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print()"의 두 판 사이의 차이

azureme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잔글 (Azuremei님이 Print() 문서를 1. print()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11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
 +
*주석
 +
**소스에 설명을 추가하는 것. 실행 시 무시됨
 +
**프로그램 수행에 영향을 주지 않음
 +
**한 줄 주석 : # 뒤부터 주석처리
 +
**여러줄 주석 : <pre>'''~''' or """~"""</pre> 여는 부호와 닫는 부호는 같아야 한다.
 
=='''print()'''==
 
=='''print()'''==
*print()에서 공백 없애기 및 개행
+
*'''print()'''
**print()함수에서 ','을 이용해 문자를 나열할 경우 문자열과 문자열 사이에 공백(" ")이 디폴트값으로 설정되어 있다.
+
**화면으로 데이터(글자)를 출력하는 함수
 +
**화면 : IDLE, CMD
 +
**함수 : 무언가의 특정 행위를 하기 위해 만들어놓은 기능
 +
***대화형 인터프리터 함수에서는 사용하지 않는다.
 +
 
 +
*문자열
 +
**문자의 나열, 여러 문자들이 나열된 형태.
 +
**'abc' 혹은 "abc"로 묶는다.
 +
***" ", ' '의 차이는 없음, 그러나 다른 언어에서는 ""을 문자열로, ''는 다른 용도로 사용하기 때문에 가능한 ""의 사용을 습관화하는 것이 좋다.
 +
<pre>
 +
>>> print("문자열입니다")
 +
문자열입니다
 +
>>> "문자열입니다"
 +
'문자열입니다'
 +
>>>
 +
</pre>
 +
 
 +
*'''',''''
 +
**여러 값을 출력하고자 할 때 사용함. 갯수의 제한은 없다.
 +
**예)print(1, 2, 3, 4, 5+1, 6, 7)
 +
**','로 나열되면 '하나'의 값.
 +
 
 +
*'''';''''
 +
**두 개의 함수를 하나로 합칠때
 +
<pre>print("a", "b", "c") ; print("A", "B", "C")
 +
</pre>
 +
한 줄로 합쳐도 abc ABC로는 나오지 않는다.
 +
 
 +
*print 함수에서 기본적용되는 구문기호와 마지막 기호
 +
#, 로 나열할 때 기본 적용 sep=" "
 +
#print()의 출력이 끝날 때 기본 적용 end=" \"
 +
*\n은 줄바꿈(게행)을 하는 특수문자, 이스케이프문자, new line의 약자이다. (print는 기본적으로 줄바꿈을 수행)
 +
<pre>
 +
print("A", "B", "C", sep="")#기본 적용되는 공백을 반문자로 변경
 +
print("안녕", end="")#출력이 끝난 후 기본 개행을 반문자로 변경
 +
print("하세요", end="하하하")
 +
</pre>
 +
 
 +
===print()에서 공백 없애기 및 개행===
 +
*print()함수에서 ','을 이용해 문자를 나열할 경우 문자열과 문자열 사이에 공백(" ")이 디폴트값으로 설정되어 있다.
 
**sep="" : sep(separate, 분리된)은 문자열과 문자열 사이의 공간을 나타내는 기능이다.  print()는 print("문자열", sep=" ", "문자열2")가 디폴트값이므로 sep=" "를 sep=""로 선언해서 문자열과 문자열 사이의 공백을 없앨 수 있다.  
 
**sep="" : sep(separate, 분리된)은 문자열과 문자열 사이의 공간을 나타내는 기능이다.  print()는 print("문자열", sep=" ", "문자열2")가 디폴트값이므로 sep=" "를 sep=""로 선언해서 문자열과 문자열 사이의 공백을 없앨 수 있다.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background:white;"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background:white;"
9번째 줄: 54번째 줄:
 
|}
 
|}
  
**print()함수는 함수가 끝나면 무조건 개행한다. 그러므로 여러개의 print()를 사용하면서 개행을 하지 않으려면 print("문자열", end="")과 같이 end=""를 사용해야 한다. 이 떄 ""안에는 문자열을 넣지 않아도 되고, 두 가지 이상의 문자열을 나열할 경우 문자열을 삽입해도 결과값은 같다.
+
*print()함수는 함수가 끝나면 무조건 개행한다. 그러므로 여러개의 print()를 사용하면서 개행을 하지 않으려면 print("문자열", end="")과 같이 end=""를 사용해야 한다.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white;"
+
**이 떄 ""안에는 문자열을 넣지 않아도 되고, 두 가지 이상의 문자열을 나열할 경우 end=""에 마지막 문자열을 삽입할 수도 있다. '''<font color="green">그러나 결과값에는 차이가 있다.</font>'''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background:white;"
 +
!입력창 !! 결과창
 +
|-
 +
|print("A", "B", '''"C", end=""''')<br/>print("a", "b", "c") || A B Ca b c
 +
|-
 +
|print("A", "B", '''end="C"''')<br/>print("a", "b", "c") || A BCa b c
 +
|}
 +
 
 +
===print()에서 덧셈 기호(+)의 용도===
 +
* '''print(숫자+숫자)''' : 덧셈 연산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background:white;"
 +
!입력창 !! 결과창
 +
|-
 +
|print(1+1) || 2
 +
|}
 +
* '''print("문자열"+"문자열")''' : 문자 연결
 +
**print("문자열"    "문자열")과 같이 문자열끼리는 기호가 없이 연결 가능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background:white;"
 +
!입력창 !! 결과창
 +
|-
 +
|print("1"+"1") || 11
 +
|-
 +
|print("1"    "1") || 11
 +
|}
 +
'''<font color="red">그러나 print("문자열"      숫자) or print("문자열"+숫자) '''는 연산할 수 없다. 문자열과 숫자를 함께 사용하려면 ','를 사용해야 한다.</font>'''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background:white;"
 
!입력창 !! 결과창
 
!입력창 !! 결과창
 
|-
 
|-
|print("A", "B", "C", end="")<br/>print("a", "b", "c") || ABCabc
+
|print(2018, "년 입니다") || 2018 년 입니다
 
|-
 
|-
|print("A", "B", end="C")<br/>print("a", "b", "c") || ABCabc
+
|print(2018, "년 입니다", sep="") || 2018년 입니다
 
|}
 
|}

2018년 3월 18일 (일) 05:24 기준 최신판

  • 주석
    • 소스에 설명을 추가하는 것. 실행 시 무시됨
    • 프로그램 수행에 영향을 주지 않음
    • 한 줄 주석 : # 뒤부터 주석처리
    • 여러줄 주석 :
      '''~''' or """~"""
      여는 부호와 닫는 부호는 같아야 한다.

print()

  • print()
    • 화면으로 데이터(글자)를 출력하는 함수
    • 화면 : IDLE, CMD
    • 함수 : 무언가의 특정 행위를 하기 위해 만들어놓은 기능
      • 대화형 인터프리터 함수에서는 사용하지 않는다.
  • 문자열
    • 문자의 나열, 여러 문자들이 나열된 형태.
    • 'abc' 혹은 "abc"로 묶는다.
      • " ", ' '의 차이는 없음, 그러나 다른 언어에서는 ""을 문자열로, 는 다른 용도로 사용하기 때문에 가능한 ""의 사용을 습관화하는 것이 좋다.
>>> print("문자열입니다")
문자열입니다
>>> "문자열입니다"
'문자열입니다'
>>> 
  • ','
    • 여러 값을 출력하고자 할 때 사용함. 갯수의 제한은 없다.
    • 예)print(1, 2, 3, 4, 5+1, 6, 7)
    • ','로 나열되면 '하나'의 값.
  • ';'
    • 두 개의 함수를 하나로 합칠때
print("a", "b", "c") ; print("A", "B", "C")

한 줄로 합쳐도 abc ABC로는 나오지 않는다.

  • print 함수에서 기본적용되는 구문기호와 마지막 기호
  1. , 로 나열할 때 기본 적용 sep=" "
  2. print()의 출력이 끝날 때 기본 적용 end=" \"
  • \n은 줄바꿈(게행)을 하는 특수문자, 이스케이프문자, new line의 약자이다. (print는 기본적으로 줄바꿈을 수행)
print("A", "B", "C", sep="")#기본 적용되는 공백을 반문자로 변경
print("안녕", end="")#출력이 끝난 후 기본 개행을 반문자로 변경
print("하세요", end="하하하")

print()에서 공백 없애기 및 개행

  • print()함수에서 ','을 이용해 문자를 나열할 경우 문자열과 문자열 사이에 공백(" ")이 디폴트값으로 설정되어 있다.
    • sep="" : sep(separate, 분리된)은 문자열과 문자열 사이의 공간을 나타내는 기능이다. print()는 print("문자열", sep=" ", "문자열2")가 디폴트값이므로 sep=" "를 sep=""로 선언해서 문자열과 문자열 사이의 공백을 없앨 수 있다.
입력창 결과창
print("A", "B", "C", sep="") ABC
  • print()함수는 함수가 끝나면 무조건 개행한다. 그러므로 여러개의 print()를 사용하면서 개행을 하지 않으려면 print("문자열", end="")과 같이 end=""를 사용해야 한다.
    • 이 떄 ""안에는 문자열을 넣지 않아도 되고, 두 가지 이상의 문자열을 나열할 경우 end=""에 마지막 문자열을 삽입할 수도 있다. 그러나 결과값에는 차이가 있다.
입력창 결과창
print("A", "B", "C", end="")
print("a", "b", "c")
A B Ca b c
print("A", "B", end="C")
print("a", "b", "c")
A BCa b c

print()에서 덧셈 기호(+)의 용도

  • print(숫자+숫자) : 덧셈 연산
입력창 결과창
print(1+1) 2
  • print("문자열"+"문자열") : 문자 연결
    • print("문자열" "문자열")과 같이 문자열끼리는 기호가 없이 연결 가능
입력창 결과창
print("1"+"1") 11
print("1" "1") 11

그러나 print("문자열" 숫자) or print("문자열"+숫자) 는 연산할 수 없다. 문자열과 숫자를 함께 사용하려면 ','를 사용해야 한다.

입력창 결과창
print(2018, "년 입니다") 2018 년 입니다
print(2018, "년 입니다", sep="") 2018년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