 어떤 데이터들을 추출했으며,

그렇게 범위를 설정한 기준과 근거는 무엇인지 등을 작성한다.


★ 꼭 들어가야 할 요소 : 내부링크, 외부링크




시맨틱 DB 온톨로지 설계

※본문 작성 시 글상자 삭제※


원 자료에서 추출한 개체와 그 속성, 그리고 대상 자원의 범주화와 각 개체들 간의 관계를 어떻게 설계하였는지 등에 대한 내용을 작성한다.


본 연구의 온톨로지 설계에 대해 설명하면서 아래의 문장을 적절한 위치에 삽입하여 사용한다.

↓↓↓↓↓↓
본 연구의 온톨로지는 한국학중앙연구원 디지털인문학연구소에서 제정한 EKC 온톨로지를 기반으로 설계하였다.


★ 꼭 들어가야 할 요소 : 내부링크, 외부링크




Class

Class Sub Class Description
League 토너먼트가 아닌 리그제로 이루어지는 프로축구 리그를 통칭
Supportingculture 넓은 범주의 축구 응원문화를 지칭
Team 한국리그, 일본리그, 이탈리아리그, 아르헨티나리그 프로축구 클럽팀이나 국가대표 축구팀을 지칭
Issue 연고이전, 심판매수 연고이전이나 심판매수와 같이 축구판에서 금기로 여겨지는 부정적 사건
LatinChant 스페인어로 된 가사를 가리킴
SpanishLyrics 스페인어 가사를 통칭하기 위한 클래스
SuwonChants 수원삼성 응원가를 통칭하기 위한 클래스
국내안티콜수원 수원삼성 응원가 및 구호 중 음정 변화가 두 번 이상 일어나고, 특정 대상을 비난하는 내용이 포함된 응원가
국내안티구호수원 수원삼성 응원가 및 구호 중 음정 변화가 거의 없고, 특정 대상을 비난하는 내용이 포함된 구호
국내응원가수원 수원삼성 응원가 중 음정 변화가 두 번 이상 일어나고, 특정 대상을 비난하지 않고 자신의 팀을 응원하는 내용이 포함된 응원가
IncheonChants 인천유나이티드를 응원가를 통칭하기 위한 클래스
국내응원가인천 인천유나이티드 응원가 중 특정 대상을 비난하지 않고 자신의 팀을 응원하는 내용이 포함된 응원가
국내안티콜인천 인천유나이티드 응원가 중 특정 대상을 비난하는 내용이 포함된 응원가
WebResource 동영상, 인터넷 신문 기사 월드 와이드 웹 상에서 접근할 수 있는 참고 자료
AntiTarget 안티콜의 대상이 되는 이들
Supporter 특정 프로축구 팀 혹은 국가대표 팀을 응원하기 위해 자발적이고 조직적으로 모인 단체
HowToSupport 응원도구 및 응원방법 응원가 이외의 축구팀 응원 방법 통칭
SuwonOriginalSong 수원삼성 응원가의 원곡이 되는 곡들
IncheonOriginalSong 인천유나이티드의 원곡이 되는 곡들
Instrument 응원 시에 사용되는 악기들



Relation

Relation Domain Range Description Sample Network Graph
isOriginatedFrom Supportingculture Supportingculture A가 B로부터 기원하다 수원삼성응원문화 → 인챠다스
belongsTo Team League A가 B에 속하다 수원삼성 → K리그
supports Supporter Team A가 B를 응원하다 프렌테트리콜로 → 수원삼성
have League Supportingculture A가 B를 가지고 있다 리가프로페시오날 → 인챠다스
sameColor Team Team A와 B의 상징색이 동일하다 수원삼성 → 요코하마마니로스
공성전 Team Team A와 B는 특정한 더비관계를 이룬다 수원삼성 → 전북현대
지지대더비 Team Team A와 B는 특정한 더비관계를 이룬다 수원삼성 → FC안양
수인선더비 Team Team A와 B는 특정한 더비관계를 이룬다 수원삼성 → 인천유나이티드
슈퍼매치 Team Team A와 B는 특정한 더비관계를 이룬다 수원삼성 → FC서울
연고이전더비 Team Team A와 B는 특정한 더비관계를 이룬다 FC서울 → FC안양
전설매치 Team Team A와 B는 특정한 더비관계를 이룬다 FC서울 → 전북현대
밀라노더비 Team Team A와 B는 특정한 더비관계를 이룬다 AC밀란 → 인터밀란
hasIssueOf Team Issue A는 B와 같은 사건을 저질렀다 전북현대 → 심판매수
counterChant Team AntiTarget A는 B를 향해 안티콜을 부른다 수원삼성 → FC서울
united Supporter Supporter A는 B를 위해 연합했다 수원삼성 → 붉은악마
use Supporter HowToSupport A는 B를 사용한다 프렌테트리콜로 → 플라티뇨



Data

데이터 보러가기



Semantic Data Network Graph


>


Semantic Storytelling






참고문헌

※본문 작성 시 글상자 삭제※


참고문헌은 출처 표기법에 따라 작성한다.

각주는 하단의 수평선(<hr>태그) 아래에 자동으로 표시된다.


참고문헌의 목록 순서는 저자명 ㄱ~ㅎ 순서로 하거나, 출판일(발행일) 순서로 작성한다.


★ 꼭 들어가야 할 요소 : 외부링크, 점 목록



<hr>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