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KCC T0017"의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1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41번째 줄: | 41번째 줄: | ||
isSiteOf | isSiteOf | ||
isUnrelatedTo | isUnrelatedTo | ||
− | |||
livesIn | livesIn | ||
messenger | messenger | ||
52번째 줄: | 51번째 줄: | ||
type | type | ||
companion | companion | ||
− | |||
quote | quote | ||
+ | isNamedAfter | ||
#Nodes | #Nodes | ||
+ | 팔괘 Concept 팔괘(八卦) null http://dh.aks.ac.kr/~hnn/vaquitalab/icon/팔괘.png | ||
+ | 주역 Document 주역(周易) null http://dh.aks.ac.kr/~hnn/vaquitalab/icon/문헌.png | ||
Per_1381 Actor 김장생 null http://dh.aks.ac.kr/~hnn/vaquitalab/icon/김장생.jpg | Per_1381 Actor 김장생 null http://dh.aks.ac.kr/~hnn/vaquitalab/icon/김장생.jpg | ||
김철산 Actor 김철산 null http://dh.aks.ac.kr/~hnn/vaquitalab/icon/남자양반.png | 김철산 Actor 김철산 null http://dh.aks.ac.kr/~hnn/vaquitalab/icon/남자양반.png | ||
Per_612 Actor 김계휘 null http://dh.aks.ac.kr/~hnn/vaquitalab/icon/남자양반.png | Per_612 Actor 김계휘 null http://dh.aks.ac.kr/~hnn/vaquitalab/icon/남자양반.png | ||
송익필 Actor 송익필 null http://dh.aks.ac.kr/~hnn/vaquitalab/icon/남자양반.png | 송익필 Actor 송익필 null http://dh.aks.ac.kr/~hnn/vaquitalab/icon/남자양반.png | ||
− | |||
− | |||
Per_6300 Actor 송시열 null http://dh.aks.ac.kr/~hnn/vaquitalab/icon/남자양반.png | Per_6300 Actor 송시열 null http://dh.aks.ac.kr/~hnn/vaquitalab/icon/남자양반.png | ||
Per_7628 Actor 윤증 null http://dh.aks.ac.kr/~hnn/vaquitalab/icon/남자양반.png | Per_7628 Actor 윤증 null http://dh.aks.ac.kr/~hnn/vaquitalab/icon/남자양반.png | ||
68번째 줄: | 67번째 줄: | ||
죽림서원 Place 죽림서원 null http://dh.aks.ac.kr/~hnn/vaquitalab/icon/서원.png | 죽림서원 Place 죽림서원 null http://dh.aks.ac.kr/~hnn/vaquitalab/icon/서원.png | ||
팔괘정 Place 팔괘정 null http://dh.aks.ac.kr/~hnn/vaquitalab/icon/누정.png | 팔괘정 Place 팔괘정 null http://dh.aks.ac.kr/~hnn/vaquitalab/icon/누정.png | ||
− | |||
− | |||
− | |||
월봉서원 Place 월봉서원 null http://dh.aks.ac.kr/~hnn/vaquitalab/icon/서원.png | 월봉서원 Place 월봉서원 null http://dh.aks.ac.kr/~hnn/vaquitalab/icon/서원.png | ||
− | |||
− | |||
송익필의_편액 Object 송익필의_편액 null https://dh.aks.ac.kr/workshop/images/9/9c/%EC%86%A1%EC%9D%B5%ED%95%84_%EC%B9%9C%ED%95%84_%EC%9E%84%EB%A6%AC%EC%A0%95_%ED%98%84%EC%95%A1.png | 송익필의_편액 Object 송익필의_편액 null https://dh.aks.ac.kr/workshop/images/9/9c/%EC%86%A1%EC%9D%B5%ED%95%84_%EC%B9%9C%ED%95%84_%EC%9E%84%EB%A6%AC%EC%A0%95_%ED%98%84%EC%95%A1.png | ||
如臨深淵_如履薄氷(詩經) Concept 如臨深淵_如履薄氷(詩經) null http://dh.aks.ac.kr/~hnn/vaquitalab/icon/이야기.png | 如臨深淵_如履薄氷(詩經) Concept 如臨深淵_如履薄氷(詩經) null http://dh.aks.ac.kr/~hnn/vaquitalab/icon/이야기.png | ||
− | |||
− | |||
#Links | #Links | ||
− | + | 팔괘정 팔괘 isNamedAfter | |
− | + | 팔괘 주역 isMentionedIn | |
− | + | Per_1381 죽림서원 isEnshrinedIn | |
− | + | Per_6300 죽림서원 isEnshrinedIn | |
− | + | 임리정 Per_1381 founder | |
송익필 Per_1381 hasDisciple | 송익필 Per_1381 hasDisciple | ||
Per_1381 Per_6300 hasDisciple | Per_1381 Per_6300 hasDisciple | ||
− | + | 팔괘정 Per_6300 founder | |
− | |||
− | Per_6300 | ||
− | |||
임리정 如臨深淵_如履薄氷(詩經) quote | 임리정 如臨深淵_如履薄氷(詩經) quote | ||
김철산 Per_612 hasDescendant | 김철산 Per_612 hasDescendant | ||
Per_612 Per_1381 hasSon | Per_612 Per_1381 hasSon | ||
− | Per_612 | + | 월봉서원 Per_612 founder |
기대승 월봉서원 isEnshrinedIn | 기대승 월봉서원 isEnshrinedIn | ||
Per_6300 Per_7628 hasDisciple | Per_6300 Per_7628 hasDisciple | ||
− | |||
− | |||
− | |||
팔괘정 죽림서원 isNear | 팔괘정 죽림서원 isNear | ||
임리정 죽림서원 isNear | 임리정 죽림서원 isNear | ||
− | 송익필 | + | 송익필의_편액 송익필 creator |
− | 임리정 | + | 송익필의_편액 임리정 provenance |
#end | #end | ||
119번째 줄: | 105번째 줄: | ||
− | |||
− | |||
128번째 줄: | 112번째 줄: | ||
--> | --> | ||
− | === | + | ===김장생과 임리정=== |
[[파일:임리정.jpg]] | [[파일:임리정.jpg]] | ||
* 이미지 출처 url:https://dh.aks.ac.kr/workshop/images/e/e0/임리정.jpg | * 이미지 출처 url:https://dh.aks.ac.kr/workshop/images/e/e0/임리정.jpg | ||
1626년(인조4), 여산(현재 논산시 강경읍 황산리)에 세워진 황산서원은 김장생의 주도로 건립되었으며, 1663년에 죽림으로 사액되었다. 건립 당시 이이와 성혼을 배향했으며 조광조, 이황, 김장생, 송시열이 추향되었다. 죽림서원을 중심으로 양쪽 지근거리에는 김장생과 송시열이 거처하고 강학하던 장소였던 임리정과 팔괘정이 있다. 구봉 송익필은 제자 김장생이 건립한 임리정을 위하여 시를 지어 축하했다. 이이, 성혼과 함께 학문을 절차탁마했던 송익필은 ‘직(直)’의 중요함을 탐구하고 설파했으며, 이는 김장생, 송시열, 권상하, 김창협 등의 후대 유학자들에게 전수됨으로써 한국 예학의 근간이 되었다. | 1626년(인조4), 여산(현재 논산시 강경읍 황산리)에 세워진 황산서원은 김장생의 주도로 건립되었으며, 1663년에 죽림으로 사액되었다. 건립 당시 이이와 성혼을 배향했으며 조광조, 이황, 김장생, 송시열이 추향되었다. 죽림서원을 중심으로 양쪽 지근거리에는 김장생과 송시열이 거처하고 강학하던 장소였던 임리정과 팔괘정이 있다. 구봉 송익필은 제자 김장생이 건립한 임리정을 위하여 시를 지어 축하했다. 이이, 성혼과 함께 학문을 절차탁마했던 송익필은 ‘직(直)’의 중요함을 탐구하고 설파했으며, 이는 김장생, 송시열, 권상하, 김창협 등의 후대 유학자들에게 전수됨으로써 한국 예학의 근간이 되었다. | ||
− | |||
+ | <!-- | ||
===AI 스토리텔링=== | ===AI 스토리텔링=== | ||
'''임리정'''<br/> | '''임리정'''<br/> | ||
142번째 줄: | 126번째 줄: | ||
송익필은 삼현수간을 창작하고 '직 사상'을 이끌어가며 학문적 지도자로서의 역할을 다했습니다. 그는 또한 김장생의 스승으로서, 후에 김장생이 학문적 지도자가 되도록 길을 열어주었습니다. 송익필의 또 다른 제자인 성혼, 그리고 이이(Per_3751)도 삼현수간을 창작하며 학문적 성취를 이루었습니다. 한편, 월봉서원은 김철산의 후손이기도 한 김계휘(Per_612)가 공동 창립한 서원으로, 기대승이 그곳에 봉안되었습니다. 이들 모두는 서원에서 학문을 탐구하고 제자들을 양성하며, 학문적 전통을 이어갔습니다. 그러나 모든 일이 순탄한 것만은 아니었습니다. 회니시비는 송시열과 윤증(Per_7628) 간의 갈등으로 이어진 사건으로, 두 인물 사이의 관계는 이 사건으로 깊이 얽혀 있습니다. 이 갈등은 후에 학문적 논쟁으로 발전하며 조선 학계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이처럼 조선의 학자들은 정자와 서원에서 학문을 연구하며, 그들의 유산은 오늘날까지도 이어지고 있습니다. 그들의 지혜와 노력은 후손들에게 전해져 오늘날의 학문적 기초를 다졌습니다. (ChatGPT 유료) | 송익필은 삼현수간을 창작하고 '직 사상'을 이끌어가며 학문적 지도자로서의 역할을 다했습니다. 그는 또한 김장생의 스승으로서, 후에 김장생이 학문적 지도자가 되도록 길을 열어주었습니다. 송익필의 또 다른 제자인 성혼, 그리고 이이(Per_3751)도 삼현수간을 창작하며 학문적 성취를 이루었습니다. 한편, 월봉서원은 김철산의 후손이기도 한 김계휘(Per_612)가 공동 창립한 서원으로, 기대승이 그곳에 봉안되었습니다. 이들 모두는 서원에서 학문을 탐구하고 제자들을 양성하며, 학문적 전통을 이어갔습니다. 그러나 모든 일이 순탄한 것만은 아니었습니다. 회니시비는 송시열과 윤증(Per_7628) 간의 갈등으로 이어진 사건으로, 두 인물 사이의 관계는 이 사건으로 깊이 얽혀 있습니다. 이 갈등은 후에 학문적 논쟁으로 발전하며 조선 학계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이처럼 조선의 학자들은 정자와 서원에서 학문을 연구하며, 그들의 유산은 오늘날까지도 이어지고 있습니다. 그들의 지혜와 노력은 후손들에게 전해져 오늘날의 학문적 기초를 다졌습니다. (ChatGPT 유료) | ||
− | + | --> | |
− | |||
===지식 요소 간 관계=== | ===지식 요소 간 관계=== | ||
149번째 줄: | 132번째 줄: | ||
! A !! B !! 관계어 | ! A !! B !! 관계어 | ||
|- | |- | ||
− | | | + | | 팔궤정 || 팔궤 || isNamedAfter |
|- | |- | ||
− | | | + | | 팔궤 || 주역 || isMentionedIn |
|- | |- | ||
− | | | + | | 김장생 || 죽림서원 || isEnshrinedIn |
|- | |- | ||
− | | | + | | 송시열 || 죽림서원 || isEnshrinedIn |
|- | |- | ||
− | | | + | | 임리정 || 김장생 || founder |
|- | |- | ||
| 송익필 || 김장생 || hasDisciple | | 송익필 || 김장생 || hasDisciple | ||
163번째 줄: | 146번째 줄: | ||
| 김장생 || 송시열 || hasDisciple | | 김장생 || 송시열 || hasDisciple | ||
|- | |- | ||
− | + | | 팔괘정 || 송시열 || founder | |
− | |||
− | |||
− | |||
− | | 송시열 | ||
− | |||
− | |||
|- | |- | ||
| 김철산 || 김계휘 || hasDescendant | | 김철산 || 김계휘 || hasDescendant | ||
175번째 줄: | 152번째 줄: | ||
| 김계휘 || 김장생 || hasSon | | 김계휘 || 김장생 || hasSon | ||
|- | |- | ||
− | | | + | | 월봉서원 || 김계휘 || founder |
|- | |- | ||
| 기대승 || 월봉서원 || isEnshrinedIn | | 기대승 || 월봉서원 || isEnshrinedIn | ||
|- | |- | ||
| 송시열 || 윤증 || hasDisciple | | 송시열 || 윤증 || hasDisciple | ||
− | |||
− | |||
− | |||
− | |||
− | |||
− | |||
|- | |- | ||
| 팔괘정 || 죽림서원 || isNear | | 팔괘정 || 죽림서원 || isNear | ||
191번째 줄: | 162번째 줄: | ||
| 임리정 || 죽림서원 || isNear | | 임리정 || 죽림서원 || isNear | ||
|- | |- | ||
− | | | + | | 송익필의_편액|| 송익필 || creator |
|- | |- | ||
− | | | + | | 송익필의_편액 || 임리정 || provenance |
|- | |- | ||
|} | |} |
2024년 9월 10일 (화) 16:43 기준 최신판
김장생과 임리정
1626년(인조4), 여산(현재 논산시 강경읍 황산리)에 세워진 황산서원은 김장생의 주도로 건립되었으며, 1663년에 죽림으로 사액되었다. 건립 당시 이이와 성혼을 배향했으며 조광조, 이황, 김장생, 송시열이 추향되었다. 죽림서원을 중심으로 양쪽 지근거리에는 김장생과 송시열이 거처하고 강학하던 장소였던 임리정과 팔괘정이 있다. 구봉 송익필은 제자 김장생이 건립한 임리정을 위하여 시를 지어 축하했다. 이이, 성혼과 함께 학문을 절차탁마했던 송익필은 ‘직(直)’의 중요함을 탐구하고 설파했으며, 이는 김장생, 송시열, 권상하, 김창협 등의 후대 유학자들에게 전수됨으로써 한국 예학의 근간이 되었다.
지식 요소 간 관계
A | B | 관계어 |
---|---|---|
팔궤정 | 팔궤 | isNamedAfter |
팔궤 | 주역 | isMentionedIn |
김장생 | 죽림서원 | isEnshrinedIn |
송시열 | 죽림서원 | isEnshrinedIn |
임리정 | 김장생 | founder |
송익필 | 김장생 | hasDisciple |
김장생 | 송시열 | hasDisciple |
팔괘정 | 송시열 | founder |
김철산 | 김계휘 | hasDescendant |
김계휘 | 김장생 | hasSon |
월봉서원 | 김계휘 | founder |
기대승 | 월봉서원 | isEnshrinedIn |
송시열 | 윤증 | hasDisciple |
팔괘정 | 죽림서원 | isNear |
임리정 | 죽림서원 | isNear |
송익필의_편액 | 송익필 | creator |
송익필의_편액 | 임리정 | provenance |
네트워크 그래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