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위

"Knuch 박서은 연구 기획"의 두 판 사이의 차이

KHS DH wiki

(Visualization)
(lst 그래프)
182번째 줄: 182번째 줄:
 
무령왕릉_지석 공주_무령왕릉과_왕릉원 A는_B에서_출토되었다
 
무령왕릉_지석 공주_무령왕릉과_왕릉원 A는_B에서_출토되었다
 
서울_석촌동고분군 서울 A는_B에_위치한다  
 
서울_석촌동고분군 서울 A는_B에_위치한다  
 +
익산_왕궁리_오층석탑_사리장엄구 익산_왕궁리_유적 A는_B에서_출토되었다
 +
익산_왕궁리_오층석탑 익산_왕궁리_유적 A는_B에서_출토되었다
 +
공주_무령왕릉과_왕릉원 사적 A는_B로_지정되었다
 +
무령왕릉_청동거울_일괄 국보 A는_B로_지정되었다
 +
무령왕릉_석수 국보 A는_B로_지정되었다
 +
무령왕릉_지석 국보 A는_B로_지정되었다
 +
창왕 성왕 A는_B의_아들이다
 +
성왕 창왕 A는_B의_아버지다
 +
문주왕 개로왕 A는_B의_아들이다
 +
개로왕 문주왕 A는_B의_아버지다
 +
 
   
 
   
  

2024년 11월 20일 (수) 10:17 판

주제: 백제왕도 정보 시각화 시스템 제작 및 활용

백제의 시기 구분은 도읍을 기준으로 한다. 한성기(서울), 웅진기(공주), 사비기(부여)로 구분할 수 있으며, 시기에 따라 관련한 인물이나 유물, 관련 문화유산들이 각기다른 특징을 나타낸다. 이미 2015년 백제왕도를 대상으로 한 백제역사유적지구가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어 사람들에게 알려졌으나, 이들의 관계성을 한 눈에 보기 위해 정리한 자료나 시각화 된 내용은 그리 많지 않다. 이에 백제왕도를 중심으로 한 문화유산들에 대해 정보 시각화 시스템을 제작하여 관람객의 이해를 돕고자 한다.


내용

  • 고분 및 왕성 출토 유물에 대한 메타데이터 or 위키문서를 작성해 정보 전달
  • 백제왕도 지역 내 진행되는 관련 행사나 축제 등 문화 콘텐츠와 실제 역사적 인물, 사건에 대한 관계망 제작
  • 작성된 관계망을 바탕으로 스토리텔링 혹은 다른 디지털 콘텐츠 제작


기대효과

  • 문화유산에 대한 관람객의 이해도 증가
  • 한 지역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닌 각 왕도별 특성에 대한 흥미 돋움


대상자원

  • 백제 한성, 웅진, 사비 시기 고분 및 왕성과 출토 유물
  • 현재 백제왕도를 주제로 진행되는 축제, 문화 콘텐츠, 문화유산 활용 프로그램 정보
  • 그 외 백제왕도 관련 자료


Class

  • 인물
  • 유적
  • 국가유산_유형
  • 도읍
  • 국가
  • 유물

Relation

Relation
A는_B로_지정되었다 유적/유물 국가유산_유형
A는_B에_위치한다 유적 도읍/국가
A는_B의_도읍이다 도읍 국가
A는_B의_왕이다 인물 국가
A는_B의_아들이다 인물 인물
A는_B의_아버지다 인물 인물
A는_B에서_출토되었다 유물 유적


Object

Object
백제 국가
익산 도읍
공주 도읍
부여 도읍
서울 도읍
서울_석촌동고분군 유적
부여_왕릉원 유적
익산_쌍릉 유적
성왕 인물
창왕 인물
근초고왕 인물
무왕 인물
문주왕 인물
개로왕 인물
무령왕 인물
부여_능산리사지_석조사리감 유물
무령왕릉_청동거울_일괄 유물
무령왕릉_석수 유물
무령왕릉_지석 유물
공주_무령왕릉과_왕릉원 유적
부여_능산리_사지 유적
익산_왕궁리_오층석탑_사리장엄구 유물
익산_왕궁리_오층석탑 유적
익산_왕궁리_유적 유적
국보 국가유산_유형
사적 국가유산_유형

lst 그래프

  1. Class

인물 유적 국가유산_유형 도읍 국가 유물

  1. Relation

A는_B로_지정되었다 A는_B에_위치한다 A는_B의_도읍이다 A는_B의_왕이다 A는_B의_아들이다 A는_B의_아버지다 A는_B에서_출토되었다


  1. Nodes

백제 국가 백제 익산 도읍 익산 공주 도읍 공주 부여 도읍 부여 서울 도읍 서울 서울_석촌동고분군 유적 서울_석촌동고분군 부여_왕릉원 유적 부여_왕릉원 익산_쌍릉 유적 익산_쌍릉 성왕 인물 성왕 창왕 인물 창왕 근초고왕 인물 근초고왕 무왕 인물 무왕 문주왕 인물 문주왕 개로왕 인물 개로왕 무령왕 인물 무령왕 부여_능산리사지_석조사리감 유물 부여_능산리사지_석조사리감 무령왕릉_청동거울_일괄 유물 무령왕릉_청동거울_일괄 무령왕릉_석수 유물 무령왕릉_석수 무령왕릉_지석 유물 무령왕릉_지석 공주_무령왕릉과_왕릉원 유적 공주_무령왕릉과_왕릉원 부여_능산리_사지 유적 부여_능산리_사지 익산_왕궁리_오층석탑_사리장엄구 유물 익산_왕궁리_오층석탑_사리장엄구 익산_왕궁리_오층석탑 유적 익산_왕궁리_오층석탑 익산_왕궁리_유적 유적 익산_왕궁리_유적 국보 국가유산_유형 국보 사적 국가유산_유형 사적


  1. Links

익산 백제 A는_B의_도읍이다 공주 백제 A는_B의_도읍이다 부여 백제 A는_B의_도읍이다 서울 백제 A는_B의_도읍이다 성왕 백제 A는_B의_왕이다 창왕 백제 A는_B의_왕이다 근초고왕 백제 A는_B의_왕이다 무왕 백제 A는_B의_왕이다 문주왕 백제 A는_B의_왕이다 개로왕 백제 A는_B의_왕이다 무령왕 백제 A는_B의_왕이다 부여_능산리사지_석조사리감 부여_능산리_사지 A는_B에서_출토되었다 무령왕릉_청동거울_일괄 공주_무령왕릉과_왕릉원 A는_B에서_출토되었다 무령왕릉_석수 공주_무령왕릉과_왕릉원 A는_B에서_출토되었다 무령왕릉_지석 공주_무령왕릉과_왕릉원 A는_B에서_출토되었다 서울_석촌동고분군 서울 A는_B에_위치한다 익산_왕궁리_오층석탑_사리장엄구 익산_왕궁리_유적 A는_B에서_출토되었다 익산_왕궁리_오층석탑 익산_왕궁리_유적 A는_B에서_출토되었다 공주_무령왕릉과_왕릉원 사적 A는_B로_지정되었다 무령왕릉_청동거울_일괄 국보 A는_B로_지정되었다 무령왕릉_석수 국보 A는_B로_지정되었다 무령왕릉_지석 국보 A는_B로_지정되었다 창왕 성왕 A는_B의_아들이다 성왕 창왕 A는_B의_아버지다 문주왕 개로왕 A는_B의_아들이다 개로왕 문주왕 A는_B의_아버지다


  1. End

Visualization

Visualization


참고자료

백제역사유적지구와 관련한 아카이브, 3차원 기록화 등의 시스템을 제공

백제역사유적지구를 중심으로 공주, 부여, 익산에서 진행되는 문화유산 활용 프로그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