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기본 류학생용-Chapter1-Verse4"의 두 판 사이의 차이
KHS DH wiki
(새 문서: {| class="wikitable" ! no !! id !! text |- | N001 ||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4-P002-S01 || 문학은 발생발전의 전력사적기간 민족문학으로 존재하...) |
|||
16번째 줄: | 16번째 줄: | ||
| N007 ||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4-P009-S01 || 사회주의민족문학은 무엇보다먼저 주체성을 민족문학의 고유한 특성으로, 사회적성격으로 뚜렷이 내세우고 주체적으로 발전시켜나간다. | | N007 ||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4-P009-S01 || 사회주의민족문학은 무엇보다먼저 주체성을 민족문학의 고유한 특성으로, 사회적성격으로 뚜렷이 내세우고 주체적으로 발전시켜나간다. | ||
|- | |- | ||
− | | N008 ||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4-P010-S01 || 민족문학이 전력사적기간에 체현하고있는 고유한 특성이 민족성이라면 자주시대의 요구와 지향에 맞는 새로운 민족문학이 체현하고 있는 사회적성격은 주체성이다.|- | + | | N008 ||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4-P010-S01 || 민족문학이 전력사적기간에 체현하고있는 고유한 특성이 민족성이라면 자주시대의 요구와 지향에 맞는 새로운 민족문학이 체현하고 있는 사회적성격은 주체성이다. |
+ | |- | ||
| N009 ||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4-P011-S01 || 문학의 주체성은 본질에 있어서 민족자주정신의 반영이며 민족의 정기와 기상, 향취가 뚜렷이 표현된 민족문학의 얼굴이며 정신이다. | | N009 ||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4-P011-S01 || 문학의 주체성은 본질에 있어서 민족자주정신의 반영이며 민족의 정기와 기상, 향취가 뚜렷이 표현된 민족문학의 얼굴이며 정신이다. | ||
|} | |} |
2025년 6월 8일 (일) 12:48 기준 최신판
no | id | text |
---|---|---|
N001 |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4-P002-S01 | 문학은 발생발전의 전력사적기간 민족문학으로 존재하고 당파적이며 계급적인 문학, 인민적인 문학으로 주류를 이루면서 발전하여 온 것만큼 문학의 사회적성격은 민족문학의 얼굴인 주체성과 당성, 로동 계급성, 인민성에서 집중적으로 표현되게 된다. |
N002 |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4-P005-S01 | 원래 문학은 사회적의식의 한 형태로 나온 것만큼 사회적성격을 첨예하게 띠게 되며 그것으로 하여 교양적역할을 담당수행하게 된다. |
N003 |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4-P005-S02 | 문학은 사람에 의하며 목적의식적으로 창조된것만큼 여기에는 창작가의 계급적립장과 관점이 반영되여있으며 계급사회에서는 서로 다른 계급문학이 존재하면서 자기 계급에게 향유되고 복무되여왔다. |
N004 |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4-P005-S03 | 사회주의 문학이 사회교양자적사명과 역할을 다하기 위해서는 당성, 로동계급 성, 인민성을 체현하여야 할 뿐아니라 주체적인 민족문학으로서의 사회적성격을 뚜렷이 내세워야 한다. |
N005 |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4-P007-S01 | 《주체성과 당성, 로동계급성, 인민성은 다같이 문학의 사회적성격 과 가치를 규정하는 기본징표이다.》 |
N006 |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4-P008-S01 | 사회주의 문학은 주체성과 당성, 로동계급성, 인민성을 사회적성격으로 확고히 체현하게 되며 그것을 사회적성격을 규정하는 기본징표로 뚜렷이 내세운다. |
N007 |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4-P009-S01 | 사회주의민족문학은 무엇보다먼저 주체성을 민족문학의 고유한 특성으로, 사회적성격으로 뚜렷이 내세우고 주체적으로 발전시켜나간다. |
N008 |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4-P010-S01 | 민족문학이 전력사적기간에 체현하고있는 고유한 특성이 민족성이라면 자주시대의 요구와 지향에 맞는 새로운 민족문학이 체현하고 있는 사회적성격은 주체성이다. |
N009 |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4-P011-S01 | 문학의 주체성은 본질에 있어서 민족자주정신의 반영이며 민족의 정기와 기상, 향취가 뚜렷이 표현된 민족문학의 얼굴이며 정신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