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HS DH wiki
메뉴
Project
광주 문화예술 인문스토리 플랫폼 (2024)
한양도성 타임머신 (2020~2022)
역사인물초상화관 (2017)
한국 기록유산 Encyves (2016~2017)
Class / Workshop
🌸25-1 SKKU:디지털한국어문학연구방법론2
🍂24-2 KNUCH:디지털유산프로젝트
🍂24-2 KNUCH:디지털아카이브
🌸24-1 KNUCH:디지털스토리텔링
🌸24-1 KNUCH:문화기술개론
🏝️2024 여주 사회과 지역화 교재 디지털 스토리텔링
☃️2024 DKU:전통의상학 디지털 큐레이션 교육
🍂22-2 SKKU:디지털방법론으로 보는 한국문화와 철학
🏝️2022 한국비구니승가연구소 디지털 큐레이터 교육
☃️2022 디지털 인문학 교육 워크샵
🏝️2019 디지털 인문학 교육 워크샵
🦉DH Workshop
DH Reference
AKS 인문정보학교실
DH 참고자료
SQL Script
디지털큐레이션 도구
시맨틱 데이터 관리기 사용법
Wiki Syntax
위키 문법
출처 표기법
Network Graph (ver.2024)
Icon
Icon
검색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특수 문서 목록
문서 정보
최근 바뀜
도움말
계정 만들기
로그인
행위
문서
토론
원본 보기
역사
정해진찬의궤 복식 문서 원본 보기
←
정해진찬의궤 복식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
이 문서는 편집하거나 다른 명령을 할 수 없도록 보호되어 있습니다.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큐레이션 주제)'''= <p style="text-align:right"> 작성자: 김현승 </p> =='''큐레이션 내용'''== 앞으로 후속연구에서 전체 의궤를 연결하면 좋겠다. =='''정해진찬의궤 강독'''== * [http://dh.aks.ac.kr/Edu/wiki/index.php/고문헌자료정보화연구 고문헌자료정보화연구] / [http://dh.aks.ac.kr/Edu/wiki/index.php/김은숙 김은숙] ** [http://dh.aks.ac.kr/Edu/wiki/index.php/고종정해진찬의궤_권수 고종정해진찬의궤 권수] ** [http://dh.aks.ac.kr/Edu/wiki/index.php/고종정해진찬의궤_권일 고종정해진찬의궤 권일] ** [http://dh.aks.ac.kr/Edu/wiki/index.php/고종정해진찬의궤_권이 고종정해진찬의궤 권이] ** [http://dh.aks.ac.kr/Edu/wiki/index.php/고종정해진찬의궤_권삼 고종정해진찬의궤 권삼] * [http://dh.aks.ac.kr/Edu/wiki/index.php/정해진찬의궤_찬품 정해진찬의궤 찬품] / [http://dh.aks.ac.kr/Edu/wiki/index.php/이소영 이소영] =='''자료 분석'''== ===권1 '전교(傳敎)'에 쓰여진 인물/복장/복식 관련 내용=== *원문: 丁亥正月十六日 口傳下敎曰 “左命婦班首, 以貞敬夫人金氏, 右命婦班首, 以貞夫人徐氏爲之, ….” *음 : 정해정월십육일 구전하교왈 “좌명부반수, 이정경부인김씨, 우명부반수, 이정부인서씨위지, ….” *해석: 정해년 정월 16일 고종이 구두로 하교하기를 "좌명부의 [https://hanja.dict.naver.com/word?q=班首&cp_code=0&sound_id=0 반수]는 정경부인 김씨로 하고, 우명부의 반수는 정부인 서씨로 한다. …." ===권1 '악장(樂章)'에 쓰여진 인물/복장/복식 관련 내용=== *정재 목록 **장생보연지무(長生寶宴之舞) **금척(金尺) **헌선도(獻仙桃) **수연장(壽延長) **향령(響鈴) **아박(牙拍) **보상무(寶相舞) **가인전목단(佳人剪牧丹) **연백복지무(演百福之舞) **무산향(舞山香) **무고(舞皷) **포구락(抛毬樂) **오양선(五羊仙) **하황은(荷皇恩) **춘앵전(春鶯囀) **향발(響鈸) **연화대무(蓮花臺舞) **첨수무(尖袖舞) **선유락(船遊樂) **검기무(劍器舞) **학무(鶴舞) ===='악장' 내에서 복식 관련 언급된 내용==== {{글상자 |color=#DCECEC |text= *'''향령(響鈴)''' *<font color="blue"><b>원문</b></font>: 響鈴【…又以金鈴十枚分絡左右手, 隨拍抃轉有聲, 名曰響鈴. ○女妓一人在前, 一人在後, 又四人作二隊, 在其後. 各繫鈴於左右手指, 竝北向, 隨樂節搖響而舞.】 *<font color="blue"><b>음</b></font> : 향령【…우이금령열매분낙좌우수, 수박변전유성, 명왈향령. ○여기일인재전, 일인재후, 우사인작이대, 재기후. 각계령어좌우수지, 병북향, 수악절요향이무.】 *<font color="blue"><b>해석</b></font>: [https://hanja.dict.naver.com/word?q=響鈴 향령]【…또한 금령 10매를 좌우에 나누어, 박자에 따라 박수를 치면 소리가 나는데, 이름을 향령이라 한다. ○여기(女妓) 1인이 앞에 있고, 1인이 뒤에 있고, 또 4인이 2대를 만들어 그 뒤에 있는다. 방울(향령)을 각 좌우 손가락에 매달고 모두 북향하여 악절에 따라 향(향령)을 흔들며 춤춘다. *<font color="blue"><b>참고영상</b></font>: <html> <iframe width="642" height="361" src="https://www.youtube.com/embed/lC0gLnbGLtg" frameborder="0" allow="accelerometer; autoplay; encrypted-media; gyroscope; picture-in-picture" allowfullscreen></iframe> </html> }} {{글상자 |color=#DCECEC |text= *'''아박(牙拍)''' *<font color="blue"><b>원문</b></font>: 牙拍【… ○女妓四人各執牙拍隨拍聲, 擊牙拍而舞】 *<font color="blue"><b>음 </b></font>: 아박【… ○여기사인각집아박수박성, 격아박이무】 *<font color="blue"><b>해석</b></font>: [https://hanja.dict.naver.com/word?q=牙拍 아박]【… ○여기(女妓) 4인이 각자 아박을 잡고 박소리에 따라 아박을 치면서 춤춘다.】 }} {{글상자 |color=#DCECEC |text= *'''가인전목단(佳人剪牧丹)''' *<font color="blue"><b>원문</b></font>: 佳人剪牧丹【… 衣紅生色砌衣, 戴金鳳冠, ….】 *<font color="blue"><b>음 </b></font>: 가인전목단【… 의홍생색체의, 대금봉관, ….】 *<font color="blue"><b>해석</b></font>: 가인전목단【… 홍색 체의(砌衣??)를 입고, 금봉관을 쓰고, ….】 }} {{글상자 |color=#DCECEC |text= *'''향발(響鈸)''' *<font color="blue"><b>원문</b></font>: 響鈸【用鍮鐵爲之, 繫於左右手相擊爲舞節, …. ○女妓四人各繫鈸於左右手, 隨樂節, 撞鈸而舞.】 *<font color="blue"><b>음</b></font> : 향발【용유철위지, 계어좌우수상격위무절, …. ○여기사인각계발어좌우수, 수악절, 당발이무.】 *<font color="blue"><b>해석</b></font>: [https://hanja.dict.naver.com/word?q=響鈸 향발]【[https://hanja.dict.naver.com/word?q=鍮鐵 유철]로 만든다. 좌우 손에 매달고, 서로 쳐서 춤의 장단을 삼는다. …. ○여기(女妓) 4인이 각자 좌우 손에 [https://hanja.dict.naver.com/hanja?q=鈸 발(鈸)]을 매달고, 악절에 따라 발(鈸)을 치며 춤춘다.】 *<font color="blue"><b>참고자료</b></font>: #장사훈,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62910 향발무(響鈸舞)]",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비주, "[https://blog.naver.com/lu2u3u/60158625762 향발무(響鈸舞)]",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블로그-비주 류장하의 딴지세상』<sup>online</sup></online></html>, 작성일: 2012년 03월 23일. #"[http://www.vajrayanacf.org/eight_jewels_pool/html_file/vajceremobject/other/tingshas/tingshasindex.html 西藏小響鈸]", <html><online style="color:purple">『vajrayanacf』<sup>online</sup></online></html> }} {{글상자 |color=#DCECEC |text= *'''연화대무(蓮花臺舞)''' *<font color="blue"><b>원문</b></font>: 蓮花臺舞【…, 用二女童, …. 戴蛤笠, 著丹衣, ….】 *<font color="blue"><b>음</b></font> : 연화대무【…, 용이여동, …. 대합립, 착단의, ….】 *<font color="blue"><b>해석</b></font>: 연화대무【…, 2명의 여자아이가, …, 합립을 쓰고, 단의를 입고, ….】 }} {{글상자 |color=#DCECEC |text= *'''첨수무(尖袖舞)''' 춤추는 사람이 손에 아무것도 잡지 않고 춘다. *<font color="blue"><b>원문</b></font>: 尖袖舞【…. ○舞者手無所執, 翻覆其手按節而舞, 俗稱葉舞. …. ○女妓四人繫紅色尖袖於五色汗衫, 分二隊, 相對而舞.】 *<font color="blue"><b>음</b></font> : 첨수무【…. ○무자수무소집, 번복기수안절이무, 속칭엽무, …. ○여기사인계홍색첨수어오색한삼, 분이대, 상대이무.】 *<font color="blue"><b>해석</b></font>: 첨수무【…. ○춤추는 사람 손에 잡은 것이 없고, 그 손을 반복하여 뒤집으며 춤을 추니, 속칭 '[https://hanja.dict.naver.com/word?q=葉舞 엽무]'라 한다. …. ○여기(女妓) 4인이 오색한삼에 홍색 첨수를 매고, 2대로 나누어 서로 마주하여 춘다.】 }} {{글상자 |color=#DCECEC |text= *'''선유락(船遊樂)''' *<font color="blue"><b>원문</b></font>: 船遊樂【…. ○兩童妓登船, 分立於帆前帆後. 女妓二人, 戴朱笠插羽, 著天翼, 佩劍弓矢, 列立於船前, 作號令執事. ….】 *<font color="blue"><b>음</b></font> : 선유락【…. ○양동기등선, 분립어범전범후. 여기이인, 대주립삽우, 착천익, 패검궁시, 열립어선전, 작질호령집사. ….】 *<font color="blue"><b>해석</b></font>: 선유락【…. ○두 명의 동기가 배에 올라서 돛의 앞, 뒤에 나누어 선다. 여기(女妓) 2인은 깃이 꽂힌 주립을 쓰고, 철릭을 입고, 검과 활과 화살을 패용하고, 배의 앞에 나란히 서서 호령하는 집사 역할을 한다. ….】 }} {{글상자 |color=#DCECEC |text= *'''검기무(劍器舞)''' *<font color="blue"><b>원문</b></font>: 劍器舞【…. ○女妓四人, 戴戰笠, 著戰服, 各持二劍, 分二隊, 相對而舞.】 *<font color="blue"><b>음</b></font> : 검기무【…. ○여기사인, 대전립, 착전복, 각지이검, 분이대, 상대이무.】 *<font color="blue"><b>해석</b></font>: 검기무【…. ○여기(女妓) 4인이 전립을 쓰고, 전복을 입고, 검 2개를 가지고, 2대로 나누어 서로 마주하여 춤춘다.】 }} {{글상자 |color=#DCECEC |text= *'''학무(鶴舞)''' *<font color="blue"><b>원문</b></font>: 鶴舞【用竹爲兩鶴, 以靑白羽衣之兩舞童, …. 】 *<font color="blue"><b>음</b></font> : 학무【용죽위양학, 이청백우의지양무동, …. 】 *<font color="blue"><b>해석</b></font>: 학무【대나무로 학 두 마리를 만들고, 청색과 백색의 깃옷을 입은 두 명의 무동 …. 】 }} '의주'에 쓰여진 복장/복식 품목에 쓰여진 복장/복식<br/> 찬품(채화)에 쓰여진 사권화/잠화<br/> 의위에 쓰여진 인물의 지위와 복장/복식<br/> 내외빈에 쓰여진 지위와 복장/복식<br/> 공령에 쓰여진 인물의 지위와 인원수 및 복장/복식<br/> 악기풍물(정재의물)에 쓰여진 복식 요소의 소요량<br/> 도식에 그려진 복식<br/> 반차도그림에 보이는 복장/복식<br/> 도병에 그려진 복장/복식<br/> 유물<br/> 재현공연<br/>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NetworkGraph
(
원본 보기
)
틀:글상자
(
원본 보기
)
정해진찬의궤 복식
문서로 돌아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