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위

"무령왕"의 두 판 사이의 차이

KHS DH wiki

(새 문서: ==정의== 무령왕릉(武寧王陵)은 공주 송산리 고분군 가운데 7번째로 발견된 고분으로, 백제 무령왕과 그 왕비의 능이다. ==내용== 1971년 7...)
 
(노드(Node) 정보)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7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
{{명함:인물
 +
|사진=무령왕_표준영정.png
 +
|한글=무령왕
 +
|한자=武寧王
 +
|영어=
 +
|생몰년=523년 6월 7일
 +
|이칭=부여융
 +
|배우자=왕대비(王大妃) 대부인(大夫人)
 +
|자녀=순타태자(純陀太子), 성왕(聖王), 사아군(斯我君)
 +
|부(父)=곤지(昆支)(유력, 일본자료 기준), 동성왕(한국자료 기준)
 +
|모(母)=개로왕의 부인?
 +
}}
 +
 
==정의==
 
==정의==
무령왕릉(武寧王陵)은 공주 송산리 고분군 가운데 7번째로 발견된 고분으로, 백제 무령왕과 그 왕비의 능이다.  
+
무령왕(武寧王, 461년 6월 25일(음력 6월 1일) 혹은 462년 7월 14일(음력 6월 1일) ~ 523년 6월 7일(음력 5월 7일), 재위: 501년 음력 11월 ~ 523년 음력 5월 7일)은 백제의 제25대 국왕이다. 무령왕릉 내에서 출토된 지석에 따르면 462년에 태어났고 이름은 사마(斯麻) 또는 융(隆)이다.《백제신찬》과 《일본서기》에는 개로왕의 동생인 곤지의 아들이고, 동성왕은 이복동생으로 기록되어 있다. 한편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는 동성왕의 둘째 아들로 기록되어 있다. 그는 어릴 때부터 키가 크고 잘생겼고, 성격이 관대하였다고 한다. 501년 동성왕이 위사좌평 백가의 계략으로 살해되자 뒤를 이어 즉위했다. 그는 재위 23년, 나이 62세에 죽고 그의 아들 성왕이 즉위하였다. 후일 삼국유사 왕력편에는 '호령왕'(虎寧王)이라고 적혀 있는데, 이것은 고려의 제2대 왕 혜종의 이름인 무(武)에 대한 피휘 때문이다.
 +
 
 +
 
 +
 
 +
==생애==
 +
===탄생===
 +
462년 혹은 461년 음력 6월 1일 일본 규슈 쓰쿠시(築紫) 북쪽 가카라시마(현, 일본 규슈 사가현 가라쓰시) 북쪽 야산의 동굴에서 태어났다. 혹은 해변에 정박 중 태어났다고도 한다. 아버지는 백제 동성왕인데, 일본측 기록에 의하면 무령왕의 아버지는 곤지왕자라 한다. 그의 출생에 대해 오랫동안 기록이 사라져 언제 태어났는지는 알려진 것이 없었으나, 무령왕릉 발굴 당시 발견된 무령왕릉 지석에 의해 그의 출생년월일과 사망당시 나이에 대한 기록이 있어 462년에 태어난 것이 확인되었다. 일본서기에 의하면 461년 음력 6월 1일에 태어났다 한다.
  
 +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 의하면 무령왕은 동성왕의 둘째 아들이고, 《일본서기》와 《속일본기》에 의하면 비유왕 또는 개로왕의 동생인 곤지의 아들로, 그의 어머니는 본래 개로왕의 후궁이었다. 일본서기와 속일본기의 자료에 의하면 동성왕은 그의 이복형이 된다. 《일본서기》 16권 무열 4년조에 의하면, 개로왕이 임신한 후궁을 그의 동생 곤지에게 주어 왜로 보냈다고 한다. 461년 규슈 쓰쿠시(筑紫)의 각라도(各羅島 또는 加唐島)에 도달할 즈음 갑자기 사내 아이를 출산하였는데 이가 무령왕이라고 한다. 일본서기 14권 웅략기 5편에 의하면 그가 태어났다 하여 백제인들은 가카라시마를 니리무세마(主島), 임금의 섬이라 불렀다 한다.
  
 +
섬에서 태어났다 하여 이름을 사마라 지었다. 무령왕릉 지석에는 '영동대장군백제사마왕(寧東大將軍百濟斯麻王)'이라고 기록되어 있는데, 이는 일본서기 14권 웅략기 5편 역시 그가 섬에서 태어났다 하여 '도군(嶋君)' 즉 '시마키시'로 지었다는 것과 일치한다.
  
==내용==
+
일본서기의 백제신찬에서 무령왕이 개로왕의 아들로 되어 있고 송서에도 무령왕이 개로왕을 친부로 부르고 있다. 그러나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는 사마왕이 동성왕의 아들로 기록되어 있는데 무령왕릉에서 발견된 지석에 따르면 동성왕과 무령왕의 나이가 거의 비슷하여 부자관계가 아니라, 무령왕이 동성왕의 이복 형일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1971년 7월 7일 처음 발굴되었다. 지석이 발견되어 축조연대를 분명히 제시해주었기 때문에 삼국 시대 고고학 편년연구의 기준 자료가 되고 있으며, 국보로 지정된 금제관식, 금제뒤꽂이, 금제 심엽형이식(귀걸이), 지석, 석수, 청동신수경 등을 포함하여 총 2900여 점의 많은 유물이 출토되었으며, 국립공주박물관이 대부분 보관하고 있다. 무령왕릉의 공주 송산리 고분군은 사적 13호로 지정되어 있다. 위치는 충청남도 공주시 금성동(옛지명 : 송산리)이다.
 
  
 +
무령왕의 초기 생애에 대한 것은 알려진 것이 없다. 다만 그의 외모에 대해 삼국사기에 의하면 그는 키가 8척(180cm~2m로 추정)이며, 이목구비가 수려했다 하여 눈, 코, 입, 귀 등이 잘생긴 편이었다 한다.
  
===구조===
+
===즉위와 전쟁===
무령왕릉은 송산리(宋山里) 제5, 6호분과 서로 봉토(封土)를 접하고 있다. 이광민 분의 1~5호분은 깬돌을 쌓아 만든 반원 굴식 돌방무덤이며, 6호분과 무령왕릉은 굴식 벽돌무덤이다. 돌방무덤은 한성도읍기부터 시작된 무덤 양식이며, 벽돌무덤은 6세기초 중국 남조 양()나라로부터 들여온 무덤양식이다. 봉분의 윗부분은 지름 약 20m의 구모양을 하고 있으며, 널방(墓室)의 바닥면에서 무덤 꼭대기까지 높이는 7.7m이다. 널방은 연화무늬 벽돌과 글자가 새겨진 벽돌 등으로 쌓여진 하나의 방으로 북쪽을 축선(軸線)으로 평면이 4.2m × 2.72m로 되어 있다.
+
무령왕의 이복동생인 동성왕은 전제화 정책을 무리하게 추진하다가 귀족들의 반발을 사, 위사좌병 백가를 위시한 반대파에게 살해당했다. 일본서기에 의하면 동성왕이 왜의 사신에게 무례하게 굴어서 귀족들이 이를 빌미로 동성왕을 암살하고 사마를 추대했다 한다. 그러나 동성왕의 반대파에 의해 추대된 무령왕은 한솔 해명과 함께 501년 정월 가림성에 근거를 두고 저항하던 백가를 토벌하고, 그 해 11월에 고구려의 변경을 침공했으나 실패하였다. 503년 고목성에 쳐들어온 말갈족을 막아냈고, 달솔 우영을 보내 고구려의 수곡성을 대신 습격하였다. 507년 고구려의 지시를 받은 말갈족이 다시 고목성에 쳐들어오자, 남쪽에 2개의 책(柵)을 세우고 장령성(長嶺城)을 쌓았다. 512년에 고구려가 가불성과 원산성을 함락시키자 군사 3,000명을 이끌고 위천(葦川)의 북쪽으로 진출해 겨우 무찔렀다. 523년 좌평 인우와 달솔 사오로 하여금 쌍현성(雙峴城)을 쌓게 했다.
  
천장은 아치 모양이며 바닥면으로부터의 최고값은 2.93m이다. 벽면에는 제6호분과 똑같은 모양의 소감(小龕)과 그 아래에 연꽃모양 창모양으로 된 등감을 북쪽 벽에 1개, 동·서벽에 각각 2개를 만들고 각 감 안에 등잔이 들어간다. 출토된 유물은 백제고분으로서 전례 없이 풍부하고 화려하다.
+
고구려와의 전쟁을 통해 세력의 균형을 이룬 무령왕은 가야를 공략하여 임실, 남원 방면에서 내륙으로 동진하여 섬진강 일대를 확보하고 경남서해안으로 진출하였으며 새로 확보한 지역에 군령과 성주를 파견하였다.
  
 +
===즉위 이후===
 +
====왕권강화====
 +
즉위 후 동성왕을 살해한 귀족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왕권을 강화하였다. 《양서》의 백제전에 따르면 22개로 운영되던 담로(백제의 지방행정조직)를 왕족이 통치하도록 하여 중앙집권화를 강화하였다. 무령왕은 통치에 왕족을 이용함으로써 토목공사에 필요한 노동력을 강제 동원할 수 있게 되었으며 그를 통해 왕족들은 세력을 확대해 나갔다. 또한 좌평제 개편을 통해 귀족 세력을 서열화하고 국정을 분담시킴으로써 신·구세력을 통제하였다. 이로써 직책이 없는 신하도 등장하게 되었다.
  
===발굴 과정===
+
====인물화상경====
====발굴 경과====
+
스다하치만 신사(隅田八幡神社)에 소장된 일본의 국보 「인물화상경(人物畵像鏡)」의 명문에는 다음과 같은 글이 있다.
1971년 7월 5일 송산리 5, 6호분의 배수로 공사중 우연히 벽돌무덤 1기가 발견되었다. 무덤입구는 벽돌과 백회로 빈틈없이 밀봉되어 있었고, 도굴의 피해를 입지 않은 상태였다.
 
  
7월 7일 무덤의 아치형 입구를 발견하였다. 호우가 내리기 시작하였으므로 자정까지 배수로를 팠다. 7월 8일 날이 밝자 발굴을 다시 시작하여 오후 3시경 입구를 막는 벽돌의 바닥까지 발굴을 하였다. 위령제를 지낸 후 4시경에 입구를 막는 벽돌 하나를 들어내자 하얀 연기가 나왔다. 계속해서 벽돌을 들어내자 널길의 중앙에서 돌짐승을 발견하였다. 무덤의 입구를 열었을 왕과 왕비의 지석 2매가 가지런히 놓여 있었다. 지석에는 백제 무령왕과 왕비가 돌아가셔서 이곳 대묘에 안장했다는 내용이 수려한 남조풍(南朝風) 해서체로 새겨져 있었다. 1442년 만에 무령왕과 왕비의 실존이 밝혀졌다. 이후 발굴팀은 기다리고 있던 기자들에게 왕릉의 발굴을 발표하였다. 이후 혼란 속에서 밤을 세워 유물을 수습하였다.
+
“ 癸未年八月日十大王年男弟王在意柴沙加宮時斯麻念長寿遣開中費直穢人今州利二人等取白上同二百旱作此竟.
 +
계미년(503년) 8월 10일 대왕의 연간에 남동생인 왕을 위하여 인판궁(忍坂宮)에 있을 사마(斯麻; 무령왕)께서 아우님의 장수를 염원하여 보내주는 것이다. 개중비직과 예인 금주리 등 두 사람을 보내어 최고급 구리쇠 200한으로 이 거울을 만들었도다. "
 +
— 김운회 번역
  
====최초 무덤 내부 상황====
+
====외교 정책====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유물은 모두 108종 2,906점이다. 연도에는 왕과 왕비의 지석(誌石) 2매가 가지런히 놓여 있었으며 그 위에 오수전 한 꾸러미가 얹혀 있었다. 지석 뒤에는 돌로 만든 짐승(石獸 : 석수) 모양이 남쪽을 향해 서 있었다.
+
무령왕은 512년, 521년 양나라에 사신을 보내 외교를 시도했다. 521년 양 무제로부터 사지절도독 백제제군사 영동대장군(使持節都督百濟諸軍事寧東大將軍)의 작호를 받았다. 이는 문헌 기록 외에도 무령왕릉 지석에서도 영동대장군 백제 사마왕(嶺東大將軍 百濟 斯麻王)으로 기록되어 있다.
  
묘실의 관을 올려 놓은 대위에는 왕과 왕비의 관을 만들었던 나무 조각이 가득 놓여 있었다. 목관의 판재들 밑에서는 왕과 왕비가 착용하였던 장신구와 몇 점의 부장유물이 출토되었다.
+
한편 그는 왜에 마나군을 파견했는데 왜에 그를 파견한 구체적 사유는 알려진 것이 없다. 즉위 5년에 왜에 보내어진 마나군이 왕족이 아니라는 이유로 사아군과 교체를 하여 왕족 중심으로 정국을 운영하였다. 503년에는 왕위에 오르기 전 있었던 일본의 천황에게 인물화상경을 보내주었다. 513년 오경박사 단양이(段楊爾)와 516년 고안무(高安茂)를 왜에 보내어 백제의 문화를 왜에 전해주기도 하였다.
  
중요 장신구류로는 금제관식, 금제이식, 금은제 허리띠, 금동장신발, 은제팔지 등이 있고 왕의 허리에서는 왕의 권위를 상징하는 용봉문대도가 출토되었다.
+
====사망====
 +
523년 음력 5월 7일 62세로 사망했다. 삼국사기, 삼국유사, 일본서기, 신찬성씨록 등에는 그의 사망원인에 대한 기록은 나타나지 않는다. 왜에 파견되었던 아들 순타태자가 부왕보다 앞서 요절하였으므로 다른 아들인 명농이 보위에 올랐다.
 +
 
 +
그의 정확한 사망일자 역시 전하지 않다가 무령왕릉 지석에 '영동대장군 백제 사마왕은 나이가 62세인 계묘년 병술일이 초하루인 5월 7일 임진일에 돌아가셨다. 을사년 계유일이 초하루인 8월12일 갑신일에 등관에 있는 대묘에 안장하였다. 묘지는 이와 같이 기록한다. 끝.(寧東大將軍 百濟斯麻王 年六十二歲 癸卯年 五月 丙戌朔 七日 壬辰 崩. 到乙巳年 八月 癸酉朔 十二日 甲申, 安厝登冠大墓. 立志如左. 尓.)'라 쓴 것이 판독되어 음력 5월 7일에 62세로 사망하여 다른 곳에 임시로 안장했다가, 2년 뒤인 525년 음력 8월 12일에 현재의 위치(현, 충청남도 공주시 금성동)에 이장되었다.
  
그 밖에 왕과 왕비의 베개 및 발받침가 목관 안에 놓여 있었고 그 외에 중요 부장품으로는 청동거울 3면과 은제탁잔 등이 출토되었다.
 
  
  
35번째 줄: 62번째 줄:
 
! style="width:15%;"|id !! style="width:10%;"|class !! style="width:15%;"|label !! style="width:30%;"|infoUrl !! style="width:30%;"|iconUrl  
 
! style="width:15%;"|id !! style="width:10%;"|class !! style="width:15%;"|label !! style="width:30%;"|infoUrl !! style="width:30%;"|iconUrl  
 
|-
 
|-
| 무령왕릉 || 유적 || 무령왕릉 || ||  
+
| 무령왕 || 인물 || 무령왕 || https://dh.aks.ac.kr/~hyunseung/wiki/index.php/%EB%AC%B4%EB%A0%B9%EC%99%95 ||  
 
|-
 
|-
 
|}
 
|}
  
===공간 정보===
+
===공간 정보(안장 위치 : 무령왕릉)===
 
{|class="wikitable" style="width:100%; word-break:break-all;"
 
{|class="wikitable" style="width:100%; word-break:break-all;"
 
!style="width:5%px"|위도 || style="width:5%px"|경도 || style="width:90%px"|주소
 
!style="width:5%px"|위도 || style="width:5%px"|경도 || style="width:90%px"|주소
54번째 줄: 81번째 줄:
 
파일:<ref>[ ""], </ref>
 
파일:<ref>[ ""], </ref>
 
</gallery>
 
</gallery>
 +
  
 
==참고문헌==
 
==참고문헌==
 +
===Web Resource===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width:100%;"
 +
|-
 +
! Category !! Title !! Site !! Url
 +
|-
 +
| 사전 || 무령왕 (武寧王)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19017
 +
|-
 +
| 사전 || 무령왕 || 위키백과 || https://ko.m.wikipedia.org/wiki/%EB%AC%B4%EB%A0%B9%EC%99%95
 +
|-
 +
| 해설 || 무령왕 || 디지털공주문화대전 || https://www.grandculture.net/gongju/toc/GC01700868
 +
|-
 +
| 사진 || 무령왕 표준 영정 || 위키백과 || 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King_Muryeong_Portrait.png
 +
|-
 +
| 동영상 || KBS 한국사전 – 백제 다시 강국이 되다, 중흥군주 무령왕 || Youtube || https://www.youtube.com/embed/AsSaRhxDMKU?si=K4YBFBqHf4RVFa7K
 +
|-
 +
|}
 +
※ 사전, 해설, 참고, 기사, 잡지, 사진, 동영상 등
 +
 +
===Bibliography===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width:100%;"
 +
|-
 +
! Category !! Title !! Site !! Url
 +
|-
 +
| 단행본 || 정재윤, 『무령왕, 신화에서 역사로』, 푸른역사, 2021. || 국립중앙도서관 || https://www.nl.go.kr/NL/contents/search.do?#viewKey=788523848&viewType=AH1
 +
|-
 +
| 논문 || 정동준, 「6세기 동아시아 정세와 무령왕의 대고구려전략」, 백제학회, 42, 2022. || RISS || https://www.riss.kr/link?id=A108370195
 +
|-
 +
| 연구소자료 || 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 「백제무령왕릉 : 제1장 백제사상의 무령왕」, 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 1991. || RISS || https://www.riss.kr/link?id=A75616686
 +
|-
 +
|}
 +
※ 단행본, 논문 등
 +
 +
----
 
<references/>
 
<references/>
 
<references/>
 
<references/>
[https://ko.wikipedia.org/wiki/%EB%AC%B4%EB%A0%B9%EC%99%95%EB%A6%89, 위키백과 무령왕릉]
 
  
[[분류:한국전통문화대학교]][[분류:knuch이동주]]
+
 
 +
[[분류:한국전통문화대학교]][[분류:Knuch:이동주]]

2024년 11월 27일 (수) 11:55 기준 최신판

무령왕
(武寧王)
무령왕 표준영정.png
한글 무령왕
한자 武寧王
생몰년 523년 6월 7일
이칭 부여융
배우자 왕대비(王大妃) 대부인(大夫人)
자녀 순타태자(純陀太子), 성왕(聖王), 사아군(斯我君)
부(父) 곤지(昆支)(유력, 일본자료 기준), 동성왕(한국자료 기준)
모(母) 개로왕의 부인?



정의

무령왕(武寧王, 461년 6월 25일(음력 6월 1일) 혹은 462년 7월 14일(음력 6월 1일) ~ 523년 6월 7일(음력 5월 7일), 재위: 501년 음력 11월 ~ 523년 음력 5월 7일)은 백제의 제25대 국왕이다. 무령왕릉 내에서 출토된 지석에 따르면 462년에 태어났고 이름은 사마(斯麻) 또는 융(隆)이다.《백제신찬》과 《일본서기》에는 개로왕의 동생인 곤지의 아들이고, 동성왕은 이복동생으로 기록되어 있다. 한편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는 동성왕의 둘째 아들로 기록되어 있다. 그는 어릴 때부터 키가 크고 잘생겼고, 성격이 관대하였다고 한다. 501년 동성왕이 위사좌평 백가의 계략으로 살해되자 뒤를 이어 즉위했다. 그는 재위 23년, 나이 62세에 죽고 그의 아들 성왕이 즉위하였다. 후일 삼국유사 왕력편에는 '호령왕'(虎寧王)이라고 적혀 있는데, 이것은 고려의 제2대 왕 혜종의 이름인 무(武)에 대한 피휘 때문이다.


생애

탄생

462년 혹은 461년 음력 6월 1일 일본 규슈 쓰쿠시(築紫) 북쪽 가카라시마(현, 일본 규슈 사가현 가라쓰시) 북쪽 야산의 동굴에서 태어났다. 혹은 해변에 정박 중 태어났다고도 한다. 아버지는 백제 동성왕인데, 일본측 기록에 의하면 무령왕의 아버지는 곤지왕자라 한다. 그의 출생에 대해 오랫동안 기록이 사라져 언제 태어났는지는 알려진 것이 없었으나, 무령왕릉 발굴 당시 발견된 무령왕릉 지석에 의해 그의 출생년월일과 사망당시 나이에 대한 기록이 있어 462년에 태어난 것이 확인되었다. 일본서기에 의하면 461년 음력 6월 1일에 태어났다 한다.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 의하면 무령왕은 동성왕의 둘째 아들이고, 《일본서기》와 《속일본기》에 의하면 비유왕 또는 개로왕의 동생인 곤지의 아들로, 그의 어머니는 본래 개로왕의 후궁이었다. 일본서기와 속일본기의 자료에 의하면 동성왕은 그의 이복형이 된다. 《일본서기》 16권 무열 4년조에 의하면, 개로왕이 임신한 후궁을 그의 동생 곤지에게 주어 왜로 보냈다고 한다. 461년 규슈 쓰쿠시(筑紫)의 각라도(各羅島 또는 加唐島)에 도달할 즈음 갑자기 사내 아이를 출산하였는데 이가 무령왕이라고 한다. 일본서기 14권 웅략기 5편에 의하면 그가 태어났다 하여 백제인들은 가카라시마를 니리무세마(主島), 임금의 섬이라 불렀다 한다.

섬에서 태어났다 하여 이름을 사마라 지었다. 무령왕릉 지석에는 '영동대장군백제사마왕(寧東大將軍百濟斯麻王)'이라고 기록되어 있는데, 이는 일본서기 14권 웅략기 5편 역시 그가 섬에서 태어났다 하여 '도군(嶋君)' 즉 '시마키시'로 지었다는 것과 일치한다.

일본서기의 백제신찬에서 무령왕이 개로왕의 아들로 되어 있고 송서에도 무령왕이 개로왕을 친부로 부르고 있다. 그러나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는 사마왕이 동성왕의 아들로 기록되어 있는데 무령왕릉에서 발견된 지석에 따르면 동성왕과 무령왕의 나이가 거의 비슷하여 부자관계가 아니라, 무령왕이 동성왕의 이복 형일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무령왕의 초기 생애에 대한 것은 알려진 것이 없다. 다만 그의 외모에 대해 삼국사기에 의하면 그는 키가 8척(180cm~2m로 추정)이며, 이목구비가 수려했다 하여 눈, 코, 입, 귀 등이 잘생긴 편이었다 한다.

즉위와 전쟁

무령왕의 이복동생인 동성왕은 전제화 정책을 무리하게 추진하다가 귀족들의 반발을 사, 위사좌병 백가를 위시한 반대파에게 살해당했다. 일본서기에 의하면 동성왕이 왜의 사신에게 무례하게 굴어서 귀족들이 이를 빌미로 동성왕을 암살하고 사마를 추대했다 한다. 그러나 동성왕의 반대파에 의해 추대된 무령왕은 한솔 해명과 함께 501년 정월 가림성에 근거를 두고 저항하던 백가를 토벌하고, 그 해 11월에 고구려의 변경을 침공했으나 실패하였다. 503년 고목성에 쳐들어온 말갈족을 막아냈고, 달솔 우영을 보내 고구려의 수곡성을 대신 습격하였다. 507년 고구려의 지시를 받은 말갈족이 다시 고목성에 쳐들어오자, 남쪽에 2개의 책(柵)을 세우고 장령성(長嶺城)을 쌓았다. 512년에 고구려가 가불성과 원산성을 함락시키자 군사 3,000명을 이끌고 위천(葦川)의 북쪽으로 진출해 겨우 무찔렀다. 523년 좌평 인우와 달솔 사오로 하여금 쌍현성(雙峴城)을 쌓게 했다.

고구려와의 전쟁을 통해 세력의 균형을 이룬 무령왕은 가야를 공략하여 임실, 남원 방면에서 내륙으로 동진하여 섬진강 일대를 확보하고 경남서해안으로 진출하였으며 새로 확보한 지역에 군령과 성주를 파견하였다.

즉위 이후

왕권강화

즉위 후 동성왕을 살해한 귀족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왕권을 강화하였다. 《양서》의 백제전에 따르면 22개로 운영되던 담로(백제의 지방행정조직)를 왕족이 통치하도록 하여 중앙집권화를 강화하였다. 무령왕은 통치에 왕족을 이용함으로써 토목공사에 필요한 노동력을 강제 동원할 수 있게 되었으며 그를 통해 왕족들은 세력을 확대해 나갔다. 또한 좌평제 개편을 통해 귀족 세력을 서열화하고 국정을 분담시킴으로써 신·구세력을 통제하였다. 이로써 직책이 없는 신하도 등장하게 되었다.

인물화상경

스다하치만 신사(隅田八幡神社)에 소장된 일본의 국보 「인물화상경(人物畵像鏡)」의 명문에는 다음과 같은 글이 있다.

“ 癸未年八月日十大王年男弟王在意柴沙加宮時斯麻念長寿遣開中費直穢人今州利二人等取白上同二百旱作此竟. 계미년(503년) 8월 10일 대왕의 연간에 남동생인 왕을 위하여 인판궁(忍坂宮)에 있을 때 사마(斯麻; 무령왕)께서 아우님의 장수를 염원하여 보내주는 것이다. 개중비직과 예인 금주리 등 두 사람을 보내어 최고급 구리쇠 200한으로 이 거울을 만들었도다. " — 김운회 번역

외교 정책

무령왕은 512년, 521년 양나라에 사신을 보내 외교를 시도했다. 521년 양 무제로부터 사지절도독 백제제군사 영동대장군(使持節都督百濟諸軍事寧東大將軍)의 작호를 받았다. 이는 문헌 기록 외에도 무령왕릉 지석에서도 영동대장군 백제 사마왕(嶺東大將軍 百濟 斯麻王)으로 기록되어 있다.

한편 그는 왜에 마나군을 파견했는데 왜에 그를 파견한 구체적 사유는 알려진 것이 없다. 즉위 5년에 왜에 보내어진 마나군이 왕족이 아니라는 이유로 사아군과 교체를 하여 왕족 중심으로 정국을 운영하였다. 503년에는 왕위에 오르기 전 있었던 일본의 천황에게 인물화상경을 보내주었다. 513년 오경박사 단양이(段楊爾)와 516년 고안무(高安茂)를 왜에 보내어 백제의 문화를 왜에 전해주기도 하였다.

사망

523년 음력 5월 7일 62세로 사망했다. 삼국사기, 삼국유사, 일본서기, 신찬성씨록 등에는 그의 사망원인에 대한 기록은 나타나지 않는다. 왜에 파견되었던 아들 순타태자가 부왕보다 앞서 요절하였으므로 다른 아들인 명농이 보위에 올랐다.

그의 정확한 사망일자 역시 전하지 않다가 무령왕릉 지석에 '영동대장군 백제 사마왕은 나이가 62세인 계묘년 병술일이 초하루인 5월 7일 임진일에 돌아가셨다. 을사년 계유일이 초하루인 8월12일 갑신일에 등관에 있는 대묘에 안장하였다. 묘지는 이와 같이 기록한다. 끝.(寧東大將軍 百濟斯麻王 年六十二歲 癸卯年 五月 丙戌朔 七日 壬辰 崩. 到乙巳年 八月 癸酉朔 十二日 甲申, 安厝登冠大墓. 立志如左. 尓.)'라 쓴 것이 판독되어 음력 5월 7일에 62세로 사망하여 다른 곳에 임시로 안장했다가, 2년 뒤인 525년 음력 8월 12일에 현재의 위치(현, 충청남도 공주시 금성동)에 이장되었다.


데이터(Data)

노드(Node) 정보

id class label infoUrl iconUrl
무령왕 인물 무령왕 https://dh.aks.ac.kr/~hyunseung/wiki/index.php/%EB%AC%B4%EB%A0%B9%EC%99%95

공간 정보(안장 위치 : 무령왕릉)

위도 경도 주소
36.46342545789568 127.11427095853662 충청남도 공주시 왕릉로 37




시각자료

갤러리


참고문헌

Web Resource

Category Title Site Url
사전 무령왕 (武寧王)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19017
사전 무령왕 위키백과 https://ko.m.wikipedia.org/wiki/%EB%AC%B4%EB%A0%B9%EC%99%95
해설 무령왕 디지털공주문화대전 https://www.grandculture.net/gongju/toc/GC01700868
사진 무령왕 표준 영정 위키백과 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King_Muryeong_Portrait.png
동영상 KBS 한국사전 – 백제 다시 강국이 되다, 중흥군주 무령왕 Youtube https://www.youtube.com/embed/AsSaRhxDMKU?si=K4YBFBqHf4RVFa7K

※ 사전, 해설, 참고, 기사, 잡지, 사진, 동영상 등

Bibliography

Category Title Site Url
단행본 정재윤, 『무령왕, 신화에서 역사로』, 푸른역사, 2021. 국립중앙도서관 https://www.nl.go.kr/NL/contents/search.do?#viewKey=788523848&viewType=AH1
논문 정동준, 「6세기 동아시아 정세와 무령왕의 대고구려전략」, 백제학회, 42, 2022. RISS https://www.riss.kr/link?id=A108370195
연구소자료 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 「백제무령왕릉 : 제1장 백제사상의 무령왕」, 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 1991. RISS https://www.riss.kr/link?id=A75616686

※ 단행본, 논문 등


  1. 이동 "공주 무령왕릉과 왕릉원", 국가유산청 국가유산포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