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위

"자연유산캡스톤디자인2-이가연"의 두 판 사이의 차이

KHS DH wiki

(연구 방법)
(연구 방법)
43번째 줄: 43번째 줄:
  
 
'''3. 경관 변천과정 설명''' <br/>
 
'''3. 경관 변천과정 설명''' <br/>
: 던웨스트 대학교 The Knight Lab에서 제공하는 [https://timeline.knightlab.com/ Timeline JS]와 [https://Storymap.knightlab.com/ Story JS] 그리고 [https://juxtapose.knightlab.com/ juxtapose JS] 웹 서비스를 활용하여 대상지 경관의 변천과정을 설명하고자 합니다.
+
: 던웨스트 대학교 The Knight Lab에서 제공하는 [https://timeline.knightlab.com/ Timeline JS]와 [https://Storymap.knightlab.com/ StoryMapJS] 그리고 [https://juxtapose.knightlab.com/ juxtapose JS] 웹 서비스를 활용하여 대상지 경관의 변천과정을 설명하고자 합니다.
 
<br/>
 
<br/>
 
<br/>
 
<br/>

2025년 3월 31일 (월) 01:54 판

백제 사비도성 디지털 아카이브 바로가기


사비도성 유적과 그 삶의 이야기


전통조경학과 이가연

피드백 사항


2025.03.20

순번 피드백 수정사항 수정위치
1 디지털 큐레이션 속도가 늦어지는 이유 파악하기 이용자들에서 어떤 정보를 중점으로 보여줄 것인지 확정하지 못하여 속도가 늦춰짐 2 연구 목적
2 파노라마, 3차원 기록화 url 저작권 검토하기 파노라마, 3차원 기록화: 메인 페이지에 직접링크(deep link) 사용 예정 백제 사비도성
디지털 아카이브
3 더욱 체계적인 네트워크 그래프 제작하기 출토유물 노드 추가, 지명 노드 추가, 위치 관계어 세분화
⇒ 공간 정보 제공 및 노드간의 유기적 연결성 증가
4.2 Digital Curation
4 온톨로지를 사용하는 이유 즉, 차별성 설명하기 다른 온톨로지와 달리 위치 관계어를 세부화 하여 위치관련 정보를 제시하고자 함
Timeline, StoryMap을 배치(가제: 유리건판으로 만나는 부소산성)
⇒ 관계어로 설명이 부족한 부분 보충설명 가능
3 연구 방법

2025.03.27

순번 피드백 수정사항 수정위치



연구 목적


[사비도성 유적과 문헌사료 등을 통해 당시 백제 규모를 추정하고, 멸망 이후 변천과정을 조망하고자 합니다.]
국가유산청은 2017년 부터 2038년 까지 백제왕도 핵심유적 보존관리사업의 세부과제 중 하나로, 백제왕도 핵심유적 기록물의 효율적인 관리와 대국민 활용을 목적으로 디지털 아카이브를 구축사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현재 제공되는 아카이브의 자료통계를 보게되면, 문헌: 1,823건, 고고·미술: 1,841건, 보존과학: 53건, 지리·환경: 60건, 기타 148건(2025.03.27일 기준)으로 지리·환경에 대한 자료가 부족한 실정이며, 제공되는 자료 또한 일반인들이 접근하기란 쉽지 않습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리·환경을 중점으로 디지털 아카이브를 구축하고자 합니다.

연구 방법


1. 스토리텔링 선정

국가유산청에서 제공하는 국가유산 이야기마당을 통해 서비스 이용자들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사비도성 유적의 이야기를 선정합니다. 본 연구는 부여 가림성, 부여 부소산성, 부여 왕릉원, 부여 정림사지, 부여 능산리 사지가 대상인 스토리텔링을 선정하여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합니다.

2. 문맥요소 추출 및 온톨로지 설계

선정한 스토리텔링 속의 문맥요소를 추출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합니다. 이후, 추출된 문맥요소는 온톨로지에 맞춰 노드정보와 관계어를 추가합니다. 본 연구의 온톨로지는 “한국의 전통문화 속의 역사적 사실관계 및 그 사실의 문헌적 근거에 의한 지식을 데이터화”하기 위해 개발한 EKC(Encyves of Korean Culture) 데이터 모델을 기초로 합니다. 이때, 관계어는 위치 관계어을 세분화 하여(ex: ~에_위치한다 ⇒ ~의_동쪽에_위치한다) 노드 간의 위치관계를 집중하여 보여주고자 합니다.

3. 경관 변천과정 설명

던웨스트 대학교 The Knight Lab에서 제공하는 Timeline JSStoryMapJS 그리고 juxtapose JS 웹 서비스를 활용하여 대상지 경관의 변천과정을 설명하고자 합니다.



연구 결과

Semantic Network Graph





Digital Curation





기대효과 및 활용방안


  • 비선형적 지식 학습체계 제공
  • 콘텐츠 소스 제공
  • 새로운 아이디어 창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