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nuch 2024 디지털유산프로젝트-박혜주"의 두 판 사이의 차이
KHS DH wiki
(→Nodes) |
(→Nodes) |
||
96번째 줄: | 96번째 줄: | ||
! style="width:20%" | id !! style="width:10%" | class !! style="width:20%" | label !! infoUrl !! iconUrl | ! style="width:20%" | id !! style="width:10%" | class !! style="width:20%" | label !! infoUrl !! iconUrl | ||
|- | |- | ||
− | | | + | |김영구 || Actor || 김영구 || || |
|- | |- | ||
+ | |김원실|| Actor || 김원실 | ||
+ | |- | ||
+ | |대메꾼 || Actor || 대메꾼 | ||
+ | |- | ||
+ | |두레 || Actor 단체 || 두레 | ||
+ | |- | ||
+ | |두레패 || Actor 두레패 | ||
+ | |- | ||
+ | |류기석 || Actor 류기석 | ||
+ | |- | ||
+ | |무녀 || Actor 무녀 | ||
+ | |- | ||
+ | |박창규 ||Actor 박창규 | ||
+ | |- | ||
+ | |박홍남|| Actor 박홍남 | ||
+ | |- | ||
+ | |백제_장군|| Actor 백제_장군 | ||
+ | |- | ||
+ | |법사|| Actor 개념용어 법사 | ||
+ | |- | ||
+ | |송건호|| Actor 송건호 | ||
+ | |- | ||
+ | |송병일|| Actor 송병일 | ||
+ | |- | ||
+ | |이규찬|| Actor 이규찬 | ||
+ | |- | ||
+ | |조택구 ||Actor 조택구 | ||
+ | |- | ||
+ | |풍장패|| Actor 개념용어 풍장패 | ||
+ | |- | ||
+ | |화주 ||Actor 화주 | ||
+ | |- | ||
+ | |황남희|| Actor 황남희 | ||
+ | |- | ||
+ | |결속|| Concept 개념용어 결속 | ||
+ | |- | ||
+ | |국가무형유산 ||Concept 국가유산 국가무형유산 | ||
+ | |- | ||
+ | |농사 ||Concept 농사 | ||
+ | |- | ||
+ | |능률 ||Concept 개념용어 능률 | ||
+ | |- | ||
+ | |단합 ||Concept 개념용어 단합 | ||
+ | |- | ||
+ | |무속의례 ||Concept 개념용어 무속의례 | ||
+ | |- | ||
+ | |벽사 ||Concept 개념용어 벽사 | ||
+ | |- | ||
+ | |시도무형유산|| Concept 국가유산 시도무형유산 | ||
+ | |- | ||
+ | |안태|| Concept 개념용어 안태 | ||
+ | |- | ||
+ | |애환|| Concept 개념용어 애환 | ||
+ | |- | ||
+ | |제화초복|| Concept 개념용어 제화초복 | ||
+ | |- | ||
+ | |질병예방|| Concept 개념용어 질병예방 | ||
+ | |- | ||
+ | |치병의례|| Concept 개념용어 치병의례 | ||
+ | |- | ||
+ | |태평 ||Concept 개념용어 태평 박혜주 | ||
+ | |- | ||
+ | |풍물놀이|| Concept 개념용어 풍물놀이 | ||
+ | |- | ||
+ | |화합 ||Concept 개념용어 화합 박혜주 | ||
+ | |- | ||
+ | |내지리단잡기|| Heritage 민속놀이 내지리단잡기 | ||
+ | https://dh.aks.ac.kr/~hyunseung/wiki/index.php/%EB%82%B4%EC%A7%80%EB%A6%AC%EB%8B%A8%EC%9E%A1%EA%B8%B0 https://dh.aks.ac.kr/~hyunseung/icon/내지리단잡기.png | ||
+ | |- | ||
+ | |내포제시조 ||Heritage 시조창 내포제시조 https://dh.aks.ac.kr/~hyunseung/wiki/index.php/%EB%82%B4%ED%8F%AC%EC%A0%9C%EC%8B%9C%EC%A1%B0 https://dh.aks.ac.kr/~hyunseung/icon/내포제시조.png | ||
+ | |- | ||
+ | |산유화가|| Heritage 국악 산유화가 https://dh.aks.ac.kr/~hyunseung/wiki/index.php/%EC%82%B0%EC%9C%A0%ED%99%94%EA%B0%80 | ||
+ | |- | ||
+ | |세도_두레풍장|| Heritage 민속놀이 세도_두레풍장 | ||
+ | https://dh.aks.ac.kr/~hyunseung/wiki/index.php/%EC%84%B8%EB%8F%84_%EB%91%90%EB%A0%88%ED%92%8D%EC%9E%A5 https://dh.aks.ac.kr/~hyunseung/icon/세도_두레풍장.png | ||
+ | |- | ||
+ | |용정리_상여소리|| Heritage 용정리_상여소리 https://dh.aks.ac.kr/~hyunseung/wiki/index.php/%EB%B6%80%EC%97%AC_%EC%9A%A9%EC%A0%95%EB%A6%AC_%EC%83%81%EC%97%AC%EC%86%8C%EB%A6%AC | ||
+ | |- | ||
+ | |은산별신제 ||Heritage 제사 은산별신제 https://dh.aks.ac.kr/~hyunseung/wiki/index.php/%EC%9D%80%EC%82%B0%EB%B3%84%EC%8B%A0%EC%A0%9C https://dh.aks.ac.kr/~hyunseung/icon/은산별신제.png | ||
+ | |- | ||
+ | |부여의_무형유산 ||Keyword 부여의_무형유산 | ||
+ | |- | ||
+ | |백제_장군_사당 ||Place 사당 백제_장군_사당 | ||
+ | |- | ||
+ | |부여군_내지리 ||Place 지역 부여군_내지리 | ||
+ | |- | ||
+ | |부여군_세도면 ||Place 지역 부여군_세도면 | ||
+ | |- | ||
+ | |부여군_용정리 ||Place 지역 부여군_용정리 | ||
+ | |- | ||
+ | |부여군_은산면 ||Place 지역 부여군_은산면 | ||
+ | |- | ||
+ | |서북부_충남지역 ||Place 지역 서북부_충남지역 | ||
+ | |- | ||
+ | |가락|| Song 가락 | ||
+ | |- | ||
+ | |긴_김매는_소리|| Song 산유화가 긴_김매는_소리 | ||
+ | |- | ||
+ | |긴_산유화 ||Song 산유화가 긴_산유화 | ||
+ | |- | ||
+ | |나부질_소리 ||Song 산유화가 나부질_소리 | ||
+ | |- | ||
+ | |노적_소리 ||Song 산유화가 노적_소리 | ||
+ | |- | ||
+ | |논매는_소리 ||Song 논매는_소리 | ||
+ | |- | ||
+ | |논풍장가락 ||Song 가락 논풍장가락 | ||
+ | |- | ||
+ | |농악 ||Song 농악 | ||
+ | |- | ||
+ | |두렁질굿가락 ||Song 가락 두렁질굿가락 | ||
+ | |- | ||
+ | |두마디소리 ||Song 행상소리 두마디소리 | ||
+ | |- | ||
+ | |두마치가락 ||Song 가락 두마치가락 | ||
+ | |- | ||
+ | |마당밟이가락 ||Song 가락 마당밟이가락 | ||
+ | |- | ||
+ | |매조지가락 ||Song 가락 매조지가락 | ||
+ | |- | ||
+ | |맺음소리 ||Song 산유화가 맺음소리 | ||
+ | |- | ||
+ | |모심는_소리 ||Song 모심는_소리 | ||
+ | |- | ||
+ | |무릎장단 ||Song 무릎장단 | ||
+ | |- | ||
+ | |벼_바심_소리 ||Song 산유화가 벼_바심_소리 | ||
+ | |- | ||
+ | |사설시조 ||Song 사설시조 | ||
+ | |- | ||
+ | |시조창 ||Song 시조창 | ||
+ | |- | ||
+ | |여덟_가지_소리|| Song 산유화가 여덟_가지_소리 | ||
+ | |- | ||
+ | |용정리_상여흐르기 ||Song 용정리_상여흐르기 | ||
+ | |- | ||
+ | |용정리_상여흐름 ||Song 용정리_상여흐름 | ||
+ | |- | ||
+ | |자진_김매는_소리 ||Song 산유화가 자진_김매는_소리 | ||
+ | |- | ||
+ | |자진_산유화 ||Song 산유화가 자진_산유화 | ||
+ | |- | ||
+ | |자진마치가락 ||Song 가락 자진마치가락 | ||
+ | |- | ||
+ | |진소리|| Song 행상소리 진소리 | ||
+ | |- | ||
+ | |질굿가락 ||Song 가락 질굿가락 | ||
+ | |- | ||
+ | |짝수소리 ||Song 행상소리 짝수소리 | ||
+ | |- | ||
+ | |쩍쩍이가락 ||Song 가락 쩍쩍이가락 | ||
+ | |- | ||
+ | |칠채가락 ||Song 가락 칠채가락 | ||
+ | |- | ||
+ | |평시조 ||Song 평시조 | ||
+ | |- | ||
+ | |한마디소리 ||Song 행상소리 한마디소리 | ||
+ | |- | ||
+ | |행상소리 ||Song 행상소리 | ||
+ | |- | ||
+ | |호상소리 ||Song 호상소리 | ||
|} | |} | ||
<br/> | <br/> |
2024년 12월 11일 (수) 10:42 판
목차
연구 목적
충청남도 부여군의 무형유산에 대해 알아보며, 해당 지역에서 무형유산이 어떻게 전승되고 있는지 정리한다.
연구 내용
해당 아카이브는 부여의 무형유산을 주제로하여, 은산별신제, 산유화가, 내포제시조, 부여 용정리 상여소리, 세도두레풍장, 내지리단잡기를 연결하였다.
연구 방법
부여의 무형유산을 중점으로 두어 관계망을 구축한다.(ex) 기예능보유자, 무형유산 내용, 위치 등.)
연구 추진 공정표
내용 | 9월 | 10월 | 11월 | 12월 | ||||
---|---|---|---|---|---|---|---|---|
디지털 콘텐츠 제작 기획 및 주제 선택 | ||||||||
개체 탐색, 온톨로지 설계 | ||||||||
데이터 수집 및 핵심항목, 문맥항목 선정 | ||||||||
데이터베이스 구축 | ||||||||
디지털 큐레이션 제작 |
연구 결과
온톨로지
Class
Class | Sub Class | Description |
---|---|---|
Heritage | 부여의 민속놀이, 의례, 풍속등의 행사를 의미한다. | |
Actor | 기예능보유자 및 운영주체, 운영주체로서의 기관을 의미한다. | |
Concept | 개념용어를 의미한다. | |
Song | 제도, 의례, 풍속과 관련이 있는 노래이다. | |
Place | 제도, 의례, 풍속이 시행되는 장소를 의미한다. | |
Keyword | 연구 주제를 의미한다. |
Relation
Relation | Domain | Range | Description | sample |
---|---|---|---|---|
연구 데이터
Nodes
class | count |
---|---|
Heritage | |
Actor | |
Keyword | |
Concept | |
Song | |
Place |
id | class | label | infoUrl | iconUrl |
---|---|---|---|---|
김영구 | Actor | 김영구 | ||
김원실 | Actor | 김원실 | ||
대메꾼 | Actor | 대메꾼 | ||
두레 | Actor 단체 | 두레 | ||
두레패 | Actor 두레패 | |||
류기석 | Actor 류기석 | |||
무녀 | Actor 무녀 | |||
박창규 | Actor 박창규 | |||
박홍남 | Actor 박홍남 | |||
백제_장군 | Actor 백제_장군 | |||
법사 | Actor 개념용어 법사 | |||
송건호 | Actor 송건호 | |||
송병일 | Actor 송병일 | |||
이규찬 | Actor 이규찬 | |||
조택구 | Actor 조택구 | |||
풍장패 | Actor 개념용어 풍장패 | |||
화주 | Actor 화주 | |||
황남희 | Actor 황남희 | |||
결속 | Concept 개념용어 결속 | |||
국가무형유산 | Concept 국가유산 국가무형유산 | |||
농사 | Concept 농사 | |||
능률 | Concept 개념용어 능률 | |||
단합 | Concept 개념용어 단합 | |||
무속의례 | Concept 개념용어 무속의례 | |||
벽사 | Concept 개념용어 벽사 | |||
시도무형유산 | Concept 국가유산 시도무형유산 | |||
안태 | Concept 개념용어 안태 | |||
애환 | Concept 개념용어 애환 | |||
제화초복 | Concept 개념용어 제화초복 | |||
질병예방 | Concept 개념용어 질병예방 | |||
치병의례 | Concept 개념용어 치병의례 | |||
태평 | Concept 개념용어 태평 박혜주 | |||
풍물놀이 | Concept 개념용어 풍물놀이 | |||
화합 | Concept 개념용어 화합 박혜주 | |||
내지리단잡기 | Heritage 민속놀이 내지리단잡기
https://dh.aks.ac.kr/~hyunseung/wiki/index.php/%EB%82%B4%EC%A7%80%EB%A6%AC%EB%8B%A8%EC%9E%A1%EA%B8%B0 https://dh.aks.ac.kr/~hyunseung/icon/내지리단잡기.png | |||
내포제시조 | Heritage 시조창 내포제시조 https://dh.aks.ac.kr/~hyunseung/wiki/index.php/%EB%82%B4%ED%8F%AC%EC%A0%9C%EC%8B%9C%EC%A1%B0 https://dh.aks.ac.kr/~hyunseung/icon/내포제시조.png | |||
산유화가 | Heritage 국악 산유화가 https://dh.aks.ac.kr/~hyunseung/wiki/index.php/%EC%82%B0%EC%9C%A0%ED%99%94%EA%B0%80 | |||
세도_두레풍장 | Heritage 민속놀이 세도_두레풍장
https://dh.aks.ac.kr/~hyunseung/wiki/index.php/%EC%84%B8%EB%8F%84_%EB%91%90%EB%A0%88%ED%92%8D%EC%9E%A5 https://dh.aks.ac.kr/~hyunseung/icon/세도_두레풍장.png | |||
용정리_상여소리 | Heritage 용정리_상여소리 https://dh.aks.ac.kr/~hyunseung/wiki/index.php/%EB%B6%80%EC%97%AC_%EC%9A%A9%EC%A0%95%EB%A6%AC_%EC%83%81%EC%97%AC%EC%86%8C%EB%A6%AC | |||
은산별신제 | Heritage 제사 은산별신제 https://dh.aks.ac.kr/~hyunseung/wiki/index.php/%EC%9D%80%EC%82%B0%EB%B3%84%EC%8B%A0%EC%A0%9C https://dh.aks.ac.kr/~hyunseung/icon/은산별신제.png | |||
부여의_무형유산 | Keyword 부여의_무형유산 | |||
백제_장군_사당 | Place 사당 백제_장군_사당 | |||
부여군_내지리 | Place 지역 부여군_내지리 | |||
부여군_세도면 | Place 지역 부여군_세도면 | |||
부여군_용정리 | Place 지역 부여군_용정리 | |||
부여군_은산면 | Place 지역 부여군_은산면 | |||
서북부_충남지역 | Place 지역 서북부_충남지역 | |||
가락 | Song 가락 | |||
긴_김매는_소리 | Song 산유화가 긴_김매는_소리 | |||
긴_산유화 | Song 산유화가 긴_산유화 | |||
나부질_소리 | Song 산유화가 나부질_소리 | |||
노적_소리 | Song 산유화가 노적_소리 | |||
논매는_소리 | Song 논매는_소리 | |||
논풍장가락 | Song 가락 논풍장가락 | |||
농악 | Song 농악 | |||
두렁질굿가락 | Song 가락 두렁질굿가락 | |||
두마디소리 | Song 행상소리 두마디소리 | |||
두마치가락 | Song 가락 두마치가락 | |||
마당밟이가락 | Song 가락 마당밟이가락 | |||
매조지가락 | Song 가락 매조지가락 | |||
맺음소리 | Song 산유화가 맺음소리 | |||
모심는_소리 | Song 모심는_소리 | |||
무릎장단 | Song 무릎장단 | |||
벼_바심_소리 | Song 산유화가 벼_바심_소리 | |||
사설시조 | Song 사설시조 | |||
시조창 | Song 시조창 | |||
여덟_가지_소리 | Song 산유화가 여덟_가지_소리 | |||
용정리_상여흐르기 | Song 용정리_상여흐르기 | |||
용정리_상여흐름 | Song 용정리_상여흐름 | |||
자진_김매는_소리 | Song 산유화가 자진_김매는_소리 | |||
자진_산유화 | Song 산유화가 자진_산유화 | |||
자진마치가락 | Song 가락 자진마치가락 | |||
진소리 | Song 행상소리 진소리 | |||
질굿가락 | Song 가락 질굿가락 | |||
짝수소리 | Song 행상소리 짝수소리 | |||
쩍쩍이가락 | Song 가락 쩍쩍이가락 | |||
칠채가락 | Song 가락 칠채가락 | |||
평시조 | Song 평시조 | |||
한마디소리 | Song 행상소리 한마디소리 | |||
행상소리 | Song 행상소리 | |||
호상소리 | Song 호상소리 |
Links
Relation | count |
---|---|
A가_B에_출연하다 | |
A는_B로_구성된다 | |
A는 B로_지정되었다 | |
A는_B를_목적으로_한다 | |
A는_B를_위해_개최되었다 | |
A는_B를_위해_건립되었다 | |
A는_B를_희망하다 | |
A는_B에서_개최되었다 | |
A는_B역할을_수행하다 | |
A는_B와_동일하다 | |
A는_B유형이다 | |
A는_B의_보유자다 | |
A는_B형식으로_진행된다 |
Semantic Network Graph
Digital Curation
Timeline
기대효과 및 활용방안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