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위

"무령왕릉 석수"의 두 판 사이의 차이

KHS DH wiki

(새 문서: {{명함:물품 |사진= 무령왕릉_석수.jpg |한글= 무령왕릉 석수 |한자= 武寧王陵 石獸 |영어= Stone Guardian from the Tomb of King Muryeong |이칭= |제작자=...)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4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4번째 줄: 4번째 줄:
 
|한자= 武寧王陵 石獸
 
|한자= 武寧王陵 石獸
 
|영어= Stone Guardian from the Tomb of King Muryeong
 
|영어= Stone Guardian from the Tomb of King Muryeong
|이칭=
+
|이칭= 진묘수
 
|제작자=
 
|제작자=
 
|시대= 백제
 
|시대= 백제
10번째 줄: 10번째 줄:
 
|소장처= 국립공주박물관
 
|소장처= 국립공주박물관
 
|유형= 능묘조각
 
|유형= 능묘조각
|크기=
+
|크기= 높이 30.8㎝, 길이 49㎝, 너비 22㎝
 
|국가유산 종목= 국보
 
|국가유산 종목= 국보
 
|국가유산 지정일= 1974년 07월 09일
 
|국가유산 지정일= 1974년 07월 09일
 
}}
 
}}
 +
 +
 +
==내용==
 +
공주시 무령왕릉에서 발견된 백제 때 만들어진 석수이다.
 +
 +
석수(石獸)란 좁게는 궁전이나 무덤 앞에 세워두거나 무덤 안에 놓아두는 돌로 된 동물상을 말한다.
 +
 +
무령왕릉 석수는 높이 30.8㎝, 길이 49㎝, 너비 22㎝로 통로 중앙에서 밖을 향하여 놓여 있었다. 입은 뭉뚝하며 입술에 붉게 칠한 흔적이 있고, 콧구멍 없는 큰 코에 눈과 귀가 있다. 머리 위에는 나뭇가지 형태의 철제 뿔이 붙어있다. 몸통 좌우, 앞·뒤 다리에는 불꽃무늬가 조각되어 있는데 이는 날개를 나타낸 것으로 보인다. 꼬리가 조각되어 있으며 배설 구멍이 달려 있을 정도로 사실적이다.
 +
 +
무덤 수호의 관념에서 만들어진 것으로 우리나라에서는 처음 발견된 것이다.
 +
 +
 +
==동영상==
 +
<html><iframe width="360" height="200" src="https://www.youtube.com/embed/WpUwbGFOxxI" title="국립공주박물관 온라인 유물 해설 진묘수" frameborder="0" allow="accelerometer; autoplay; clipboard-write; encrypted-media; gyroscope; picture-in-picture; web-share" referrerpolicy="strict-origin-when-cross-origin" allowfullscreen></iframe></html>
 +
 +
==참고문헌==
 +
===Web Resource===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width:100%;"
 +
|-
 +
! Category !! Title !! Site !! Url
 +
|-
 +
| 동영상 || 국립공주박물관 온라인 유물 해설 진묘수 || Youtube ||
 +
|-
 +
|}
 +
 +
[[분류:한국전통문화대학교]] [[분류:Knuch:이아현]]

2024년 11월 20일 (수) 11:22 기준 최신판

무령왕릉 석수
(武寧王陵 石獸)
무령왕릉 석수.jpg
한글 무령왕릉 석수
한자 武寧王陵 石獸
영어 Stone Guardian from the Tomb of King Muryeong
이칭 진묘수
시대 백제
소장처 국립공주박물관
유형 능묘조각
크기 높이 30.8㎝, 길이 49㎝, 너비 22㎝
국가유산 종목 국보
국가유산 지정일 1974년 07월 09일



내용

공주시 무령왕릉에서 발견된 백제 때 만들어진 석수이다.

석수(石獸)란 좁게는 궁전이나 무덤 앞에 세워두거나 무덤 안에 놓아두는 돌로 된 동물상을 말한다.

무령왕릉 석수는 높이 30.8㎝, 길이 49㎝, 너비 22㎝로 통로 중앙에서 밖을 향하여 놓여 있었다. 입은 뭉뚝하며 입술에 붉게 칠한 흔적이 있고, 콧구멍 없는 큰 코에 눈과 귀가 있다. 머리 위에는 나뭇가지 형태의 철제 뿔이 붙어있다. 몸통 좌우, 앞·뒤 다리에는 불꽃무늬가 조각되어 있는데 이는 날개를 나타낸 것으로 보인다. 꼬리가 조각되어 있으며 배설 구멍이 달려 있을 정도로 사실적이다.

무덤 수호의 관념에서 만들어진 것으로 우리나라에서는 처음 발견된 것이다.


동영상

참고문헌

Web Resource

Category Title Site Url
동영상 국립공주박물관 온라인 유물 해설 진묘수 Youtub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