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변수"의 두 판 사이의 차이

azuremei
이동: 둘러보기, 검색
(기본)
(한 번에 대입하기)
30번째 줄: 30번째 줄:
  
 
====한 번에 대입하기====
 
====한 번에 대입하기====
 +
*변수값을 한번에 대입하는 방법은 두 가지이다.
 +
*#변수1, 변수2, 변수3=변수값1, 변수값2, 변수값3
 +
*#변수1=변수값1; 변수2=변수값2; 변수3=변수값3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background:white;"
 +
!입력창 !! 결과창
 +
|-
 +
|a, b, c = 1, 2, 3<br/>print(a, b, c) || 1 2 3
 +
|-
 +
|a=1; b=2; c=3<br/>print(a, b, c)  || 1 2 3
 +
|}
 +
 +
====모두 같은 값인 변수의 대입====
 +
*변수 1,2,3의 값이 모두 같을 때 변수1=변수2=변수3=변수값1과 같이 사용한다.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background:white;"
 +
!입력창 !! 결과창
 +
|-
 +
|a=b=c=7 || 7 7 7
 +
|}

2018년 3월 18일 (일) 07:20 판

변수

  1. 값을 저장하는 공간
  2. 파이썬에서의 변수는 '객체'를 가리킨다.
  3. 가리키는 형태
  4. 순차대입

변수의 값 대입

기본

  • '='를 사용하여 객체를 가리키는 것변수라고 한다.
  • 변수=변수값 : 변수에 변수값을 대입한다.
  •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은 좌측에 있는 값을 우측에 대입하는 것이다.
  • 변수를 지정하기만 하는 것은 출력값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 파이썬 외의 다른 언어에서는 A라는 공간을 만들고 공간 안에 변수를 저장하는 형태, 그러나 파이썬은 만들어진 공간을 '가리키기만 하는'것이므로 다른 장치 없이 사용 가능함
입력창 결과창
a=1
b=2
c=3
print(a, b, c)
1 2 3
a=1
b=2
c=3
d=1
print(a, b, c)
1 2 3
  • 만약 d=1이라는 중복값이 있더라도 파이썬에서의 변수는 가리키기만 하는 것이므로 오류가 나지 않는다.

※이전에 지정한 변수와 같은 변수(변수값X)을 중복 사용하면 이전 변수와의 연결고리는 끊어지고 새 변수로 변경된다. 그러나 파이썬은 순차 연산언어기 때문에 이전의 값이 사라지지는 않는다.

입력창 결과창
a=1
b=2
c=3
print(a, b, c)
.
.
.
.
a=4
b=5
c=5
print(a, b, c)
1 2 3
.
.
.
.
.
.
.
.
4 5 6

한 번에 대입하기

  • 변수값을 한번에 대입하는 방법은 두 가지이다.
    1. 변수1, 변수2, 변수3=변수값1, 변수값2, 변수값3
    2. 변수1=변수값1; 변수2=변수값2; 변수3=변수값3
입력창 결과창
a, b, c = 1, 2, 3
print(a, b, c)
1 2 3
a=1; b=2; c=3
print(a, b, c)
1 2 3

모두 같은 값인 변수의 대입

  • 변수 1,2,3의 값이 모두 같을 때 변수1=변수2=변수3=변수값1과 같이 사용한다.
입력창 결과창
a=b=c=7 7 7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