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기본 류학생용-Chapter1-Verse2"의 두 판 사이의 차이
KHS DH wiki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ButtonVer1| [[문학기본 류학생용-Book | 문학기본 (류학생용)]]}} | {{ButtonVer1| [[문학기본 류학생용-Book | 문학기본 (류학생용)]]}} | ||
<center> | <center> | ||
− | <html><font face="굴림" size="4"><b><a href="https://dh.aks.ac.kr/~hyunseung/wiki/index.php/문학기본_류학생용- | + | <html><font face="굴림" size="4"><b><a href="https://dh.aks.ac.kr/~hyunseung/wiki/index.php/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 target ="blank">제1장. 문학의 본성</a></b></font></html><br/> |
<html><font face="굴림" size="20"><b>제2절. 문학의 인간학적본성</b></font></html> | <html><font face="굴림" size="20"><b>제2절. 문학의 인간학적본성</b></font></html> | ||
</center> | </center> | ||
11번째 줄: | 11번째 줄: | ||
! no !! id !! style="width:60%" | text | ! no !! id !! style="width:60%" | text | ||
|- | |- | ||
− | | N001 || 문학기본_류학생용- | + | | N001 ||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001-S01 || 문학은 언어를 수단으로 하여 예술적형상을 창조하고있는데에서 예술의 다른 형태와 구별되는 언어예술로서의 개념이 주어진다면 사람을 중심으로 하여 산인간을 그리며 사람에게 복무하는 사상정서교양의 수단이라는 관점에서 볼 때 그 인간학적본성이 밝혀지게 된다. |
|- | |- | ||
− | | N002 || [[문학기본_류학생용- | + | | N002 ||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1]] || (1) 문학은 본성에 있어서 인간학 |
|- | |- | ||
− | | N003 || [[문학기본_류학생용- | + | | N003 ||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2]] || (2) 문학의 사명과 기능 |
|- | |- | ||
|} | |} |
2025년 6월 5일 (목) 12:42 기준 최신판
제1장. 문학의 본성
제2절. 문학의 인간학적본성
no | id | text |
---|---|---|
N001 |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001-S01 | 문학은 언어를 수단으로 하여 예술적형상을 창조하고있는데에서 예술의 다른 형태와 구별되는 언어예술로서의 개념이 주어진다면 사람을 중심으로 하여 산인간을 그리며 사람에게 복무하는 사상정서교양의 수단이라는 관점에서 볼 때 그 인간학적본성이 밝혀지게 된다. |
N002 |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1 | (1) 문학은 본성에 있어서 인간학 |
N003 |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2 | (2) 문학의 사명과 기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