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위

"디지털스토리텔링 2024"의 두 판 사이의 차이

KHS DH wiki

(데이터 목록)
(특강 일정)
 
(사용자 12명의 중간 판 109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2번째 줄: 12번째 줄:
 
==강좌 개요==
 
==강좌 개요==
 
* 강좌명 : '''디지털스토리텔링'''
 
* 강좌명 : '''디지털스토리텔링'''
* 강의실 : 한국전통문화대학교(Korea National University of Cultural Heritage)
+
* 강의실 : 한국전통문화대학교(Korea National University of Cultural Heritage) 온지관(대학원연구동) 318호
 
* 강의 시간 : 화요일 13:00-16:00
 
* 강의 시간 : 화요일 13:00-16:00
 
* 담당 교수 : [https://www.nuch.ac.kr/mep/ots/proIntro/view.do?mnuBaseId=MNU0000855&topBaseId=MNU0000173&major=MASTERINDUSTRYM 이종욱]
 
* 담당 교수 : [https://www.nuch.ac.kr/mep/ots/proIntro/view.do?mnuBaseId=MNU0000855&topBaseId=MNU0000173&major=MASTERINDUSTRYM 이종욱]
25번째 줄: 25번째 줄:
  
 
==특강 일정==
 
==특강 일정==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
{|class="wikitable" style="width:98%; word-break:break-all;"
 
! 차수 || 날짜 || 교육내용 || 교재/참고자료
 
! 차수 || 날짜 || 교육내용 || 교재/참고자료
 
|-
 
|-
| 9 || 2024/04/30 || 데이터베이스 개론 || [https://dh.aks.ac.kr/~hyunseung/edu/2024DigitalStorytelling01.pdf 데이터베이스 개론 PDF] <br/> [https://dh.aks.ac.kr/~hyunseung/edu/2024DigitalStorytelling03.pdf 데이터베이스 모델링 PDF]
+
| 9 || 2024/04/30 || 데이터베이스 개론 || * [https://dh.aks.ac.kr/~hyunseung/document/2024DigitalStorytelling01.pdf 데이터베이스 개론 PDF] <br/> * [https://dh.aks.ac.kr/~hyunseung/document/2024DigitalStorytelling03.pdf 데이터베이스 모델링 PDF] <font color="Tomato">(수정해서 재업로드하기)</font>
 
|-
 
|-
| 10 || 2024/05/07 || SQL 활용실습 || [https://dh.aks.ac.kr/~hyunseung/edu/2024DigitalStorytelling04.pdf MS-SQL Server Management Studio 설치 PDF]
+
| 10 || 2024/05/07 || SQL 활용실습 || * [https://dh.aks.ac.kr/~hyunseung/document/2024DigitalStorytelling04.pdf MS-SQL Server Management Studio 설치 PDF]<br/> * [https://dh.aks.ac.kr/~hyunseung/document/2024DigitalStorytelling06.pdf SQL 실습(1) PDF]<br/> * [https://dh.aks.ac.kr/~hyunseung/document/2024DigitalStorytelling08.pdf SQL 실습(2) PDF]<br/> * [https://dh.aks.ac.kr/~hyunseung/document/2024DigitalStorytelling09.pdf SQL 실습(3) PDF]<br/> * [https://dh.aks.ac.kr/~hyunseung/document/2024DigitalStorytelling10.pdf SQL 실습(4) PDF]
 
|-
 
|-
| 11 || 2024/05/14 || 시맨틱 데이터 아카이브의 이해 ||  
+
| 11 || 2024/05/14 || 시맨틱 데이터 아카이브의 이해 || * [https://dh.aks.ac.kr/~hyunseung/document/2024DigitalStorytelling05.pdf 시맨틱 데이터 모델링 PDF]<br/> * [https://dh.aks.ac.kr/~tutor/Documents/PDF/2024/김현-2024-디지털큐레이션(02).pdf 김현, ‘디지털 큐레이션을 가능하게 하는 도구와 기술’, 2024년 한국학대학원 「인문정보학입문」 강의 자료]<br/> * [https://dh.aks.ac.kr/~hyunseung/document/2024DigitalStorytelling07.pdf 온톨로지의 이해 PDF] <br/> * [https://dh.aks.ac.kr/Edu/wiki/index.php/인문정보학_온톨로지_설계_가이드라인 인문정보학 온톨로지 설계 가이드라인]
 
|-
 
|-
| 12 || 2024/05/21 || 시맨틱 데이터 아카이브 제작 실습 || [https://dh.aks.ac.kr/~hyunseung/edu/2024DigitalStorytelling02.pdf 네트워크 그래프 제작 PDF] <br/>[https://dh.aks.ac.kr/~hyunseung/wiki/index.php/Network_Graph_in_Wiki_2024 Network Graph in Wiki 2024]
+
| 12 || 2024/05/21 || 시맨틱 데이터 아카이브 제작 실습 || * [https://dh.aks.ac.kr/~hyunseung/document/2024DigitalStorytelling02.pdf 네트워크 그래프 제작 PDF] <br/>* [https://dh.aks.ac.kr/~hyunseung/wiki/index.php/Network_Graph_in_Wiki_2024 Network Graph in Wiki 2024]
 
|-
 
|-
| 13 || 2024/05/28 || 디지털 스토리텔링과 스토리 네트워크 ||
+
| 13 || 2024/05/28 || 디지털 스토리텔링과 스토리 네트워크 || * [https://dh.aks.ac.kr/Encyves/wiki/index.php/대문 한국 기록유산 Encyves] / [https://dh.aks.ac.kr/Encyves/wiki/index.php/EKC_Data_Model-Draft_1.1 EKC Data Model 1.1] <br/> * [https://dh.aks.ac.kr/hanyang2/wiki/index.php/대문 한양도성 타임머신] / [https://dh.aks.ac.kr/hanyang2/wiki/index.php/Ontology:EKC_2022 EKC Data Model 2022]
 
|-
 
|-
| 14 || 2024/06/04 || 시맨틱 데이터 관리기 운영 실습 ||  
+
| 14 || 2024/06/04 || 시맨틱 데이터 관리기 운영 실습 || * [https://dh.aks.ac.kr/hanyang2/wiki/index.php/Semantic_Network_Data_Management_Studio:_Online_Manual 시맨틱 데이터 관리기 온라인 메뉴얼]
 
|-
 
|-
 
|}
 
|}
44번째 줄: 44번째 줄:
  
 
==수강생==
 
==수강생==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center; background:white"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center;"
 
! No. !! 이름 !! 학과 !! WikiList
 
! No. !! 이름 !! 학과 !! WikiList
 
|-
 
|-
71번째 줄: 71번째 줄:
 
<br/>
 
<br/>
  
==교육 실습==
+
==Class Project==
 +
<center><big>'''공주·부여 문화유산 시맨틱 데이터 네트워크'''</big></center></br>
 +
<html>
 +
<iframe width="100%" height="800px" src="https://dh.aks.ac.kr/~sandbox/cgi-bin/GuestQuery.py?db=knuch2024&project=knuch2024&key=국립부여박물관"></iframe>
 +
<input type="button" value="전체화면" onclick="location.href='https://dh.aks.ac.kr/~sandbox/cgi-bin/GuestQuery.py?db=knuch2024&project=knuch2024&key=국립부여박물관'" />
 +
</html>
  
===실습 도구===
+
===디지털 스토리텔링===
* [[Class2024 디지털 큐레이션 도구]]
+
{| class="wikitable" style="width:100%; word-break:break-all;"
* [[위키 문법]]
 
* [[출처 표기법]]
 
* [https://www.urldecoder.org/ko/ Url 변환]
 
* [https://tableconvert.com/ 테이블 변환]
 
* [https://www.w3schools.com/tags/ref_colornames.asp HTML 색상 코드]
 
 
 
===네트워크 그래프 제작 실습===
 
* [[Network Graph in Wiki 2024| 위키 문서로 네트워크 그래프를 만드는 방법]]
 
* [[네트워크 그래프용 아이콘]]
 
* 아이콘 참고 사이트: [https://icons8.com/icons icons8], [https://icon-icons.com/ko/ icon-icons]
 
 
 
===데이터 제작 실습===
 
* [[예시:창경궁 통명전 | 데이터 문서 샘플 (창경궁 통명전)]]
 
* [https://dh.aks.ac.kr/~hyunseung/wiki/index.php/분류:명함 위키 명함 목록]
 
 
 
===SQL 실습 자료===
 
* [https://dh.aks.ac.kr/~hyunseung/edu/2024knuchClass.xlsx 2024knuchClass 엑셀 다운로드]
 
 
 
===Class Project===
 
{| class="wikitable" style="width:100%; word-break:break-all; background:white;"
 
 
! Curator !! Project 1 !! Project 2 !! Project 3  
 
! Curator !! Project 1 !! Project 2 !! Project 3  
 
|-
 
|-
| 김현승 || [https://dh.aks.ac.kr/Edu/wiki/index.php/Story:hanbok2024-1 디지털 스토리텔링 예시] / [[시맨틱 데이터 아카이브 양식1]] || Episode || Story
+
| [[Knuch:이수현|이수현]] || [https://dh.aks.ac.kr/~hyunseung/edu/2024knuch_sample01.xlsx 궁중연향 연습 01 자료 다운로드] <br/> [[Knuch:2024궁중연향01.lst]] || [[S2024이수현-A:백제_무령왕의_문화유산 ]] <br/> [[S2024이수현-B:백제_성왕의_문화유산]] <br/> [[S2024이수현-C:백제_위덕왕의_문화유산]] || [[S2024이수현]] <br/> [[Story:S2024이수현|Story:S2024이수현:'''백제_무령왕부터_위덕왕까지의_문화유산''']]
 
|-
 
|-
| [[Knuch:이수현|이수현]] || [https://dh.aks.ac.kr/~hyunseung/edu/2024knuch_sample01.xlsx 궁중연향 연습 01 자료 다운로드] / [[Knuch:2024궁중연향01.lst]] ||  ||  
+
| [[Knuch:서단비|서단비]] || [https://dh.aks.ac.kr/~hyunseung/edu/2024knuch_sample02.xlsx 궁중연향 연습 02 자료 다운로드] <br/> [[Knuch:2024궁중연향02.lst]] ||  [[S2024서단비-A:공산성]] <br/> [[S2024서단비-B:무령왕릉]] <br/> [[S2024서단비-C:웅진시대왕실사람]] || [[S2024서단비]] <br/> [[Story:S2024서단비|Story:S2024서단비:'''웅진백제시대''']]
 
|-
 
|-
| [[Knuch:서단비|서단비]] || [https://dh.aks.ac.kr/~hyunseung/edu/2024knuch_sample02.xlsx 궁중연향 연습 02 자료 다운로드] / [[Knuch:2024궁중연향02.lst]] || ||  
+
| [[Knuch:성지수|성지수]] || [https://dh.aks.ac.kr/~hyunseung/edu/2024knuch_sample03.xlsx 궁중연향 연습 03 자료 다운로드] <br/> [[Knuch:2024궁중연향03.lst]] || [[S2024성지수-A:국립부여박물관 소장품]] <br/> [[S2024성지수-B:국립익산박물관_소장품]] <br/> [[S2024성지수-C:국립공주박물관_소장품]] || [[S2024성지수]] <br/> [[Story:S2024성지수|Story:S2024성지수:'''국립박물관들의_소장품''']]
 
|-
 
|-
| [[Knuch:성지수|성지수]] || [https://dh.aks.ac.kr/~hyunseung/edu/2024knuch_sample03.xlsx 궁중연향 연습 03 자료 다운로드] / [[Knuch:2024궁중연향03.lst]] ||  ||  
+
| [[Knuch:남현준|남현준]] || [https://dh.aks.ac.kr/~hyunseung/edu/2024knuch_sample04.xlsx 궁중연향 연습 04 자료 다운로드] <br/> [[Knuch:2024궁중연향04.lst]] ||  [[S2024남현준-A:사비시대_산성]] <br/> [[S2024남현준-B:백제 사비시대 후기]] <br/> [[S2024남현준-C:사비시대_왕실]] <br/> || [[S2024남현준]] <br/> [[Story:S2024남현준|Story:S2024남현준:'''백제_사비시대_역사''']]
 
|-
 
|-
| [[Knuch:남현준|남현준]] || [https://dh.aks.ac.kr/~hyunseung/edu/2024knuch_sample04.xlsx 궁중연향 연습 04 자료 다운로드] / [[Knuch:2024궁중연향04.lst]] || ||  
+
| [[Knuch:박서은|박서은]] || [https://dh.aks.ac.kr/~hyunseung/edu/2024knuch_sample05.xlsx 궁중연향 연습 05 자료 다운로드] <br/> [[Knuch:2024궁중연향05.lst]] || [[S2024박서은-1:백제역사유적지구]] <br/> [[S2024박서은-1.1:백제역사유적지구-부여]] <br/> [[S2024박서은-1.2:백제역사유적지구-익산미륵사지]] || [[S2024박서은]] <br/> [[Story:S2024박서은|Story:S2024박서은:'''백제역사유적지구''']]
 
|-
 
|-
| [[Knuch:박서은|박서은]] || [https://dh.aks.ac.kr/~hyunseung/edu/2024knuch_sample05.xlsx 궁중연향 연습 05 자료 다운로드] / [[Knuch:2024궁중연향05.lst]] || ||  
+
| [[Knuch:송미현|송미현]] || [https://dh.aks.ac.kr/~hyunseung/edu/2024knuch_sample06.xlsx 궁중연향 연습 06 자료 다운로드] <br/> [[Knuch:2024궁중연향06.lst]] || [[S2024송미현-A:부소산의_문화유산]] <br/> [[S2024송미현-B:부여_왕성]] <br/> [[S2024송미현-C:부여_고분]] || [[S2024송미현]] <br/> [[Story:S2024송미현|Story:S2024송미현:'''부여의_왕실과_귀족_문화''']]
 
|-
 
|-
| [[Knuch:송미현|송미현]] || [https://dh.aks.ac.kr/~hyunseung/edu/2024knuch_sample06.xlsx 궁중연향 연습 06 자료 다운로드] / [[Knuch:2024궁중연향06.lst]] || ||  
+
| [[Knuch:고경민|고경민]] || [https://dh.aks.ac.kr/~hyunseung/edu/2024knuch_sample07.xlsx 궁중연향 연습 07 자료 다운로드] <br/> [[Knuch:2024궁중연향07.lst]] || [[S2024고경민-A:부여_유적]] <br/> [[S2024고경민-B:익산_유적]] <br/> [[S2024고경민-C:부여_능산리사지_석조사리감]] || [[S2024고경민]] <br/> [[Story:S2024고경민|Story:S2024고경민:'''부여와_익산의_유적과_유물''']]
 
|-
 
|-
| [[Knuch:고경민|고경민]] || [https://dh.aks.ac.kr/~hyunseung/edu/2024knuch_sample07.xlsx 궁중연향 연습 07 자료 다운로드] / [[Knuch:2024궁중연향07.lst]] || ||  
+
| [[Knuch:이아현|이아현]] || [https://dh.aks.ac.kr/~hyunseung/edu/2024knuch_sample08.xlsx 궁중연향 연습 08 자료 다운로드] <br/> [[Knuch:2024궁중연향08.lst]] || [[S2024이아현-A:공주_마곡사]] <br/> [[S2024이아현-B:부여_무량사]] <br/> [[S2024이아현-C:공주_계룡산_사찰]] <br/> || [[S2024이아현]] <br/> [[Story:S2024이아현|Story:S2024이아현:'''공주_부여_주요사찰''']]
 
|-
 
|-
| [[Knuch:이아현|이아현]] || [https://dh.aks.ac.kr/~hyunseung/edu/2024knuch_sample08.xlsx 궁중연향 연습 08 자료 다운로드] / [[Knuch:2024궁중연향08.lst]] || ||  
+
| [[Knuch:이정빈|이정빈]] || [https://dh.aks.ac.kr/~hyunseung/edu/2024knuch_sample09.xlsx 궁중연향 연습 09 자료 다운로드] <br/> [[Knuch:2024궁중연향09.lst]] || [[S2024이정빈-A:사찰건축]] <br/> [[S2024이정빈-B:국가건축]] <br/> [[S2024이정빈-C:기타건축]] <br/> || [[S2024이정빈]] <br/> [[Story:S2024이정빈|Story:S2024이정빈'''도시적관점_부여''']]
 
|-
 
|-
| [[Knuch:이정빈|이정빈]] || [https://dh.aks.ac.kr/~hyunseung/edu/2024knuch_sample09.xlsx 궁중연향 연습 09 자료 다운로드] / [[Knuch:2024궁중연향09.lst]] ||  ||  
+
| [[Knuch:정의윤|정의윤]] || [https://dh.aks.ac.kr/~hyunseung/edu/2024knuch_sample10.xlsx 궁중연향 연습 10 자료 다운로드] <br/> [[Knuch:2024궁중연향10.lst]] ||  [[S2024정의윤-A:삼국시대]] <br/> [[S2024정의윤-B:고려시대]] <br/> [[S2024정의윤-C:조선시대]] || [[S2024정의윤]] <br/> [[Story:S2024정의윤|Story:S2024정의윤:'''시대별_부여와_공주의_국가유산''']]
 
|-
 
|-
| [[Knuch:정의윤|정의윤]] || [https://dh.aks.ac.kr/~hyunseung/edu/2024knuch_sample10.xlsx 궁중연향 연습 10 자료 다운로드] / [[Knuch:2024궁중연향10.lst]] || ||  
+
| [[Knuch:김대안|김대안]]|| [https://dh.aks.ac.kr/~hyunseung/edu/2024knuch_sample11.xlsx 궁중연향 연습 11 자료 다운로드] <br/> [[Knuch:2024궁중연향11.lst]] || [[S2024김대안-A:고려삼은]] <br/> [[S2024김대안-B:공주향교]] <br/> [[S2024김대안-C:부여향교]] <br/> || [[S2024김대안]] <br/> [[Story:S2024김대안|Story:S2024김대안:'''고려삼은의_이야기''']]
 
|-
 
|-
| [[Knuch:김대안|김대안]]|| [https://dh.aks.ac.kr/~hyunseung/edu/2024knuch_sample11.xlsx 궁중연향 연습 11 자료 다운로드] / [[Knuch:2024궁중연향11.lst]] || ||  
+
|}
 +
 
 +
 
 +
{| class="wikitable" style="width:100%; word-break:break-all;"
 +
|+ 샘플 양식 참고
 +
! Curator !! Project 1 !! Project 2 !! Project 3
 +
|-
 +
| 김현승 || [https://dh.aks.ac.kr/Edu/wiki/index.php/Story:hanbok2024-1 디지털 스토리텔링 예시] <br/> [[시맨틱 데이터 아카이브 양식1]] || [[S2024김현승-A:무신년진찬_주인공]] <br/> [[S2024김현승-B:궁중연향_선유락]] <br/> [[S2024김현승-C:선유락_복장]] || [[S2024김현승]] <br/> [[Story:S2024김현승|Story:S2024김현승:조선_왕실_궁중연향_문화]]
 
|-
 
|-
 
|}
 
|}
  
==과제==
+
===공주·부여 문화유산 Ontology===
* 5월 13일 월요일 오전 11시까지 메일로 제출. koreandressdhedu@gmail.com
+
* [[Ontology:Knuch 2024 Class | Knuch 2024 Class 명세]]
 +
* [[Ontology:Knuch 2024 Relation | Knuch 2024 Object Property (Relation) 명세]]
  
[[파일:Knuch2024과제0507.jpg | 800px]]
+
====참고 데이터 모델====
 +
* [https://dh.aks.ac.kr/hanyang2/wiki/index.php/Ontology:EKC_2022 참고: AKS 디지털인문학연구소 온톨로지 EKC 데이터 모델]
  
 
===데이터 목록===
 
===데이터 목록===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
* [[디지털스토리텔링 2024 1차 데이터 목록]](4월 30일): 개체 및 관계 탐색
! class !! label !! 설명 !! Relation !! note
+
* [[디지털스토리텔링 2024 2차 데이터 목록]](5월 7일): 해당 노드의 infoUrl 추가 및 필요 노드 추가
|-
+
* [[Knuch2024Data.lst| 디지털스토리텔링 2024 노드 데이터와 관계어 연결 (5월 14일)]]: 1차, 2차 데이터 목록 내용을 바탕으로 링크 연결
| 장소 || 무량사(無量寺) || 충청남도 부여군 외산면 만수산에 있는 남북국시대 통일신라 시기에 창건된 사찰. || 무량사는 남북국시대에 창건된 사찰이다.  || 이아현
+
* <del>[https://dh.aks.ac.kr/~hyunseung/edu/2024Knuch_Data_Links.xlsx 디지털스토리텔링 데이터 목록(5월 21일) 엑셀 다운로드]: Data Node 및 관계성(RDF Data) 분석</del>
|-
+
* <del>[https://dh.aks.ac.kr/~hyunseung/edu/2024Knuch_Data_Links_0529.xlsx 디지털스토리텔링 데이터 목록(5월 29일) 엑셀 다운로드]</del>
| 인물 || 김시습(金時習) || 조선전기 『매월당집』, 『금오신화』, 『만복사저포기』 등을 저술한 학자. 생육신의 한 사람. || 김시습이 정처 없이 떠돌아다니다가 마지막으로 찾아간 곳이 무량사이다.  || 이아현
+
* [https://dh.aks.ac.kr/~hyunseung/document/2024Knuch_Data_Links_0607.xlsx 디지털스토리텔링 데이터 목록(6월 7일) 엑셀 다운로드]: Story Data 구축
|-
+
 
| 보물 || 무량사 미륵불 괘불탱 || 조선 인조 5년에 그려진 대형 불교그림. || 무량사 미륵불 괘불탱은 무량사에서 관리한다.  || 이아현
+
===네트워크 그래프용 아이콘===
|-
+
* [[네트워크 그래프용 아이콘 | 공주·부여 문화유산 시맨틱 데이터 네트워크 그래프용 아이콘]]
| 장소 || 마곡사(麻谷寺) || 충청남도 공주시 사곡면 운암리 태화산 동쪽 산허리에 위치한 사찰. || 마곡사는 신라의 승려 자장이 창건된 사찰이다. || 이아현
+
 
|-
+
==교육 실습==
| 인물 || 김구(金九) || 광복 이후 대한민국 시절까지 활약한 독립운동가. || 김구가 탈옥한 뒤 숨은 곳이 마곡사이다. || 이아현
+
 
|-
+
===실습 도구===
| 장소 || 갑사(甲寺) || 충청남도 공주시 계룡면 계룡사에 있는 삼국시대에 창건된 사찰. || 갑사는 삼국시대에 창건된 사찰이다. || 이아현
+
* [[Class2024 디지털 큐레이션 도구]]
|-
+
* [https://dh.aks.ac.kr/hanyang2/wiki/index.php/Semantic_Network_Data_Management_Studio:_Online_Manual 시맨틱 데이터 관리기 온라인 메뉴얼]
| 보물 || 갑사 승탑 || 고려시대에 건립된 석조 불탑. || 갑사 승탑은 갑사에서 관리한다.  || 이아현
+
* [[위키 문법]]
|-
+
* [[출처 표기법]]
| 장소 || 신원사(新元寺) || 충청남도 공주시 계룡면 계령산에 있는 삼국시대 고구려의 보덕이 창건한 사찰. || 신원사는 삼국시대에 창건된 사찰이다.  || 이아현
+
* [https://www.urldecoder.org/ko/ Url 변환]
|-
+
* [https://tableconvert.com/ 테이블 변환]
| 장소 || 동학사(東鶴寺) || 충청남도 공주시 반포면 계룡산에 있는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의 승려 상원이 창건한 사찰. || 동학사는 남북국시대에 창건된 사찰이다. || 이아현
+
* [https://www.w3schools.com/tags/ref_colornames.asp HTML 색상 코드]
|-
+
 
| 장소 || 무량사 || 충청남도 부여군 외산면 만수산(萬壽山)에 있는 남북국시대 통일신라 시기에 창건된 사찰. || 무량사는 통일신라 시기에 창건된 부여의 사찰이다. || 성지수
+
===네트워크 그래프 제작 실습===
|-
+
* [[Network Graph in Wiki 2024| 위키 문서로 네트워크 그래프를 만드는 방법]]
| 보물 || 무량사 극락전 || 충청남도 부여군 외산면 무량사에 있는 조선시대 에 창건된 사찰건물. || 무량사 극락전은 무량사에 있는 사찰 건물이다. || 성지수
+
* 아이콘 참고 사이트: [https://icons8.com/icons icons8], [https://icon-icons.com/ko/ icon-icons]
|-
+
 
| 보물 || 무량사 오층석탑 || 무량사에 있는 고려전기 에 건립된 5층 석조 불탑. 보물. || 무량사 오층석탑은 고려전기에 건립된 불탑이다. || 성지수
+
===SQL 실습 자료===
|-
+
* [https://dh.aks.ac.kr/~hyunseung/edu/2024knuchClass.xlsx 2024knuchClass 엑셀 다운로드]
| 인물 || 김시습 || "생육신의 한 분으로, 21세 때에 수양대군(후의 세조)의 왕위찬탈 소식을 듣고 불교에 입문하여 만년을 무량사에서 보내다 입적했다." || 김시습은 무량사에서 만년을 보냈다. || 성지수
+
* [[시맨틱 데이터 SQL Script 데이터 테이블 만들기]]
|-
+
* [[시맨틱 데이터 SQL Script 노드 데이터 삽입]]
| 유형문화유산 || 무량사김시습부도 || 조선시대에 만들어진 매월당 김시습(1435∼1493)의 사리를 모신 부도이다. || 무량사김시습부도는 무량사에서 소유와 관리를 담당하고 있다. || 성지수
+
* [[시맨틱 데이터 SQL Script 링크 데이터 삽입]]
|-
+
 
| 유적 || 부여 능산리사지 || 부여나성과 부여능산리고분군 사이에 위치한 백제시대 절터유적 || 부여 능산리사지는 부여에 위치한다. || 박서은
+
==과제==
|-
+
* 나의 데이터 수정 보완 및 링크 연결하기.
| 유물 || 백제 금동대향로 || 부여 능산리사지 서쪽의 한 구덩이에서 발견된 백제의 향로 || 부여 능산리사지에서 백제 금동대향로가 발굴되었다. || 박서은
+
# <font color="green">'''[[Class2024 디지털 큐레이션 도구]]'''</font> 페이지에 들어간다.
|-
+
# <font color="green">'''[[SemanticProjectManagement]] 시맨틱 데이터 관리기'''</font> 페이지로 들어간다.(위의 과정 생략 가능)
| 유물 || 부여 능산리사지 석조사리감 || 백제 시기 사리를 보관하는 용기 || 부여 능산리사지에서 부여 능산리사지 석조사리감이 발굴되었다. || 박서은
+
# database : '''knuch2024'''
|-
+
# project : '''knuch2024'''
| 유적 || 부여 왕릉원 || 부여나성 바로 밖에 인접하여 위치하고 있으며, 백제 사비시기 왕실의 능묘군 || 부여 왕릉원은 부여에 위치한다. || 박서은
+
# account 와 password도 입력하고 접속한다.
|-
+
# 현재 형성되어 있는 노드와 링크 데이터를 바탕으로, 노드 생성 및 수정, 링크 연결을 해준다.
| 유적 || 부여 정림사지 || 백제가 부여로 도읍을 옮긴 시기(538-660)의 중심 사찰이 있던 자리 || 부여 정림사지는 부여에 위치한다. || 박서은
+
# 현재(2024.05.21)까지 적재되어 있는 노드와 링크 데이터 목록은 '''[[Knuch2024Data.lst]]''' 와 '''[https://dh.aks.ac.kr/~hyunseung/edu/2024Knuch_Data_Links.xlsx 2024Knuch_Data_Links.xlsx 엑셀 파일]''' 을 통해서 참고할 수 있다.
|-
+
 
| 건축물 || 부여 정림사지 || 충청남도 부여군 정림로 83에 위치한 삼국시대 백제 사찰 || 정림사지는 삼국시대에 창건된 백제 사찰이다. || 정의윤
+
* [https://dh.aks.ac.kr/~sandbox/cgi-bin/GuestQuery.py?db=knuch2024&project=knuch2024&key=갑사 시맨틱 데이터 검색]
|-
 
| 건축물 || 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 || 충청남도 부여군 정림로 83에 위치한 삼국시대 백제 탑 || 정림사지 내에 있는 백제 석탑이다. || 정의윤
 
|-
 
| 건축물 || 공주 갑사 승탑 || 충청남도 공주시 갑사로 567-3 (계룡면)에 위치한 삼국시대 신라 사찰 승탑 || 갑사 대웅전은 삼국시대에 제작된 신라 사찰 승탑이다. || 정의윤
 
|-
 
| 건축물 || 공주 갑사 대웅전 || 충청남도 공주시 갑사로 567-3 (계룡면)에 위치한 삼국시대 신라 사찰 건물 || 갑사 대웅전은 삼국시대에 창건된 신라 사찰 건물이다. || 정의윤
 
|-
 
| 건축물 || 공주 공산성 || 충남 공주시 산성동 2번지에 위치한 삼국시대 백제 도성 || 삼국시대에 건립된 백제 도성이다. || 정의윤
 
|-
 
| 사적 || 무령왕릉 || 충청남도 공주시 송산리 고분군 내에 있는 삼국시대 백제 제25대 무령왕과 왕비의 능. 사적이다. || 무령왕릉은 무령왕의 무덤이다. || 서단비
 
|-
 
| 국보 || 무령왕릉 지석 || 충청남도 공주시 금성동에 있는 백제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지석이다. || 국보 무령왕릉 지석은 무령왕릉에서 출토되었다. || 서단비
 
|-
 
| 국보 || 무령왕릉 석수 || 공주시 무령왕릉에서 발견된 백제 때 만들어진 석수로, 무덤 수호의 관념에서 만들어진 것이다. || 국보 무령왕릉 석수는 무령왕릉에서 출토되었다. || 서단비
 
|-
 
| 사적 || 공주 공산성 || 충남 공주시 산성동에 자리하고 있는 백제 웅진기의 왕성이다. || 공산성은 백제부흥운동의 거점지였다. || 서단비
 
|-
 
| 인물 || 문주왕 || 백제 제22대 왕이다. || 문주왕은 공산성으로 천도하였다. || 서단비
 
|-
 
| 유적 || 부여 송국리 유적 || 충청남도 부여군 초촌면에 위치한 우리나라 청동기시대를 대표하는 대규모 취락유적. || 부여 송국리 유적은 한국전통문화대학교에서 발굴조사를 진행하였다. || 고경민
 
|-
 
| 유물 || 송국리식 토기 || 청동기시대에 충청도와 전라도의 서부지방에서 만들어져 사용된 민무늬토기. || 송국리식 토기는 부여 송국리 유적에서 출토되었다. || 고경민
 
|-
 
| 유적 || 부여 능산리 사지 || 창왕(위덕왕)이 아버지 성왕의 명복을 빌기 위해 567년에 조성한 백제의 왕실사찰터. || 부여 능산리 사지는 한국전통문화대학교에서 발굴조사를 진행하였다. || 고경민
 
|-
 
| 유물 || 백제 금동대향로 || 1996년 5월 30일 국보로 지정된 7세기 초 백제의 금동향로. || 백제 금동대향로는 부여 능산리 사지에서 출토되었다. || 고경민
 
|-
 
| 유물 || 부여 능산리 사지 석조 사리감 || 1996년 5월 30일 국보로 지정된 백제의 명문사리감. || 부여 능산리 사지 석조 사리감은 부여 능산리 사지에서 출토되었다. || 고경민
 
|-
 
| 사적 || 부여 왕흥사지 || 충남 부여군 규암면 신리에 있는 왕흥사의 옛터 || 부여 왕흥사지에서 부여 왕흥사지 출토 사리기가 발견되었다. || 이수현
 
|-
 
| 국보 || 부여 왕흥사지 출토 사리기 || 백제시대 사리장엄구이자 현재까지 우리나라에서 알려진 가장 오래된 사리기 || 부여 왕흥사지 출토 사리기는 청동제사리합과 은제사리호, 금제사리병으로 구성된다. || 이수현
 
|-
 
| 사적 || 부여 정림사지 || 충남 부여군 부여음 동남리에 있는 삼국시대 백제의 사찰터 || 부여 정림사지에는 부여 정림사지 석조여래좌상과 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이 있다. || 이수현
 
|-
 
| 국보 || 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 || 부여 정림사지에 세워져 있는 오층석탑 || 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은 부여 정림사지 석조여래좌상과 남북으로 마주본다. || 이수현
 
|-
 
| 보물 || 부여 정림사지 석조여래좌상 || 고려시대에 세워진 것으로 추정되는 정림사지에 남아 있는 석조불상 || 부여 정림사지 석조여래좌상은 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과 남북으로 마주본다. || 이수현
 
|-
 
| 사적 || 무령왕릉 || 충남 공주시 송산리 고분군 내에 있는 백제 무령왕과 왕비의 능 || 무령왕릉은 백제 무령왕과 왕비의 무덤이다. || 이수현
 
|-
 
| 인물 || 무령왕 || 백제 제25대 왕 || 무령왕은 무령왕릉에 안치되었다. || 이수현
 
|-
 
| 박물관 || 국립부여박물관 || 부여군 부여읍에 위치한 국립박물관. || 국립부여박물관은 주로 부여 지역에서 출토된 유물을 전시한다. || 송미현
 
|-
 
| 유적 || 궁남지 || 부여군 부여읍에 위치한 백제 사비시대의 궁원지. || 궁남지는 '서부후항'목간의 출토지이다. || 송미현
 
|-
 
| 유적 || 부여 관북리 유적 || 부여군 부여읍에 위치한 백제 추정 왕궁지. || 부여 관북리 유적은 부여 석조의 출토지이다. || 송미현
 
|-
 
| 유물 || '서부후항'목간 || 서부후항에 사는 사달사라는 사람의 생활을 기록한 목간. || '서부후항'목간은 국립부여박물관의 소장품이다. || 송미현
 
|-
 
| 유물 || 부여 석조 || 백제 왕궁에서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물을 저장하는 용도의 석조물. || 부여 석조는 국립부여박물관의 소장품이다. || 송미현
 
|-
 
| 유물 || '중부'목간 || 백제 지역에서 처음으로 출토된 목간. || 부여 관북리 유적은 '중부'목간의 출토지이다. || 송미현
 
|-
 
| Place || 부소산성 || 백마강 남쪽 부소산을 감싸고 쌓은 산성으로 사비시대의 도성(都城)이다. || 부여 부소산성은 사적으로 지정되었다. || 서단비
 
|-
 
| Object/Heritage || 무량사 석등 || 무량사 법당 앞뜰에 세워져 있는 8각 석등이다. || 부여 무량사 석등은 무량사 내부에 있다. || 서단비
 
|-
 
| Object/Heritage || 무량사 석등 || 무량사 법당 앞뜰에 세워져 있는 8각 석등이다. || 부여 무량사 석등은 보물로 지정되어 있다.  || 서단비
 
|-
 
| Object/Heritage || 무량사오층석탑출토유물 || 1971년 무량사 오층석탑에 대한 해체·복원 작업중 발견된 9점의 유물이다. || 무량사 오층석탑에서 발견된 9점의 유물이다. || 서단비
 
|-
 
| Object/Heritage || 무량사 동종 || 무량사 동종은 임진왜란 후 무량사 중창 불사 시에 조성된 범종이다. || 무량사 동종은 무량사 내부에 있다.  || 서단비
 
|-
 
| 세계유산 || 백제역사유적지구 || 공주시, 부여군, 익산시에 위치한 문화유산으로 8곳으로 구성됨 || 부여 왕릉원은 백제역사유적지구에 포함된다 || 박서은
 
|-
 
| 장소 || 익산 미륵사지 ||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 금마면에 있는 미륵사의 사찰터 || 삼국유사에 익산 미륵사지의 설화가 등장한다 || 박서은
 
|-
 
| 장소 || 익산 미륵사 || 삼국시대에 창건된 백제 최대의 사찰. 무왕 대에 창건한 것으로 알려짐 || 익산 미륵사는 백제시대의 탑이다. || 박서은
 
|-
 
| 건축물 || 익산 미륵사지 석탑 || 미륵사에 있던 3개의 탑 중 서쪽에 위치한 탑 / 국보 || 익산 미륵사지 석탑은 익산 미륵사지에 위치한다 || 박서은
 
|-
 
| 인물 || 무왕 || 백제의 30대 왕 || 무왕이 서동요를 지었다고 전해진다 || 박서은
 
|-
 
| 유물 || 익산 미륵사지 서탑 출토 사리장엄구 (益山 彌勒寺址 西塔 出土 舍利莊嚴具) || 2009년 익산 미륵사지 서탑 심주석(心柱石)의 사리공(舍利孔)에서 출토된 유물 / 국보 || 사리장엄구는 익산 미륵사지 서탑에서 출토되었다. || 박서은
 
|-
 
| 보물 || 이색 초상-영모영당본 || 고려 말 문신 목은 이색의 초상화 영모영당본이다.  || 이색 초상-영모영당본은 부여군의 문화유산이다. || 김대안
 
|-
 
| 인물 || 이색(李穡) || 고려 말 문신이자 정치가이며 유학자, 시인. || 이색 초상-영모영당본에 그려졌다. || 김대안
 
|-
 
| 인물 || 허목(許穆) || 조선 시대 후기의 문신 및 유학자, 화가, 작가, 서예가, 사상가. || 이색 초상-영모영당본을 도서에 언급한 인물이다. || 김대안
 
|-
 
| 도서 || 미수기언(眉嫂記言) ||  조선 시대 우의정을 지낸 허목이 편찬한 책 || 이색 초상-영모영당본이 언급된 도서이다. || 김대안
 
|-
 
| 도서 || 목은화상기(牧隱畵像記) ||  조선 시대 우의정을 지낸 허목이 편찬한 책 || 이색 초상-영모영당본이 언급된 도서이다. || 김대안
 
|-
 
| 복식 || 관복 || 나라에서 정한 벼슬아치의 정복 || 이색 초상-영모영당본에서 이색이 입고 있는 복식이다. || 김대안
 
|-
 
| 소장처 || 국립부여박물관 || 충청남도에 있는 국립중앙박물관 산하 국립 박물관 || 이색 초상-영모영당본을 소장한 곳이다. || 김대안
 
|-
 
| 재질 || 비단 || 견직물을 총칭하는 용어. || 이색 초상-영모영당본이 비단으로 만들어졌다. || 김대안
 
|-
 
| 도서 || 목은집(牧隱集) || 고려 말·조선 초의 학자·정치가 이색(李穡)의 시문집. || 이색이 작성한 시문집이다. || 김대안
 
|-
 
| 인물 || 이곡(李穀) || 고려 후기「죽부인전」, 『가정집』 등을 저술한 학자. || 이색의 아버지이다. || 김대안
 
|-
 
|}
 
  
* 참고자료 : [[knuch2024:데이터수정0507]]
+
===지난 과제===
 +
* 3주차 데이터 5월 20일 월요일 오전 11시까지 메일로 제출. koreandressdhedu@gmail.com
 +
[[파일:Knuch2024과제0507.jpg | 200px]]
  
 
[[분류:김현승]] [[분류:Knuch:디지털스토리텔링]] [[분류:한국전통문화대학교]]
 
[[분류:김현승]] [[분류:Knuch:디지털스토리텔링]] [[분류:한국전통문화대학교]]

2025년 4월 28일 (월) 02:46 기준 최신판

※공지※
  1. 위키문서 작성 시, 문서 하단부에 꼭 [[분류:Knuch:‏이름]] [[분류:한국전통문화대학교]] 를 적어 주세요.
  2. 위키 문서 작성법은 "위키 문법""자기소개 문서 작성 메뉴얼"을 참고해 주세요.
  3. 위키 문서를 작성할 때 참고한 내용이 있거나 타기관 또는 타사이트의 파일을 다운받아 올릴 때는 "출처 표기법"을 참고해서 출처를 표기해주세요.
  4. 삭제를 원하는 문서에는 [[분류:삭제]] 를 적어 주세요.


강좌 개요

  • 강좌명 : 디지털스토리텔링
  • 강의실 : 한국전통문화대학교(Korea National University of Cultural Heritage) 온지관(대학원연구동) 318호
  • 강의 시간 : 화요일 13:00-16:00
  • 담당 교수 : 이종욱
  • 특강 강사 : 김현승 (koreandressdhedu@gmail.com)


교육 목표

본 교육에서는 인문학 분야의 지식 자원을 디지털 환경에서 탐구하면서 데이터베이스 및 시맨틱 데이터 아카이브로 구축하고, ‘인문지식’을 ‘데이터’로 표현하는 ‘디지털 큐레이션’과 ‘디지털 스토리텔링’을 구현하면서 현시대에 빠르게 발전하고 있는 정보 통신 기술의 사회적 비전을 파악하고, 그 가운데 인문학이 담당해야 할 역할과 기능은 무엇인지, 그 임무를 올바르게 수행하기 위해서는 어떤 방식으로 인문지식의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는지 살펴본다. 이를 위해 먼저 데이터베이스의 개념, 데이터베이스의 모델, 데이터베이스의 설계 방법 등에 대한 이론을 공부하고, 실습 과정에서는 한국학 관련 자료를 기반으로 Database Managment System(DBMS)을 통해 SQL 언어를 사용하여 데이터베이스 구현 기술을 습득한다.


특강 일정

차수 날짜 교육내용 교재/참고자료
9 2024/04/30 데이터베이스 개론 * 데이터베이스 개론 PDF
* 데이터베이스 모델링 PDF (수정해서 재업로드하기)
10 2024/05/07 SQL 활용실습 * MS-SQL Server Management Studio 설치 PDF
* SQL 실습(1) PDF
* SQL 실습(2) PDF
* SQL 실습(3) PDF
* SQL 실습(4) PDF
11 2024/05/14 시맨틱 데이터 아카이브의 이해 * 시맨틱 데이터 모델링 PDF
* 김현, ‘디지털 큐레이션을 가능하게 하는 도구와 기술’, 2024년 한국학대학원 「인문정보학입문」 강의 자료
* 온톨로지의 이해 PDF
* 인문정보학 온톨로지 설계 가이드라인
12 2024/05/21 시맨틱 데이터 아카이브 제작 실습 * 네트워크 그래프 제작 PDF
* Network Graph in Wiki 2024
13 2024/05/28 디지털 스토리텔링과 스토리 네트워크 * 한국 기록유산 Encyves / EKC Data Model 1.1
* 한양도성 타임머신 / EKC Data Model 2022
14 2024/06/04 시맨틱 데이터 관리기 운영 실습 * 시맨틱 데이터 관리기 온라인 메뉴얼


수강생

No. 이름 학과 WikiList
1 이수현 무형유산학과 이수현의 위키문서
2 서단비 문화재관리학과 서단비의 위키문서
3 성지수 문화재관리학과 성지수의 위키문서
4 남현준 문화재관리학과 남현준의 위키문서
5 박서은 융합고고학과 박서은의 위키문서
6 송미현 융합고고학과 송미현의 위키문서
7 고경민 융합고고학과 고경민의 위키문서
8 이아현 융합고고학과 이아현의 위키문서
9 이정빈 전통건축학과 이정빈의 위키문서
10 정의윤 전통건축학과 정의윤의 위키문서
11 김대안 무형유산학과 김대안의 위키문서


Class Project

공주·부여 문화유산 시맨틱 데이터 네트워크


디지털 스토리텔링

Curator Project 1 Project 2 Project 3
이수현 궁중연향 연습 01 자료 다운로드
Knuch:2024궁중연향01.lst
S2024이수현-A:백제_무령왕의_문화유산
S2024이수현-B:백제_성왕의_문화유산
S2024이수현-C:백제_위덕왕의_문화유산
S2024이수현
Story:S2024이수현:백제_무령왕부터_위덕왕까지의_문화유산
서단비 궁중연향 연습 02 자료 다운로드
Knuch:2024궁중연향02.lst
S2024서단비-A:공산성
S2024서단비-B:무령왕릉
S2024서단비-C:웅진시대왕실사람
S2024서단비
Story:S2024서단비:웅진백제시대
성지수 궁중연향 연습 03 자료 다운로드
Knuch:2024궁중연향03.lst
S2024성지수-A:국립부여박물관 소장품
S2024성지수-B:국립익산박물관_소장품
S2024성지수-C:국립공주박물관_소장품
S2024성지수
Story:S2024성지수:국립박물관들의_소장품
남현준 궁중연향 연습 04 자료 다운로드
Knuch:2024궁중연향04.lst
S2024남현준-A:사비시대_산성
S2024남현준-B:백제 사비시대 후기
S2024남현준-C:사비시대_왕실
S2024남현준
Story:S2024남현준:백제_사비시대_역사
박서은 궁중연향 연습 05 자료 다운로드
Knuch:2024궁중연향05.lst
S2024박서은-1:백제역사유적지구
S2024박서은-1.1:백제역사유적지구-부여
S2024박서은-1.2:백제역사유적지구-익산미륵사지
S2024박서은
Story:S2024박서은:백제역사유적지구
송미현 궁중연향 연습 06 자료 다운로드
Knuch:2024궁중연향06.lst
S2024송미현-A:부소산의_문화유산
S2024송미현-B:부여_왕성
S2024송미현-C:부여_고분
S2024송미현
Story:S2024송미현:부여의_왕실과_귀족_문화
고경민 궁중연향 연습 07 자료 다운로드
Knuch:2024궁중연향07.lst
S2024고경민-A:부여_유적
S2024고경민-B:익산_유적
S2024고경민-C:부여_능산리사지_석조사리감
S2024고경민
Story:S2024고경민:부여와_익산의_유적과_유물
이아현 궁중연향 연습 08 자료 다운로드
Knuch:2024궁중연향08.lst
S2024이아현-A:공주_마곡사
S2024이아현-B:부여_무량사
S2024이아현-C:공주_계룡산_사찰
S2024이아현
Story:S2024이아현:공주_부여_주요사찰
이정빈 궁중연향 연습 09 자료 다운로드
Knuch:2024궁중연향09.lst
S2024이정빈-A:사찰건축
S2024이정빈-B:국가건축
S2024이정빈-C:기타건축
S2024이정빈
Story:S2024이정빈도시적관점_부여
정의윤 궁중연향 연습 10 자료 다운로드
Knuch:2024궁중연향10.lst /
S2024정의윤-A:삼국시대
S2024정의윤-B:고려시대
S2024정의윤-C:조선시대
S2024정의윤
Story:S2024정의윤:시대별_부여와_공주의_국가유산
김대안 궁중연향 연습 11 자료 다운로드
Knuch:2024궁중연향11.lst
S2024김대안-A:고려삼은
S2024김대안-B:공주향교
S2024김대안-C:부여향교
S2024김대안
Story:S2024김대안:고려삼은의_이야기


샘플 양식 참고
Curator Project 1 Project 2 Project 3
김현승 디지털 스토리텔링 예시
시맨틱 데이터 아카이브 양식1
S2024김현승-A:무신년진찬_주인공
S2024김현승-B:궁중연향_선유락
S2024김현승-C:선유락_복장
S2024김현승
Story:S2024김현승:조선_왕실_궁중연향_문화

공주·부여 문화유산 Ontology

참고 데이터 모델

데이터 목록

네트워크 그래프용 아이콘

교육 실습

실습 도구

네트워크 그래프 제작 실습

SQL 실습 자료

과제

  • 나의 데이터 수정 보완 및 링크 연결하기.
  1. Class2024 디지털 큐레이션 도구 페이지에 들어간다.
  2. SemanticProjectManagement 시맨틱 데이터 관리기 페이지로 들어간다.(위의 과정 생략 가능)
  3. database : knuch2024
  4. project : knuch2024
  5. account 와 password도 입력하고 접속한다.
  6. 현재 형성되어 있는 노드와 링크 데이터를 바탕으로, 노드 생성 및 수정, 링크 연결을 해준다.
  7. 현재(2024.05.21)까지 적재되어 있는 노드와 링크 데이터 목록은 Knuch2024Data.lst2024Knuch_Data_Links.xlsx 엑셀 파일 을 통해서 참고할 수 있다.

지난 과제

  • 3주차 데이터 5월 20일 월요일 오전 11시까지 메일로 제출. koreandressdhedu@gmail.com

Knuch2024과제0507.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