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위

"자연유산캡스톤디자인2-이가연"의 두 판 사이의 차이

KHS DH wiki

(연구 방법)
(연구 방법)
31번째 줄: 31번째 줄:
 
<br/>
 
<br/>
 
'''1. 스토리텔링 선정''' <br/>
 
'''1. 스토리텔링 선정''' <br/>
: 국가유산청에서 제공하는 [https://www.khs.go.kr/html/HtmlPage.do?pg=/heritage/cul/cul_story_map.jsp&mn=NS_03_08_03 국가유산 이야기마당]을 통해  
+
: 국가유산청에서 제공하는 [https://www.khs.go.kr/html/HtmlPage.do?pg=/heritage/cul/cul_story_map.jsp&mn=NS_03_08_03 국가유산 이야기마당]을 통해 사비도성 유적의 이야기를 찾습니다. 본 연구는 [https://www.khs.go.kr/cop/bbs/selectBoardArticle.do?nttId=64038&bbsId=BBSMSTR_1222&rnum=5 부여 가림성], [https://www.khs.go.kr/cop/bbs/selectBoardArticle.do?nttId=64044&bbsId=BBSMSTR_1222&rnum=6 부여 부소산성], [https://www.khs.go.kr/cop/bbs/selectBoardArticle.do?nttId=64040&bbsId=BBSMSTR_1222&rnum=11 부여 왕릉원], [https://www.khs.go.kr/cop/bbs/selectBoardArticle.do?nttId=64047&bbsId=BBSMSTR_1222&rnum=16 부여 정림사지], [https://www.khs.go.kr/cop/bbs/selectBoardArticle.do?nttId=64041&bbsId=BBSMSTR_1222&rnum=18 부여 능산리 사지]가 대상인 스토리텔링을 선정하여 디지털 큐레이션을 진행합니다<br/>
본 연구는 [https://www.khs.go.kr/cop/bbs/selectBoardArticle.do?nttId=64038&bbsId=BBSMSTR_1222&rnum=5 부여 가림성], [https://www.khs.go.kr/cop/bbs/selectBoardArticle.do?nttId=64044&bbsId=BBSMSTR_1222&rnum=6 부여 부소산성], [https://www.khs.go.kr/cop/bbs/selectBoardArticle.do?nttId=64040&bbsId=BBSMSTR_1222&rnum=11 부여 왕릉원], [https://www.khs.go.kr/cop/bbs/selectBoardArticle.do?nttId=64047&bbsId=BBSMSTR_1222&rnum=16 부여 정림사지], [https://www.khs.go.kr/cop/bbs/selectBoardArticle.do?nttId=64041&bbsId=BBSMSTR_1222&rnum=18 부여 능산리 사지]가 대상인 이야기 마당을 중심으로 디지털 큐레이션을 진행한다<br/>
 
  
 
'''2. 문맥요소 추출 및 온톨로지 설계''' <br/>
 
'''2. 문맥요소 추출 및 온톨로지 설계''' <br/>

2025년 3월 27일 (목) 11:14 판

사비도성 유적과 그 삶의 이야기


전통조경학과 이가연

피드백 사항


2025.03.20

순번 피드백 수정사항 수정위치
1 디지털 큐레이션 속도가 늦어지는 이유 파악하기 어디까지 보여주고, 마무리 해야 하는지 어려웠으나
2번 수정사항처럼
2 파노라마, 3차원 기록화 url 저작권 검토하기 파노라마, 3차원 기록화: 메인 페이지에 직접링크(deep link) 사용 예정
⇒ 영상자료 위치에 Timeline 배치 예정 (가제: 유리건판으로 만나는 부소산성)
백제 사비도성
디지털 아카이브
3 더욱 체계적인 네트워크 그래프 제작하기 출토유물 노드 추가, 지명 노드 추가, 위치 관계어 세분화
⇒ 공간 정보 제공 및 노드간의 유기적 연결성 증가
4.2 Digital Curation
4 온톨로지를 사용하는 이유 즉, 차별성 설명하기 다른 온톨로지와 달리 위치 관계어를 세부화 하여 위치관련 정보를 제시하고자 함 3 연구 방법



연구 목적


사비도성 유적과 문헌사료 등을 통해 당시 백제 규모를 추정하고, 멸망 이후 변천과정을 조망하고자 합니다.
우리나라의 오랜 역사와 함께 발전한 국악은 접근하기 어려워 관심이 있어도 국악에 대해 자세히 알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고자 국악 이라는 주제를 선정하였습니다. 국악 아카이브를 통해 국악에는 어떠한 것들이 속해 있는지 전반적으로 살펴볼 수 있으며, 그것들에 대해 탐구하고 정리해볼 수 있도록 하는 목적으로 가지고 있습니다.

연구 방법


1. 스토리텔링 선정

국가유산청에서 제공하는 국가유산 이야기마당을 통해 사비도성 유적의 이야기를 찾습니다. 본 연구는 부여 가림성, 부여 부소산성, 부여 왕릉원, 부여 정림사지, 부여 능산리 사지가 대상인 스토리텔링을 선정하여 디지털 큐레이션을 진행합니다

2. 문맥요소 추출 및 온톨로지 설계

본 연구의 온톨로지는 “한국의 전통문화 속의 역사적 사실관계 및 그 사실의 문헌적 근거에 의한 지식을 데이터화”하기 위해 개발한 EKC(Encyves of Korean Culture) 데이터 모델을 기초로 합니다.

3. 웹사이트 구축

팀원들이 각자 맡아 조사한 Class들을 중에서 본인이 생각했을 때 관심이 있거나 중요하다고 생각이 드는 주제로 Episode를 구성하였습니다. 이렇게 정해진 Episode들은 거문고, 제주민요, 종묘제례악, 판소리, 가야금산조, 경기민요, 농악, 처용무 입니다. 이 Episode는 국악에는 무엇이 속하는지, 이들은 무엇을 이야기하는 것인지 등을 알 수 있는 내용을 담았습니다.



연구 결과

Semantic Network Graph





Digital Curation





기대효과 및 활용방안


  • 비선형적 지식 학습체계 제공
  • 콘텐츠 소스 제공
  • 새로운 아이디어 창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