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위

"문학기본 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1"의 두 판 사이의 차이

KHS DH wiki

3번째 줄: 3번째 줄:
 
<html><font face="굴림" size="4"><b><a href="https://dh.aks.ac.kr/~hyunseung/wiki/index.php/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2" target ="blank">제1장. 문학의 본성</a></b></font></html><br/>
 
<html><font face="굴림" size="4"><b><a href="https://dh.aks.ac.kr/~hyunseung/wiki/index.php/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2" target ="blank">제1장. 문학의 본성</a></b></font></html><br/>
 
<html><font face="굴림" size="4"><b><a href="https://dh.aks.ac.kr/~hyunseung/wiki/index.php/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2-Verse2" target ="blank">제2절. 문학의 인간학적본성</a></b></font></html><br/>
 
<html><font face="굴림" size="4"><b><a href="https://dh.aks.ac.kr/~hyunseung/wiki/index.php/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2-Verse2" target ="blank">제2절. 문학의 인간학적본성</a></b></font></html><br/>
<html><font face="굴림" size="20"><b>(1) 문학은 본성에 있어서 인간학</b></font></html>
+
<html><font face="굴림" size="20"><b>(2) 문학의 사명과 기능</b></font></html>
 
</center>
 
</center>
 
<br/>
 
<br/>
12번째 줄: 12번째 줄:
 
! no !! id !! style="width:60%" | text
 
! no !! id !! style="width:60%" | text
 
|-
 
|-
| N001 || 문학기본 류학생용-Chapter2-Verse2-Part1-P001-S01 || 문학을 무엇으로 보는가 하는 문제는 문예학에 근본문제의 하나이다.
+
| N001 || 문학기본 류학생용-Chapter2-Verse2-Part2-P001-S01 || 문학은 사람의 생활에서 없어서는 안될 중요한 수단으로서 사회교양자적사명과 기능을 담당수행한다.
 
|-
 
|-
| N002 || 문학기본 류학생용-Chapter2-Verse2-Part1-P001-S02 || 일반적으로 문예관이라고 하면 문학과 예술과 어떤 견해와 관점, 립장에서 보고 대하는가 하는것을 말한다.
+
| N002 || 문학기본 류학생용-Chapter2-Verse2-Part2-P002-S01 || 문학의 사명이 사회와 혁명앞에 지닌 맡은바 몫, 임무와 관련되여있다면 문학의 기능은 사회교양적능력, 역할과 관련되여있다.
 
|-
 
|-
| N003 || 문학기본 류학생용-Chapter2-Verse2-Part1-P001-S03 || 문예관은 문학예술의 본성과 사명, 창작원칙과 방도, 사회적가치를 밝히는데서 출발점으로 된다.
+
| N003 || 문학기본 류학생용-Chapter2-Verse2-Part2-P003-S01 || 문학은 사회적의식의 한 형태로 그 사회계급적성격에 따라 내세우는 사명과 임무, 기능과 역할이 달리 주어진다.
 
|-
 
|-
| N004 || 문학기본 류학생용-Chapter2-Verse2-Part1-P002-S01 || 문예관은 문학의 본성에 대한 견해와 관점을 줄뿐아니라 미의 본질과 창작에 대한 견해와 관점을 세워준다.
+
| N004 || 문학기본 류학생용-Chapter2-Verse2-Part2-P003-S02 || 사회주의문학과 부르죠아반동문학은 사회계급적성격에서 대립될뿐아니라 복무정신, 교양목적에서도 상반된다.
 
|-
 
|-
| N005 || 문학기본 류학생용-Chapter2-Verse2-Part1-P002-S02 || 따라서 옳바른 문예관에 기초할 때에만 문학의 본성에 대한 견해와 관점을 바로세우고 미창조, 문학예술창작을 시대사람들의 요구에 맞게 힘있게 벌려나갈수 있다.
+
| N005 || 문학기본 류학생용-Chapter2-Verse2-Part2-P004-S01 || 사회주의문학은 인민대중의 자주위업, 사회주의위업수행에 적극 이바지하는것을 숭고한 사명으로 내세운다.
 
|-
 
|-
| N006 || 문학기본 류학생용-Chapter2-Verse2-Part1-P003-S01 || 위대한 령도자 김정일동지께서는 문학은 사람을 중심으로 하여 형상창조와 인간문제의 해답, 복무정신이 밝혀지게 된다는것을 깊이 통찰하시고 주체의 문예관에 기초하여 문학의 본성에 대한 고전적정식화를 주시였다.
+
| N006 || 문학기본 류학생용-Chapter2-Verse2-Part2-P004-S02 || 그러나 부르죠아반동문학은 반동적인 착취계급의 취미와 리해관계를 반영하며 그에 복무하는것을 공개적으로 제창한다.
 
|-
 
|-
| N007 || 문학기본 류학생용-Chapter2-Verse2-Part1-P004-S01 || 위대한 령도자 김정일동지께서는 다음과 같이 교시하시였다.
+
| N007 || 문학기본 류학생용-Chapter2-Verse2-Part2-P004-S03 || 따라서 그 문학이 사회앞에 지닌 사명과 임무를 어떻게 내세우는가 하는데 따라 그것의 성격과 복무정신이 뚜렷이 밝혀지게 된다.
 
|-
 
|-
| N008 || 문학기본 류학생용-Chapter2-Verse2-Part1-P005-S01 || 《문학은 인간학이다. 산인간을 그리며 인간에게 복무한다는데 인간학으로서의 문학의 본성이 있다.》(《김정일선집》 증보판 제5권 21폐지)
+
| N008 || 문학기본 류학생용-Chapter2-Verse2-Part2-P005-S01 || 문학은 인간학으로서 인민대중의 자주성을 옹호하고 실현하기 위한 자주위업수행에 적극 복무하는것을 숭고한 사명으로 내세운다.
 
|-
 
|-
| N009 || 문학기본 류학생용-Chapter2-Verse2-Part1-P006-S01 || 문학은 본성에 있어서 인간학이다.
+
| N009 || 문학기본 류학생용-Chapter2-Verse2-Part2-P006-S01 || 위대한 령도자 김정일동지께서는 다음과 같이 교시하시였다.
 
|-
 
|-
| N010 || 문학기본 류학생용-Chapter2-Verse2-Part1-P007-S01 || 문학을 인간학으로 보는 세계관적기초는 자연과 사회의 모든 현상을 사람을 중심에 놓고 해석하고 설명하는 주체사상의 철학적원리이다.
+
| N010 || 문학기본 류학생용-Chapter2-Verse2-Part2-P007-S01 || 《인민대중의 자주성을 옹호하며 그것을 실현하기 위한 주체혁명위업수행에 적극 복무하는것은 우리 문학의 기본사명이다.》(《김정일선집》 증보판 제16권 106폐지)
 
|-
 
|-
| N011 || 문학기본 류학생용-Chapter2-Verse2-Part1-P007-S02 || 주체사상은 사람의 본질적특성과 세계에서 사람이 차지하는 지위와 역할을 새롭게 밝혀줌으로써 문학예술을 포함한 모든 사회적현상을 사람을 중심으로 하여 보고 해석할것을 요구한다.
+
| N011 || 문학기본 류학생용-Chapter2-Verse2-Part2-P008-S01 || 우리 문학은 주체의 철학적원리에 기초한 참다운 인간학인것으로 하여 인민대중의 자주위업수행에 복무하는것을 자기의 숭고한 사명으로 뚜렷이 내세운다.
 
|-
 
|-
| N012 || 문학기본 류학생용-Chapter2-Verse2-Part1-P007-S03 || 다시말하여 사람중심의 세계관인 주체사상은 세계와 자기 운명의 주인인 사람을 중심으로 하여 자연과 사회현상을 보고 대하는 관점과 립장을 세워주었다.
+
| N012 || 문학기본 류학생용-Chapter2-Verse2-Part2-P008-S02 || 주체의 인간학은 자주성에 대한 문제, 자주적인 인간에 대한 문제를 내세우고 주체형의 인간전형을 창조하며 복무정신에서도 인민대중의 자주위업수행에 이바지하는것을 본성적요구로, 기본임무로 내세운다.
 
|-
 
|-
| N013 || 문학기본 류학생용-Chapter2-Verse2-Part1-P008-S01 || 문학을 인간학으로 보는것은 바로 사람을 중심으로 하여 세계를 보고 대하는 주체사상의 철학적원리에 기초하여 새롭게 밝힌 문학의 본성에 대한 주체적이며 과학적인 해석이며 정식화이다.
+
| N013 || 문학기본 류학생용-Chapter2-Verse2-Part2-P009-S01 || 경애하는 최고령도자 김정은동지께서는 우리 문학예술의 근본사명은 당의 사상과 의도를 인민들의 심장속에 심어주고 천만군민을 불러일으켜 주체혁명위업, 선군혁명위업을 힘있게 추동해나가는것이라고 밝혀주시였다.
 
|-
 
|-
| N014 || 문학기본 류학생용-Chapter2-Verse2-Part1-P009-S01 || 문학은 사람을 중심으로 하여 그 인간학적본성을 해석할수 있는 충분한 사상리론적 및 형상적기초를 가지고있다.
+
| N014 || 문학기본 류학생용-Chapter2-Verse2-Part2-P010-S01 || 우리 문학은 이런 기본사명으로부터 혁명의 자주적주체를 강화하고 사람들을 주체형의 혁명가로 준비시켜야 할 가장 영광스러운 임무를 맡아 수행하게 되며 여기에 참다운 인간학의 기능과 역할도 있게 된다.
 
|-
 
|-
| N015 || 문학기본 류학생용-Chapter2-Verse2-Part1-P009-S02 || 문학은 사람의 생활과정에서의 그들의 미학정서적요구를 반영하여 나왔으며 산인간을 화폭의 중심에 내세우고 인간문제를 형상적으로 풀어씀으로써 사람들의 사상정서교양에 이바지한다.
+
| N015 || 문학기본 류학생용-Chapter2-Verse2-Part2-P011-S01 || 문학의 교양적기능은 문학의 사명과 임무로부터 흘러나오며 그에 의하여 규제된다.
 
|-
 
|-
| N016 || 문학기본 류학생용-Chapter2-Verse2-Part1-P009-S03 || 사람의 생활에서 없어서는 안될 중요한 수단인것으로 하여 사회가 발전하고 인민대중의 자주성이 높아질수록 문학에 대한 사람들의 요구성은 높아지며 문학이 생활에 미치는 영향력도 더욱 커진다.
+
| N016 || 문학기본 류학생용-Chapter2-Verse2-Part2-P012-S01 || 위대한 령도자 김정일동지께서는 문학이 인민대중의 자주위업수행에 적극 이바지하기 위하여서는 정치사상교양적기능, 생활인식적기능, 문화정서교양적기능을 높여야 한다고 밝혀주시였다.
 
|-
 
|-
| N017 || 문학기본 류학생용-Chapter2-Verse2-Part1-P010-S01 || 문학은 사람의 생활과정에서 그들의 미학정서적요구를 반영하여 나온것으로 하여 묘사대상과 인간문제의 제기, 사람에 대한 복무정신 등에서 사람과 뗄수없이 련결되여있으며 형상창조의 모든 문제가 사람을 중심으로 하여 세워지게 된다.
+
| N017 || 문학기본 류학생용-Chapter2-Verse2-Part2-P013-S01 || 문학은 우선 정치사상교양적기능을 수행한다.
 
|-
 
|-
| N018 || 문학기본 류학생용-Chapter2-Verse2-Part1-P010-S01 || 이것은 문학이야말로 사람과 본성적으로 이어져있으며 사람중심의 세계관에 기초하여서만 그 인간학적본성도 정확히 밝혀낼수 있다는것을 말하여준다.
+
| N018 || 문학기본 류학생용-Chapter2-Verse2-Part2-P013-S02 || 다시말하여 문학은 정치에 복무하는 사상적무기로서 사람들의 사상교양, 사상개조에 직접 이바지하며 여기에서 커다란 감화력을 가진다.
 
|-
 
|-
| N019 || 문학기본 류학생용-Chapter2-Verse2-Part1-P011-S01 || 위대한 령도자 김정일동지께서는 다음과 같이 교시하시였다.
+
| N019 || 문학기본 류학생용-Chapter2-Verse2-Part2-P014-S01 || 문학의 정치사상교양의 기능은 그 문학이 맡은 바 임무, 사상교양의 과업과 관련된다.
 
|-
 
|-
| N020 || 문학기본 류학생용-Chapter2-Verse2-Part1-P012-S01 || 《우리는 주체사상에 기초하여 인간학으로서의 문학의 본성은 인간과 생활을 그리며 인간에게 복무한다는데에 있다는 견해를 내놓았다.》 (《김정일선집》 증보판 제16권 113폐지)
+
| N020 || 문학기본 류학생용-Chapter2-Verse2-Part2-P014-S02 || 우리 문학은 주체의 인간학으로서 사회정치적생명체를 영원한 형상원천으로 삼고 주체의 철학적원리에 기초함으로써 인민대중을 자주위업수행에로 불러일으키는 정치사상교양을 힘있게 실현한다.
 
|-
 
|-
| N021 || 문학기본 류학생용-Chapter2-Verse2-Part1-P013-S01 || 인간과 생활을 그리며 인간에게 복무한다는데 인간학으로서의 문학의 본성이 있다.
+
| N021 || 문학기본 류학생용-Chapter2-Verse2-Part2-P015-S01 || 문학의 정치사상교양적기능은 참다운 인간전형, 예술적형상을 통하여 미학적정서적공감력을 가지고 힘있게 실현된다.
 
|-
 
|-
| N022 || 문학기본 류학생용-Chapter2-Verse2-Part1-P013-S02 || 다시말하여 인간형상을 창조하여 인간에게 복무한다는 여기에 사람을 중심으로 하는 문학의 인간학적본성이 있다.
+
| N022 || 문학기본 류학생용-Chapter2-Verse2-Part2-P016-S01 || 문학은 또한 생활인식기능을 수행한다.
 
|-
 
|-
| N023 || 문학기본 류학생용-Chapter2-Verse2-Part1-P014-S01 || 문학을 본성에 있어서 인간학으로 정식화한 여기에는 두가지 내용이 담겨져있다.
+
| N023 || 문학기본 류학생용-Chapter2-Verse2-Part2-P016-S02 || 문학은 사상교양과 함께 생활에 대한 폭넓은 지식과 경험, 교훈을 예술적으로 일반화하여주는 생활인식의 힘있는 수단이다.
 
|-
 
|-
| N024 || 문학기본 류학생용-Chapter2-Verse2-Part1-P014-S02 || 그 하나는 문학이 인간과 생활을 그린다는것이며 다른 하나는 문학이 인간에게 복무한다는것이다.
+
| N024 || 문학기본 류학생용-Chapter2-Verse2-Part2-P017-S01 || 문학이 생활을 깊이 인식시키는 수단으로 되는것은 작품을 통하여 사람들에게 시대의 본질과 생활발전의 합법칙성을 인식시킬뿐아니라 생활에 대한 깊은 리해와 풍부한 지식을 산 체험으로 받아들이게 하는것과 관련된다.
 
|-
 
|-
| N025 || 문학기본 류학생용-Chapter2-Verse2-Part1-P014-S03 || 이것은 주체의 문예관에 서서 볼 때 문학의 형상창조의 중심과 복무정신 등이 다 사람을 중심으로 하여 세워져있으며 주체사상이 요구를 구현하고있다는것을 말하여준다.
+
| N025 || 문학기본 류학생용-Chapter2-Verse2-Part2-P017-S02 || 원래 작품에 반영되는 생활은 복잡하고 다양하다.
 
|-
 
|-
| N026 || 문학기본 류학생용-Chapter2-Verse2-Part1-P015-S01 || 문학은 산인간을 형상의 중심에 내세우고 생동한 인간생활화폭을 창조하며 사람들의 세계관확립에 전적으로 복무하기때문에 인간을 떠나서 문학의 존재와 그 본성에 대하여 말할수 없으며 인간학적본질을 밝혀낼수도 없는것이다.
+
| N026 || 문학기본 류학생용-Chapter2-Verse2-Part2-P017-S03 || 다시말하여 작품의 생활에는 자주성을 옹호하기 위한 인민대중의 영웅투쟁으로부터 시작하여 사회생활의 모든 분야 즉 정치생활과 경제생활, 군사생활과 가정생활에 이르는 생활령역이 들어오거나 반영되게 된다.
 
|-
 
|-
| N027 || 문학기본 류학생용-Chapter2-Verse2-Part1-P016-S01 || 문학은 우선 산인간을 그린다는데서 인간학적본성을 체현하게 된다.
+
| N027 || 문학기본 류학생용-Chapter2-Verse2-Part2-P017-S04 || 그러므로 작품을 통하여 사람들은 생활에 대하여 넓고 깊은 리해를 가지며 주인공의 전형적인 모습을 통하여 생활에서 나서는 여러가지 문제들을 배울수 있으며 그것을 산 체험으로 직접 받아들여 생활에 대한 인식과 지식의 폭을 넓혀가게 된다.
 
|-
 
|-
| N028 || 문학기본 류학생용-Chapter2-Verse2-Part1-P017-S01 || 문학에서 인간을 그린다는것은 현실에서와 같이 숨쉬고 사고하고 행동하는 산인간과 그 생활을 그린다는것을 말한다.
+
| N028 || 문학기본 류학생용-Chapter2-Verse2-Part2-P018-S01 || 문학은 또한 문화정서교양적기능을 수행한다.
 
|-
 
|-
| N029 || 문학기본 류학생용-Chapter2-Verse2-Part1-P017-S02 || 현실에서와 같이 숨쉬고 사고하며 행동하는 산인간의 형상을 창조하는 여기에 문학이 다른 사회적의식형태들과 구별되는 본질적인 특성이 있을뿐아니라 인간학적본성도 있게 된다.
+
| N029 || 문학기본 류학생용-Chapter2-Verse2-Part2-P018-S02 || 문화정서교양은 자주시대의 미감에 맞는 혁명적생활감정과 민족적정서를 키워주기 위한 교양으로서 사람들로 하여금 높은 문화성과 고상한 인간성을 갖추도록 한다.
 
|-
 
|-
| N030 || 문학기본 류학생용-Chapter2-Verse2-Part1-P018-S01 || 문학은 력사적으로 인간과 그 생활을 묘사대상으로 하여 그것을 현실에서와 같이 생동한 모습으로 그려냄으로써 형상창조를 실현하는 사회적의식의 한 형태로 출현하게 되였으며 예술에서 고유한 형상창조의 분야를 이루게 되였다.
+
| N030 || 문학기본 류학생용-Chapter2-Verse2-Part2-P018-S03 || 뿐만아니라 사람들에게 아름답고 고상한것은 긍정하고 추악하고 저렬한것에 대하여서는 부정하는 생활감정과 정서를 키워준다.
 
|-
 
|-
| N031 || 문학기본 류학생용-Chapter2-Verse2-Part1-P018-S02 || 뿐만아니라 문학은 산인간의 본질적특성을 가장 정당하게 회화적으로 그려내는 과정에 형상을 심화발전시켜나왔으며 인간학적본성을 완성시켜 주체의 인간학의 높은 경지에 이르게 되였다.
+
| N031 || 문학기본 류학생용-Chapter2-Verse2-Part2-P019-S01 || 문화정서교양적기능은 문학예술에서만 볼수 있는 고유한 특성이다.
 
|-
 
|-
| N032 || 문학기본 류학생용-Chapter2-Verse2-Part1-P019-S01 || 산인간의 본질적특성을 생동하게 그려내지 못한 문학은 결국 참다운 인간학으로 될수 없다.
+
| N032 || 문학기본 류학생용-Chapter2-Verse2-Part2-P020-S01 || 생활에서 시도 모르고 소설도 읽지 않고 지내는 목석같은 사람은 심장이 뜨거울수 없으며 이런 사람들에 대하여서는 문화성과 정서, 인간성을 겸비했다고 볼수 없다.
 
|-
 
|-
| N033 || 문학기본 류학생용-Chapter2-Verse2-Part1-P019-S02 || 다시말하여 인간의 운명문제, 정치적생명에 관한 문제를 다루지 못한 문학은 인간학의 본성적인 요구를 구현할수 없다.
+
| N033 || 문학기본 류학생용-Chapter2-Verse2-Part2-P020-S02 || 문학작품을 많이 보고 훌륭한 예술을 감상하는 과정에 사람들은 생활의 미에 대하여 느낄줄 알고 감정을 풍부화해나갈뿐아니라 체험상태를 정서적으로 감정깊게 표현할수 있다.
 
|-
 
|-
| N034 || 문학기본 류학생용-Chapter2-Verse2-Part1-P019-S03 || 문학에서 산인간을 그린다는것은 사상과 감정, 의지와 행동에서 언제나 구체적이며 생동한 인간형상을 창조한다는것을 말한다.
+
| N034 || 문학기본 류학생용-Chapter2-Verse2-Part2-P020-S03 || 기쁨과 슬픔, 생활량만과 열렬한 긍정의 열정, 치솟는 분노와 울분, 증오와 징계의 감정을 느끼고도 정서적으로 표현하지 못한다면 문화적으로 준비된 사회적존재라고 말할수 없다.(1:34)
 
|-
 
|-
| N035 || 문학기본 류학생용-Chapter2-Verse2-Part1-P019-S04 || 문학에 산인간이 없으면 개성적인 형상이 있을수 없고 형상이 없으면 문학의 고유한 본성도 살려내지 못하게 된다.
+
| N035 || 문학기본 류학생용-Chapter2-Verse2-Part2-P021-S01 || 문학과 예술은 사상과 정서가 결합된 예술적형상을 통하여 사람들을 미학정서적으로 공감시킴으로써 다른 사회적의식형태들에서는 할수 없는 문화정서교양을 가장 효과적으로 실현하게 된다.
|-
 
| N036 || 문학기본 류학생용-Chapter2-Verse2-Part1-P019-S05 || 같은 인간을 다루면서도 인간과 그 관계를 추상화된 개념으로 취급하는 사회과학과 달리 문학은 인간의 운명문제를 산인간의 생동한 형상을 통하여 풀어나감으로써 인간학으로서의 본질적특성을 가지게 된다.
 
|-
 
| N037 || 문학기본 류학생용-Chapter2-Verse2-Part1-P020-S01 || 문학은 또한 인간에게 복무하는 교양수단이라는데서 인간학적본성을 체현하게 된다.
 
|-
 
| N038 || 문학기본 류학생용-Chapter2-Verse2-Part1-P021-S01 || 문학이 인간에게 복무한다는것은 인간과 그 생활을 통하여 절실하고 의의있는 인간문제를 형상적으로 밝혀냄으로써 사람들에게 생활의 진리를 깨우쳐주며 그들을 참된 삶의 길로 이끌어준다는것을 말한다.
 
|-
 
| N039 || 문학기본 류학생용-Chapter2-Verse2-Part1-P022-S01 || 문학은 산인간의 생동한 형상을 통하여 철실하고 의의있는 인간문제를 밝혀냄으로써 사람들의 사상정서교양에 적극 복무한다.
 
|-
 
| N040 || 문학기본 류학생용-Chapter2-Verse2-Part1-P023-S01 || 문학에서 내세우는 인간문제는 사람의 운명개척과 관련된 문제로서 인간의 존엄과 가치를 좌우하는 문제이다.
 
|-
 
| N041 || 문학기본 류학생용-Chapter2-Verse2-Part1-P023-S02 || 문학에서 사람의 사회정치적생명과 관련된 인간문제를 내세우지 않고 신변잡사나 생산기술적문제를 내세운다면 사람들의 교양에 복무하는 인간학으로 될수 없다.(1:17)
 
|-
 
| N042 || 문학기본 류학생용-Chapter2-Verse2-Part1-P024-S01 || 사람들에게 생활의 진리를 깨우쳐주고 참된 삶의 길로 이끌어주는 문학만이 인간학으로서의 복무정신을 체현하게 된다.
 
|-
 
| N043 || 문학기본 류학생용-Chapter2-Verse2-Part1-P024-S02 || 참된 삶에 대한 문제는 사람들이 어떻게 살며 투쟁할것인가 하는 인간의 자주성을 옹호하고 빛내이기 위한 문제이다.
 
|-
 
| N044 || 문학기본 류학생용-Chapter2-Verse2-Part1-P024-S03 || 절실하고 의의있는 인간문제를 내세우지 못하고서는 문학이 사람들에게 교양과 교훈으로 될수 있는 문제를 밝힐수 없으며 결국은 그들에게 참답게 이바지할수 없다.
 
|-
 
| N045 || 문학기본 류학생용-Chapter2-Verse2-Part1-P024-S04 || 이처럼 문학은 인간문제의 제기와 형상창조, 복무정신 등에서 사람을 중심으로 하여 그 인간학적본성을 밝히게 된다.
 
|-
 
| N046 || 문학기본 류학생용-Chapter2-Verse2-Part1-P025-S01 || 력사적으로 보면 지난 시기 일부 사람들도 문학을 《인간학》이라고 말해왔다. 어떤 창작가는 문학이 인간을 산 자료로 하기때문에 《인간학》이라고 하였으며 어떤 사람은 문학이 인간생활을 형상하기때문에 《인간심장의 력사》라고 하였다.
 
|-
 
| N047 || 문학기본 류학생용-Chapter2-Verse2-Part1-P026-S01 || 이런 견해들은 인간학의 기본문제가 무엇인가에 대하여 똑바른 알지 못하고 다만 인간을 형상의 중심에 내세운다는 묘사대상의 견지에서 문학을 해석한 소박한 견해들이다.
 
|-
 
| N048 || 문학기본 류학생용-Chapter2-Verse2-Part1-P026-S02 || 다시말하여 형상의 중심으로는 되는 사람의 본성이 과학적으로 해명되지 못하고 문학에서 사람을 어떻게 보고 그려야 하는가 하는 근본문제가 밝혀지지 못한 조건에서 다만 묘사대상의 견지에서 문학을 《인간학》으로 부르고자 한 유물론적견해이다.(8: 172)
 
|-
 
| N049 || 문학기본 류학생용-Chapter2-Verse2-Part1-P027-S01 || 위대한 령도자 김정일동지께서 지난 시기 제기되였던 《인간학》에 대한 견해의 세계관적제한성을 명백히 밝혀주신바와 같이 문학의 인간학적본성은 대한 문제는 영생불멸의 주체사상에 의하여 력사상 처음으로 사람의 본성이 완벽하게 해명되고 사람을 어떻게 보고 그려야 하는가 하는 문학의 근본문제를 옳바로 풀수 있는 열쇠가 확고히 마련되게 됨으로써 비로소 력사적인 해답을 보게 되였다.
 
|-
 
| N050 || 문학기본 류학생용-Chapter2-Verse2-Part1-P028-S01 || 참으로 위대한 령도자 김정일동지께서는 인류문예사상사에서 처음으로 영생불멸의 주체사상에 기초하여 문학은 본성에 있어서 인간학이라는 것을 과학적으로 정식화하여주심으로써 주체시대의 참다운 인간학리론이 정립되고 완성되게 되였다.
 
 
|}
 
|}

2025년 6월 4일 (수) 22:34 판

문학기본 (류학생용)

제1장. 문학의 본성
제2절. 문학의 인간학적본성
(2) 문학의 사명과 기능




no id text
N001 문학기본 류학생용-Chapter2-Verse2-Part2-P001-S01 문학은 사람의 생활에서 없어서는 안될 중요한 수단으로서 사회교양자적사명과 기능을 담당수행한다.
N002 문학기본 류학생용-Chapter2-Verse2-Part2-P002-S01 문학의 사명이 사회와 혁명앞에 지닌 맡은바 몫, 임무와 관련되여있다면 문학의 기능은 사회교양적능력, 역할과 관련되여있다.
N003 문학기본 류학생용-Chapter2-Verse2-Part2-P003-S01 문학은 사회적의식의 한 형태로 그 사회계급적성격에 따라 내세우는 사명과 임무, 기능과 역할이 달리 주어진다.
N004 문학기본 류학생용-Chapter2-Verse2-Part2-P003-S02 사회주의문학과 부르죠아반동문학은 사회계급적성격에서 대립될뿐아니라 복무정신, 교양목적에서도 상반된다.
N005 문학기본 류학생용-Chapter2-Verse2-Part2-P004-S01 사회주의문학은 인민대중의 자주위업, 사회주의위업수행에 적극 이바지하는것을 숭고한 사명으로 내세운다.
N006 문학기본 류학생용-Chapter2-Verse2-Part2-P004-S02 그러나 부르죠아반동문학은 반동적인 착취계급의 취미와 리해관계를 반영하며 그에 복무하는것을 공개적으로 제창한다.
N007 문학기본 류학생용-Chapter2-Verse2-Part2-P004-S03 따라서 그 문학이 사회앞에 지닌 사명과 임무를 어떻게 내세우는가 하는데 따라 그것의 성격과 복무정신이 뚜렷이 밝혀지게 된다.
N008 문학기본 류학생용-Chapter2-Verse2-Part2-P005-S01 문학은 인간학으로서 인민대중의 자주성을 옹호하고 실현하기 위한 자주위업수행에 적극 복무하는것을 숭고한 사명으로 내세운다.
N009 문학기본 류학생용-Chapter2-Verse2-Part2-P006-S01 위대한 령도자 김정일동지께서는 다음과 같이 교시하시였다.
N010 문학기본 류학생용-Chapter2-Verse2-Part2-P007-S01 《인민대중의 자주성을 옹호하며 그것을 실현하기 위한 주체혁명위업수행에 적극 복무하는것은 우리 문학의 기본사명이다.》(《김정일선집》 증보판 제16권 106폐지)
N011 문학기본 류학생용-Chapter2-Verse2-Part2-P008-S01 우리 문학은 주체의 철학적원리에 기초한 참다운 인간학인것으로 하여 인민대중의 자주위업수행에 복무하는것을 자기의 숭고한 사명으로 뚜렷이 내세운다.
N012 문학기본 류학생용-Chapter2-Verse2-Part2-P008-S02 주체의 인간학은 자주성에 대한 문제, 자주적인 인간에 대한 문제를 내세우고 주체형의 인간전형을 창조하며 복무정신에서도 인민대중의 자주위업수행에 이바지하는것을 본성적요구로, 기본임무로 내세운다.
N013 문학기본 류학생용-Chapter2-Verse2-Part2-P009-S01 경애하는 최고령도자 김정은동지께서는 우리 문학예술의 근본사명은 당의 사상과 의도를 인민들의 심장속에 심어주고 천만군민을 불러일으켜 주체혁명위업, 선군혁명위업을 힘있게 추동해나가는것이라고 밝혀주시였다.
N014 문학기본 류학생용-Chapter2-Verse2-Part2-P010-S01 우리 문학은 이런 기본사명으로부터 혁명의 자주적주체를 강화하고 사람들을 주체형의 혁명가로 준비시켜야 할 가장 영광스러운 임무를 맡아 수행하게 되며 여기에 참다운 인간학의 기능과 역할도 있게 된다.
N015 문학기본 류학생용-Chapter2-Verse2-Part2-P011-S01 문학의 교양적기능은 문학의 사명과 임무로부터 흘러나오며 그에 의하여 규제된다.
N016 문학기본 류학생용-Chapter2-Verse2-Part2-P012-S01 위대한 령도자 김정일동지께서는 문학이 인민대중의 자주위업수행에 적극 이바지하기 위하여서는 정치사상교양적기능, 생활인식적기능, 문화정서교양적기능을 높여야 한다고 밝혀주시였다.
N017 문학기본 류학생용-Chapter2-Verse2-Part2-P013-S01 문학은 우선 정치사상교양적기능을 수행한다.
N018 문학기본 류학생용-Chapter2-Verse2-Part2-P013-S02 다시말하여 문학은 정치에 복무하는 사상적무기로서 사람들의 사상교양, 사상개조에 직접 이바지하며 여기에서 커다란 감화력을 가진다.
N019 문학기본 류학생용-Chapter2-Verse2-Part2-P014-S01 문학의 정치사상교양의 기능은 그 문학이 맡은 바 임무, 사상교양의 과업과 관련된다.
N020 문학기본 류학생용-Chapter2-Verse2-Part2-P014-S02 우리 문학은 주체의 인간학으로서 사회정치적생명체를 영원한 형상원천으로 삼고 주체의 철학적원리에 기초함으로써 인민대중을 자주위업수행에로 불러일으키는 정치사상교양을 힘있게 실현한다.
N021 문학기본 류학생용-Chapter2-Verse2-Part2-P015-S01 문학의 정치사상교양적기능은 참다운 인간전형, 예술적형상을 통하여 미학적정서적공감력을 가지고 힘있게 실현된다.
N022 문학기본 류학생용-Chapter2-Verse2-Part2-P016-S01 문학은 또한 생활인식기능을 수행한다.
N023 문학기본 류학생용-Chapter2-Verse2-Part2-P016-S02 문학은 사상교양과 함께 생활에 대한 폭넓은 지식과 경험, 교훈을 예술적으로 일반화하여주는 생활인식의 힘있는 수단이다.
N024 문학기본 류학생용-Chapter2-Verse2-Part2-P017-S01 문학이 생활을 깊이 인식시키는 수단으로 되는것은 작품을 통하여 사람들에게 시대의 본질과 생활발전의 합법칙성을 인식시킬뿐아니라 생활에 대한 깊은 리해와 풍부한 지식을 산 체험으로 받아들이게 하는것과 관련된다.
N025 문학기본 류학생용-Chapter2-Verse2-Part2-P017-S02 원래 작품에 반영되는 생활은 복잡하고 다양하다.
N026 문학기본 류학생용-Chapter2-Verse2-Part2-P017-S03 다시말하여 작품의 생활에는 자주성을 옹호하기 위한 인민대중의 영웅투쟁으로부터 시작하여 사회생활의 모든 분야 즉 정치생활과 경제생활, 군사생활과 가정생활에 이르는 생활령역이 들어오거나 반영되게 된다.
N027 문학기본 류학생용-Chapter2-Verse2-Part2-P017-S04 그러므로 작품을 통하여 사람들은 생활에 대하여 넓고 깊은 리해를 가지며 주인공의 전형적인 모습을 통하여 생활에서 나서는 여러가지 문제들을 배울수 있으며 그것을 산 체험으로 직접 받아들여 생활에 대한 인식과 지식의 폭을 넓혀가게 된다.
N028 문학기본 류학생용-Chapter2-Verse2-Part2-P018-S01 문학은 또한 문화정서교양적기능을 수행한다.
N029 문학기본 류학생용-Chapter2-Verse2-Part2-P018-S02 문화정서교양은 자주시대의 미감에 맞는 혁명적생활감정과 민족적정서를 키워주기 위한 교양으로서 사람들로 하여금 높은 문화성과 고상한 인간성을 갖추도록 한다.
N030 문학기본 류학생용-Chapter2-Verse2-Part2-P018-S03 뿐만아니라 사람들에게 아름답고 고상한것은 긍정하고 추악하고 저렬한것에 대하여서는 부정하는 생활감정과 정서를 키워준다.
N031 문학기본 류학생용-Chapter2-Verse2-Part2-P019-S01 문화정서교양적기능은 문학예술에서만 볼수 있는 고유한 특성이다.
N032 문학기본 류학생용-Chapter2-Verse2-Part2-P020-S01 생활에서 시도 모르고 소설도 읽지 않고 지내는 목석같은 사람은 심장이 뜨거울수 없으며 이런 사람들에 대하여서는 문화성과 정서, 인간성을 겸비했다고 볼수 없다.
N033 문학기본 류학생용-Chapter2-Verse2-Part2-P020-S02 문학작품을 많이 보고 훌륭한 예술을 감상하는 과정에 사람들은 생활의 미에 대하여 느낄줄 알고 감정을 풍부화해나갈뿐아니라 체험상태를 정서적으로 감정깊게 표현할수 있다.
N034 문학기본 류학생용-Chapter2-Verse2-Part2-P020-S03 기쁨과 슬픔, 생활량만과 열렬한 긍정의 열정, 치솟는 분노와 울분, 증오와 징계의 감정을 느끼고도 정서적으로 표현하지 못한다면 문화적으로 준비된 사회적존재라고 말할수 없다.(1:34)
N035 문학기본 류학생용-Chapter2-Verse2-Part2-P021-S01 문학과 예술은 사상과 정서가 결합된 예술적형상을 통하여 사람들을 미학정서적으로 공감시킴으로써 다른 사회적의식형태들에서는 할수 없는 문화정서교양을 가장 효과적으로 실현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