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위

"Knuch 박서은 연구 기획"의 두 판 사이의 차이

KHS DH wiki

(Object)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57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
==주제: 백제왕도 정보 시각화 시스템 제작 및 활용==
 +
<p>
 +
백제의 시기 구분은 도읍을 기준으로 한다. 한성기(서울), 웅진기(공주), 사비기(부여)로 구분할 수 있으며, 시기에 따라 관련한 인물이나 유물, 관련 문화유산들이 각기다른 특징을 나타낸다. 이미 2015년 백제왕도를 대상으로 한 백제역사유적지구가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어 사람들에게 알려졌으나, 이들의 관계성을 한 눈에 보기 위해 정리한 자료나 시각화 된 내용은 그리 많지 않다. 이에 백제왕도를 중심으로 한 문화유산들에 대해 정보 시각화 시스템을 제작하여 관람객의 이해를 돕고자 한다.
 +
</p>
 +
 +
<br/>
 
==내용==
 
==내용==
<font color="blue">
+
<p>
<p>* 양식 자유*</p>
+
* 고분 및 왕성 출토 유물에 대한 메타데이터 or 위키문서를 작성해 정보 전달
<p>연구 기획 내용을 자유롭게 작성한다.</p>
+
* 백제왕도 지역 내 진행되는 관련 행사나 축제 등 문화 콘텐츠와 실제 역사적 인물, 사건에 대한 관계망 제작
 +
* 작성된 관계망을 바탕으로 스토리텔링 혹은 다른 디지털 콘텐츠 제작
 +
</p>
 +
<br/>
 +
 
 +
==기대효과==
 +
<font color="skyblue">
 +
* ''문화유산에 대한 관람객의 이해도 증가''
 +
* ''한 지역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닌 각 왕도별 특성에 대한 흥미 돋움''
 
</font>
 
</font>
 +
<br/>
  
 +
==대상자원==
 +
*백제 한성, 웅진, 사비 시기 고분 및 왕성과 출토 유물
 +
*현재 백제왕도를 주제로 진행되는 축제, 문화 콘텐츠, 문화유산 활용 프로그램 정보
 +
*그 외 백제왕도 관련 자료
 +
 +
 +
===Class===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width:100%; word-break:break-all; font-size:12px;"
 +
! class || Groupname || description
 +
|-
 +
| Actor || 인물 || 역사적으로 관련 있는 인물 등이 해당한다.
 +
|-
 +
| Concept || 국보, 사적, 시도문화유산자료, 시도기념물 || 현대에 유물, 유구를 나누는 기준 등이 해당한다.
 +
|-
 +
| Event || 행사 || 역사적 내용을 기반으로 현대에 이루어지는 축제, 전시 등이 해당한다.
 +
|-
 +
| Nation || 국가 || 과거 경제, 사회적 지위를 갖추고 어떠한 권역을 다스린 사회체제가 해당한다.
 +
|-
 +
| Object || 유구, 유물 || 석탑, 비석 등 이동이 불가능하나 유적보다 작은 개념을 유구에 해당하고, 유적에서 출토된 이동이 가능한 것들은 유물에 해당한다.
 +
|-
 +
| Place || 박물관, 유적, 도읍 || 과거 도읍의 역할을 한 지역이나 유물을 소장한 전시관이나 박물관, 유적 등이 해당한다.
 +
|-
 +
| Time || 시대 || 키워드와 관련한 시점이나 시대명에 해당한다.
 +
|-
 +
|}
 +
 +
===Relation===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width:100%; word-break:break-all; font-size:12px;"
 +
! Relation || A || B
 +
|-
 +
|-
 +
| A는_B로_지정되었다 || 유적, 유구, 유물 || 국보, 사적, 시도문화유산자료, 시도기념물
 +
|-
 +
| A는_B를_다스린다 || 국가 || 인물
 +
|-
 +
| A는_B에_위치한다 || 유적, 유구, 유물, 박물관 || 국가, 지역
 +
|-
 +
| A는_B에_해당한다 || 국가 || 백제
 +
|-
 +
| A는_B에서_개최한다 || 행사 || 지역, 박물관
 +
|-
 +
| A는_B에서_출토되었다 || 유물, 유구 || 유적
 +
|-
 +
| A는_B의_도읍이다 || 유물, 유구 || 유적
 +
|-
 +
| A는_B의_아들이다 || 인물 || 인물
 +
|-
 +
| A는_B의_딸이다 || 인물 || 인물
 +
|-
 +
| A는_B의_아버지다 || 인물 || 인물
 +
|-
 +
| A는_B의_왕이다 || 인물 || 국가
 +
|-
 +
|}
 +
 +
===Object===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width:100%; word-break:break-all; font-size:12px;"
 +
 +
! id || class || label || groupname || infoUrl || iconUrl || note
 +
|-
 +
| 백제 || Nation || 국가 || 백제
 +
|-
 +
| 삼국시대 || Time || 시대 || 삼국시대
 +
|-
 +
| 대백제전 || Event || 행사 || 대백제전
 +
|-
 +
| 서울 || Place || 지역 || 서울
 +
|-
 +
| 서울_석촌동고분군 || Place || 유적 || 서울 석촌동고분군
 +
|-
 +
| 서울_한성백제문화제 || Event || 행사 || 서울 한성백제문화제
 +
|-
 +
| 서울_몽촌토성 || Place || 유적 || 서울 몽촌토성
 +
|-
 +
| 서울_방이동_고분군 || Place || 유적 || 서울 방이동 고분군
 +
|-
 +
| 서울_풍납동_토성 || Place || 유적 || 서울 풍납동 토성
 +
|-
 +
| 서울_풍납토성 || Place || 유적 서울 풍납토성
 +
|-
 +
| 공주 || Place || 지역 || 공주
 +
|-
 +
| 무령왕릉_석수 || Object || 유물 || 무령왕릉 석수
 +
|-
 +
| 무령왕릉_지석 || Object || 유물 || 무령왕릉 지석
 +
|-
 +
| 국립공주박물관 || Place || 소장처 || 국립공주박물관
 +
|-
 +
| 무령왕릉_청동거울_일괄 || Object || 유물 || 무령왕릉 청동거울 일괄
 +
|-
 +
| 공주_무령왕릉과_왕릉원 || Place || 유적 || 공주 무령왕릉과 왕릉원
 +
|-
 +
| 공주_국가유산_미디어아트 || Event || 행사 || 공주 국가유산 미디어아트
 +
|-
 +
| 공주_문화유산_야행 || Event || 행사 || 공주 문화유산 야행
 +
|-
 +
| 공주_백제문화유산주간 || Event || 행사 || 공주 백제문화유산주간
 +
|-
 +
| 공주_백제문화제 || Event || 행사 || 공주 백제문화제
 +
|-
 +
| 공주대학교_박물관 || Place || 박물관 || 공주대학교 박물관
 +
|-
 +
| 웅진백제역사관 || Place || 박물관 || 웅진백제역사관
 +
|-
 +
| 충청남도역사박물관 || Place || 박물관 || 충청남도역사박물관
 +
|-
 +
| 공주_공산성 || Place || 유적 || 공주 공산성
 +
|-
 +
| 공주_정지산_유적 || Place || 유적 || 공주 정지산 유적
 +
|-
 +
| 부여 || Place || 지역 || 부여
 +
|-
 +
| 국립부여박물관 || Place || 소장처 || 국립부여박물관
 +
|-
 +
| 부여_부소산성 || Place || 유적 || 부여 부소산성
 +
|-
 +
| 부여_왕흥사지 || Place || 유적 || 부여 왕흥사지
 +
|-
 +
| 부여_능산리사지_석조사리감 || Object || 유물 || 부여 능산리사지 석조사리감
 +
|-
 +
| 부여_왕흥사지_출토_사리기 || Object || 유물 || 부여 왕흥사지 출토 사리기
 +
|-
 +
| 부여_능산리_사지 || Place || 유적 || 부여 능산리 사지
 +
|-
 +
| 부여_왕릉원 || Place || 유적 || 부여 왕릉원
 +
|-
 +
| 부여_국가유산_미디어아트 || Event || 행사 || 부여 국가유산 미디어아트
 +
|-
 +
| 부여_문화유산_야행 || Event || 행사 || 부여 문화유산 야행
 +
|-
 +
| 부여_백제고도부여국화축제 || Event || 행사 || 부여 백제고도부여국화축제
 +
|-
 +
| 부여_백제문화유산주간 || Event || 행사 || 부여 백제문화유산주간
 +
|-
 +
| 부여_백제문화제 || Event || 행사 || 부여 백제문화제
 +
|-
 +
| 부여_서동연꽃축제 || Event || 행사 || 부여 서동연꽃축제
 +
|-
 +
| 부여_사택지적비 || Object || 유구 || 부여 사택지적비
 +
|-
 +
| 부여_정림사지_오층석탑 || Object || 유물 || 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
 +
|-
 +
| 백제역사문화관 || Place || 박물관 || 백제역사문화관
 +
|-
 +
| 정림사지박물관 || Place || 박물관 || 정림사지박물관
 +
|-
 +
| 부여_가림성 || Place || 유적 || 부여 가림성
 +
|-
 +
| 부여_관북리_유적 || Place || 유적 || 부여 관북리 유적
 +
|-
 +
| 부여_군수리_사지 || Place || 유적 || 부여 군수리 사지
 +
|-
 +
| 부여_궁남지 || Place || 유적 || 부여 궁남지
 +
|-
 +
| 부여_나성 || Place || 유적 || 부여 나성
 +
|-
 +
| 부여_성흥산성 || Place || 유적 || 부여 성흥산성
 +
|-
 +
| 부여_정림사지 || Place || 유적 || 부여 정림사지
 +
|-
 +
| 부여_청마산성 || Place || 유적 || 부여 청마산성
 +
|-
 +
| 부여_청산성 || Place || 유적 || 부여 청산성
 +
|-
 +
| 익산 || Place || 지역 || 익산
 +
|-
 +
| 국립익산박물관 || Place || 소장처 || 국립익산박물관
 +
|-
 +
| 익산_미륵사지 || Place || 유적 || 익산 미륵사지
 +
|-
 +
| 익산_왕궁리_오층석탑 || Object || 석탑 || 익산 왕궁리 오층석탑
 +
|-
 +
| 익산_왕궁리_오층석탑_사리장엄구 || Object || 유물 || 익산 왕궁리 오층석탑 사리장엄구
 +
|-
 +
| 익산_쌍릉 || Place || 유적 || 익산 쌍릉
 +
|-
 +
| 익산_왕궁리_유적 || Place || 유적 || 익산 왕궁리 유적
 +
|-
 +
| 익산_국가유산_미디어아트 || Event || 행사 || 익산 국가유산 미디어아트
 +
|-
 +
| 익산_마한문화대전 || Event || 행사 || 익산 마한문화대전
 +
|-
 +
| 익산_문화유산_야행 || Event || 행사 || 익산 문화유산 야행
 +
|-
 +
| 익산_백제문화유산주간 || Event || 행사 || 익산 백제문화유산주간
 +
|-
 +
| 익산_서동축제 || Event || 행사 || 익산 서동축제
 +
|-
 +
| 익산_고도리_석조여래입상 || Object || 유구 || 익산 고도리 석조여래입상
 +
|-
 +
| 익산_미륵사지_당간지주 || Object || 유구 || 익산 미륵사지 당간지주
 +
|-
 +
| 익산_미륵사지_석탑 || Object || 유구 || 익산 미륵사지 석탑
 +
|-
 +
| 익산_연동리_석조여래좌상 || Object || 유구 || 익산 연동리 석조여래좌상
 +
|-
 +
| 미륵사지석등하대석 || Object || 유물 || 미륵사지석등하대석
 +
|-
 +
| 익산_미륵사지_금동향로 || Object || 유물 || 익산 미륵사지 금동향로
 +
|-
 +
| 익산_미륵사지_서탑_출토_사리장엄구 || Object || 유물 || 익산 미륵사지 서탑 출토 사리장엄구
 +
|-
 +
| 마한박물관 || Place || 박물관 || 마한박물관
 +
|-
 +
| 백제왕궁박물관 || Place || 박물관 || 백제왕궁박물관
 +
|-
 +
| 입점리고분전시관 || Place || 박물관 || 입점리고분전시관
 +
|-
 +
| 익산_입점리_고분 || Place || 유적 || 익산 입점리 고분
 +
|-
 +
| 익산_제석사지 || Place || 유적 || 익산 제석사지
 +
|-
 +
| 국보 || Concept || 국가유산_종목 || 국보
 +
|-
 +
| 사적 || Concept || 국가유산_종목 || 사적
 +
|-
 +
| 시도기념물 || Concept || 유산 || 시도기념물
 +
|-
 +
| 시도문화유산자료 || Concept || 국가유산 || 시도문화유산자료
 +
|-
 +
| 백제_개로왕 || Actor || 인물 || 백제 개로왕(蓋鹵王, ?~475)
 +
|-
 +
| 백제_동성왕 || Actor || 인물 || 백제 동성왕(東城王, ?~501)
 +
|-
 +
| 백제_무령왕 || Actor || 인물 || 백제 무령왕(武寧王, 462~563)
 +
|-
 +
| 백제_성왕 || Actor || 인물 || 백제 성왕(聖王, 504?~554)
 +
|-
 +
| 백제_근초고왕 || Actor || 인물 || 백제 근초고왕
 +
|-
 +
| 백제_무왕 || Actor || 인물 || 백제 무왕
 +
|-
 +
| 백제_문주왕 || Actor || 인물 || 백제 문주왕(文周王, ?~477)
 +
|-
 +
| 백제_창왕 || Actor || 인물 || 백제 창왕
 +
|-
 +
| 신라_선화공주 || Actor || 인물 || 신라 선화공주
 +
|-
 +
| 신라_진평왕 || Actor || 인물 || 신라 진평왕
 +
|-
 +
|}
  
==대상 자원==
 
<font color="blue">
 
<p>* 양식 자유*</p>
 
<p>연구를 위해 탐색한 지식 정보들을 작성한다.</p>
 
<p>줄글 또는,</p>
 
* 목록 또는,
 
<p><nowiki>[https://abcd.ac.kr 외부링크] 사용.</nowiki></p>
 
 
</font>
 
</font>
  
 +
==Visualization==
 +
* [[Knuch박서은_데이터]]
 +
{{NetworkGraph | title=Knuch박서은_데이터}}
 +
 +
 +
==실습파일==
 +
 +
[[박서은epA]]
 +
 +
[[박서은Story2024]]
 +
 +
[[분류:Knuch:박서은]]
 +
 +
==핵심항목 위키문서==
 +
* [[익산 미륵사지]]
 +
 +
==참고자료==
 +
*[https://www.baekje-heritage.or.kr/kr/''백제세계유산센터'']
 +
<p>백제역사유적지구와 관련한 아카이브, 3차원 기록화 등의 시스템을 제공</p>
 +
*[https://www.baekjejugan.com/html/week/''백제문화유산주간'']
 +
<p>백제역사유적지구를 중심으로 공주, 부여, 익산에서 진행되는 문화유산 활용 프로그램</p>
 +
*[https://www.heritage.go.kr/main/?v=1731042781077''국가유산포털'']
  
 
<br/>
 
<br/>
 
<br/>
 
<br/>
<font color="blue">분류 꼭 넣어주기. 이름은 본인 이름으로.</font>
 
  
<nowiki>[[분류:한국전통문화대학교]] [[분류:Knuch:박서은]]</nowiki>
+
[[분류:한국전통문화대학교]][[분류:Knuch:박서은]]

2024년 12월 4일 (수) 02:49 기준 최신판

주제: 백제왕도 정보 시각화 시스템 제작 및 활용

백제의 시기 구분은 도읍을 기준으로 한다. 한성기(서울), 웅진기(공주), 사비기(부여)로 구분할 수 있으며, 시기에 따라 관련한 인물이나 유물, 관련 문화유산들이 각기다른 특징을 나타낸다. 이미 2015년 백제왕도를 대상으로 한 백제역사유적지구가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어 사람들에게 알려졌으나, 이들의 관계성을 한 눈에 보기 위해 정리한 자료나 시각화 된 내용은 그리 많지 않다. 이에 백제왕도를 중심으로 한 문화유산들에 대해 정보 시각화 시스템을 제작하여 관람객의 이해를 돕고자 한다.


내용

  • 고분 및 왕성 출토 유물에 대한 메타데이터 or 위키문서를 작성해 정보 전달
  • 백제왕도 지역 내 진행되는 관련 행사나 축제 등 문화 콘텐츠와 실제 역사적 인물, 사건에 대한 관계망 제작
  • 작성된 관계망을 바탕으로 스토리텔링 혹은 다른 디지털 콘텐츠 제작


기대효과

  • 문화유산에 대한 관람객의 이해도 증가
  • 한 지역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닌 각 왕도별 특성에 대한 흥미 돋움


대상자원

  • 백제 한성, 웅진, 사비 시기 고분 및 왕성과 출토 유물
  • 현재 백제왕도를 주제로 진행되는 축제, 문화 콘텐츠, 문화유산 활용 프로그램 정보
  • 그 외 백제왕도 관련 자료


Class

class Groupname description
Actor 인물 역사적으로 관련 있는 인물 등이 해당한다.
Concept 국보, 사적, 시도문화유산자료, 시도기념물 현대에 유물, 유구를 나누는 기준 등이 해당한다.
Event 행사 역사적 내용을 기반으로 현대에 이루어지는 축제, 전시 등이 해당한다.
Nation 국가 과거 경제, 사회적 지위를 갖추고 어떠한 권역을 다스린 사회체제가 해당한다.
Object 유구, 유물 석탑, 비석 등 이동이 불가능하나 유적보다 작은 개념을 유구에 해당하고, 유적에서 출토된 이동이 가능한 것들은 유물에 해당한다.
Place 박물관, 유적, 도읍 과거 도읍의 역할을 한 지역이나 유물을 소장한 전시관이나 박물관, 유적 등이 해당한다.
Time 시대 키워드와 관련한 시점이나 시대명에 해당한다.

Relation

Relation A B
A는_B로_지정되었다 유적, 유구, 유물 국보, 사적, 시도문화유산자료, 시도기념물
A는_B를_다스린다 국가 인물
A는_B에_위치한다 유적, 유구, 유물, 박물관 국가, 지역
A는_B에_해당한다 국가 백제
A는_B에서_개최한다 행사 지역, 박물관
A는_B에서_출토되었다 유물, 유구 유적
A는_B의_도읍이다 유물, 유구 유적
A는_B의_아들이다 인물 인물
A는_B의_딸이다 인물 인물
A는_B의_아버지다 인물 인물
A는_B의_왕이다 인물 국가

Object

id class label groupname infoUrl iconUrl note
백제 Nation 국가 백제
삼국시대 Time 시대 삼국시대
대백제전 Event 행사 대백제전
서울 Place 지역 서울
서울_석촌동고분군 Place 유적 서울 석촌동고분군
서울_한성백제문화제 Event 행사 서울 한성백제문화제
서울_몽촌토성 Place 유적 서울 몽촌토성
서울_방이동_고분군 Place 유적 서울 방이동 고분군
서울_풍납동_토성 Place 유적 서울 풍납동 토성
서울_풍납토성 Place 유적 서울 풍납토성
공주 Place 지역 공주
무령왕릉_석수 Object 유물 무령왕릉 석수
무령왕릉_지석 Object 유물 무령왕릉 지석
국립공주박물관 Place 소장처 국립공주박물관
무령왕릉_청동거울_일괄 Object 유물 무령왕릉 청동거울 일괄
공주_무령왕릉과_왕릉원 Place 유적 공주 무령왕릉과 왕릉원
공주_국가유산_미디어아트 Event 행사 공주 국가유산 미디어아트
공주_문화유산_야행 Event 행사 공주 문화유산 야행
공주_백제문화유산주간 Event 행사 공주 백제문화유산주간
공주_백제문화제 Event 행사 공주 백제문화제
공주대학교_박물관 Place 박물관 공주대학교 박물관
웅진백제역사관 Place 박물관 웅진백제역사관
충청남도역사박물관 Place 박물관 충청남도역사박물관
공주_공산성 Place 유적 공주 공산성
공주_정지산_유적 Place 유적 공주 정지산 유적
부여 Place 지역 부여
국립부여박물관 Place 소장처 국립부여박물관
부여_부소산성 Place 유적 부여 부소산성
부여_왕흥사지 Place 유적 부여 왕흥사지
부여_능산리사지_석조사리감 Object 유물 부여 능산리사지 석조사리감
부여_왕흥사지_출토_사리기 Object 유물 부여 왕흥사지 출토 사리기
부여_능산리_사지 Place 유적 부여 능산리 사지
부여_왕릉원 Place 유적 부여 왕릉원
부여_국가유산_미디어아트 Event 행사 부여 국가유산 미디어아트
부여_문화유산_야행 Event 행사 부여 문화유산 야행
부여_백제고도부여국화축제 Event 행사 부여 백제고도부여국화축제
부여_백제문화유산주간 Event 행사 부여 백제문화유산주간
부여_백제문화제 Event 행사 부여 백제문화제
부여_서동연꽃축제 Event 행사 부여 서동연꽃축제
부여_사택지적비 Object 유구 부여 사택지적비
부여_정림사지_오층석탑 Object 유물 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
백제역사문화관 Place 박물관 백제역사문화관
정림사지박물관 Place 박물관 정림사지박물관
부여_가림성 Place 유적 부여 가림성
부여_관북리_유적 Place 유적 부여 관북리 유적
부여_군수리_사지 Place 유적 부여 군수리 사지
부여_궁남지 Place 유적 부여 궁남지
부여_나성 Place 유적 부여 나성
부여_성흥산성 Place 유적 부여 성흥산성
부여_정림사지 Place 유적 부여 정림사지
부여_청마산성 Place 유적 부여 청마산성
부여_청산성 Place 유적 부여 청산성
익산 Place 지역 익산
국립익산박물관 Place 소장처 국립익산박물관
익산_미륵사지 Place 유적 익산 미륵사지
익산_왕궁리_오층석탑 Object 석탑 익산 왕궁리 오층석탑
익산_왕궁리_오층석탑_사리장엄구 Object 유물 익산 왕궁리 오층석탑 사리장엄구
익산_쌍릉 Place 유적 익산 쌍릉
익산_왕궁리_유적 Place 유적 익산 왕궁리 유적
익산_국가유산_미디어아트 Event 행사 익산 국가유산 미디어아트
익산_마한문화대전 Event 행사 익산 마한문화대전
익산_문화유산_야행 Event 행사 익산 문화유산 야행
익산_백제문화유산주간 Event 행사 익산 백제문화유산주간
익산_서동축제 Event 행사 익산 서동축제
익산_고도리_석조여래입상 Object 유구 익산 고도리 석조여래입상
익산_미륵사지_당간지주 Object 유구 익산 미륵사지 당간지주
익산_미륵사지_석탑 Object 유구 익산 미륵사지 석탑
익산_연동리_석조여래좌상 Object 유구 익산 연동리 석조여래좌상
미륵사지석등하대석 Object 유물 미륵사지석등하대석
익산_미륵사지_금동향로 Object 유물 익산 미륵사지 금동향로
익산_미륵사지_서탑_출토_사리장엄구 Object 유물 익산 미륵사지 서탑 출토 사리장엄구
마한박물관 Place 박물관 마한박물관
백제왕궁박물관 Place 박물관 백제왕궁박물관
입점리고분전시관 Place 박물관 입점리고분전시관
익산_입점리_고분 Place 유적 익산 입점리 고분
익산_제석사지 Place 유적 익산 제석사지
국보 Concept 국가유산_종목 국보
사적 Concept 국가유산_종목 사적
시도기념물 Concept 유산 시도기념물
시도문화유산자료 Concept 국가유산 시도문화유산자료
백제_개로왕 Actor 인물 백제 개로왕(蓋鹵王, ?~475)
백제_동성왕 Actor 인물 백제 동성왕(東城王, ?~501)
백제_무령왕 Actor 인물 백제 무령왕(武寧王, 462~563)
백제_성왕 Actor 인물 백제 성왕(聖王, 504?~554)
백제_근초고왕 Actor 인물 백제 근초고왕
백제_무왕 Actor 인물 백제 무왕
백제_문주왕 Actor 인물 백제 문주왕(文周王, ?~477)
백제_창왕 Actor 인물 백제 창왕
신라_선화공주 Actor 인물 신라 선화공주
신라_진평왕 Actor 인물 신라 진평왕

Visualization


실습파일

박서은epA

박서은Story2024

핵심항목 위키문서

참고자료

백제역사유적지구와 관련한 아카이브, 3차원 기록화 등의 시스템을 제공

백제역사유적지구를 중심으로 공주, 부여, 익산에서 진행되는 문화유산 활용 프로그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