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무선의 화약 개발, 나라를 구하다

Korea100
강혜원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8년 1월 20일 (토) 20:57 판 (최무선의 구국일념, 화약 제조)

이동: 둘러보기, 검색
Eng icon.JPG


최무선의 화약 개발, 나라를 구하다

최무선의 구국일념, 화약 제조

최무선의 화약개발 일러스트.jpg

한국에서 화약이 중요한 무기로 인식되기 시작한 것은 14세기 전반 고려 말기로 추측된다. 중국에서는 12세기에도 이미 화약을 전쟁에서 사용하고 있었다. 그러나 화약을 만드는 데 필요한 세 가지 원료, 즉 초석, 유황, 분탄 중 초석(염초 : 焰硝)의 제조법이 비밀이어서 고려에서는 정부조차도 화약을 제대로 개발하지 못하였다. 그래서 화약이 필요할 때는 중국에서 얻어다 쓰곤 했다.

고려에서 화약과 화포가 활발하게 개발된 것은 최무선(崔茂宣, 1325~1395) 이후의 일이다. 무관이었던 최무선은 당시 기승을 부리던 왜구의 노략질을 막기 위해 화약과 총을 만들기로 결심하고 연구하기 시작하였다. 그는 무역항 벽란도에 가서 중국으로부터 오는 상인들 중 초석의 제조 방법을 알고 있는 사람을 수소문했다. 중국에서 온 이원(李元)을 만난 최무선은 화약을 만들어 왜구로부터 나라를 지키겠다는 일념으로 흙에서 초석을 추출하는 방법을 열심히 배웠다. 그리고 드디어 화약을 만드는 데 성공하였다.

최무선은 화약을 이용한 무기를 연구하고 만들어낼 국가의 화약제조소 화통도감(火筒都監)을 설치하자고 고려 정부에 여러 차례 건의하였다. 덕분에 화통도감이 만들어졌고 1377년 10월부터 화약과 화약 무기에 대한 연구가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또 1378년에는 화기 발사 전문부대인 화통방사군(火㷁放射軍)이 편성되었다.

화통도감에서 만들어진, 화약을 사용한 무기는 18종에 이르렀다. 총포류나, 화포류, 불화살 등 다양한 무기가 개발된 것이다. 이때 만들어진 화기들은 실제 왜구를 물리치는 데 큰 공헌을 했다. 1380년 왜구가 금강 하구의 진포로 쳐들어왔을 때 최무선은 원수(元帥) 나세(羅世)와 함께 각종 화기로 무장한 전함 백여 척을 이끌고 나아가 왜함 오백여 척을 무찌르는 큰 승리를 거두었다.

대량생산으로 발전한 화약 기술

고려가 망하고 조선이 세워지면서 태조 이성계(李成桂)는 화기 발달에 매우 소극적이었다. 일반에게 대중화되어 새 왕조의 권력 집중에 장애물이 될 수도 있다는 우려 때문이었다. 그래서 화약은 설 명절놀이의 하나였던 불꽃놀이에만 쓰였을 정도였다.

태조와 달리 태종, 세종에 이르러는 화기 발달의 새로운 계기가 마련되었다. 태종 때인 1404년에는 화약을 주로 쓰는 부대인 화통군(火㷁軍)이 증원되었고 화약을 만드는 화약장(火藥匠)의 수도 늘어났다. 세종 때에는 서북 방향 국경을 개척하면서 연간 약 8,000근이나 되는 화약을 소비하기도 했다. 이 중 약 3,000근은 지방에서 생산하였는데, 중앙 정부에서 감독관을 파견하여 엄중히 관리하였다. 경상도, 전라도, 충청도 등 한반도 남쪽의 세 도(下三道)에서는 중앙에서 파견된 관원의 감독 아래 해안에서 먼 곳을 골라서 초석을 만들게 하였다. 이렇게 주의를 기울인 이유는 화약을 만드는 기술이 혹시 왜인에게 알려질까 우려하였기 때문이다. 그러나 화약이 늘 부족하여 화포 발사 훈련도 제한할 수밖에 없었다. 1433년부터는 불꽃놀이에 쓰는 염초량을 종전의 1,000근에서 30근으로 대폭 줄였다.

세종의 뒤를 이은 제5대 임금 문종은 화약의 필요성과 그 제조를 위한 염초자취법에 대하여 깊은 관심을 기울였다. 그래서 전국에 25개의 도회소를 설치하였는데, 이 도회소들에서는 나라의 인가를 받은 사람만이 염초를 제조할 수 있었다. 또 만들어낸 염초를 전부 국가에 바쳐 그 비밀이 왜인에게 새어나가지 않도록 하였다.

이렇게 조선 초기에 이르러 화기와 화약의 제조 기술은 발전을 거듭하고 국가적으로 대량 생산의 기틀이 마련되었다. 그러나 당시 화약의 정확한 제조 기술은 알려지지 않는다. 현재 전하는 가장 오래된 화약 제조법 관련 서적은 1635년에 쓰인 『신전자취염초방(新傳煮取焰硝方)』과 1698년에 이루어진 『신전자초방(新傳煮硝方)』이다. 『신전자취염초방』은 성근(成根)이, 『신전자초방』은 역관 김지남(金指南)이 중국에서 배워와 스스로 연구하여 완성한 화약 제조 방법을 기록한 책이다.

거북선의 주무기, 총통

임진왜란 당시 이순신(李舜臣, 1545~1598)의 해전 승리에도 화포는 큰 역할을 하였다. 이 때 사용된 화포는 총통이라고 불렀는데, 천자문에서 뜻을 가져와 천자포, 지자포, 현자포, 황자포 등으로 이름을 붙였다. 거북선의 용 머리에 화포를 설치하고, 입을 화포 구멍으로 활용했다. 이 때 포탄은 1.6km까지 날아가서 왜적의 전함들을 물리칠 수 있었다.

당시 일본의 화약 화기 기술이 뒤져 있어 일본 수군은 백병전 위주의 재래식 해전전술만을 고집했던 반면 이순신이 지휘하는 조선 수군은 원거리 총통포격 전술과 활, 화공술 등의 재래식 해전전술을 적절히 결합한 혁신된 수군이었다.

이렇듯 고려 말기부터 조선시대에 걸쳐 발전을 거듭해온 화기와 화약은 외적의 침략을 방지하고 국방을 지키는 데 커다란 역할을 하였다. 또 화약과 화기 만드는 기술은 중국 명나라에서도 높이 평가되었으며, 왜인들은 우리의 화약 병기 기술을 배우기 위하여 애썼다.

관련항목

참고문헌

  • 무기의 역사에 대해 더 알고 싶다면...
김기웅, 『무기와 화약』,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00.
이내주, 『한국 무기의 역사』, 살림, 2013.


우리 민족은 역사가 시작된 이후 오늘에 이르기까지 수많은 전쟁을 치러 왔으나, 한 번도 다른 나라를 침략한 적이 없다. 우리 민족이 치른 전쟁은 그 모두가 외래 침략자들의 침습으로부터 나라를 수호하고 민족의 평화를 유지하려는 자기 방어의 전쟁이었다. 자기 방어의 전쟁을 통하여 우리 민족은 당시로서는 매우 발전된 무기들을 만들어 냈고, 발전된 무기는 외래 침략자들과의 전쟁에서 승리를 쟁취하는 데 큰 역할을 하였다. 『무기와 화약』은 원시사회의 무기부터 조선시대 화약에 이르기까지 무기의 역사에 대해 다루고 있다.

『한국 무기의 역사』는 우리민족의 전통 무기 활과 무예부터 병서 등 우리 선조들의 국방기술 노하우를 담았다. 시간상으로는 고대부터 근대까지, 무기 유형상으로는 근력무기와 화약무기에서부터 직접적인 가해력이 없는 병서 같은 일종의 간접무기까지 잘 알려진 무기들을 선정하여 소개하고 있다.


  • 화약과 화포에 대해 더 알고 싶다면...
허선도, 『조선시대 화약병기사연구』, 일조각, 1994.
이강칠, 『한국의 화포 (지화식에서 화승식으로)』, 동재, 2004.


『조선시대 화약병기사연구』는 여말선초의 화기(火器) 전래와 조선 중기 임진왜란까지의 발달, 기타 형태를 고찰한 연구서이다.

『한국의 화포 (지화식에서 화승식으로)』는 한국의 화약무기 발달사에 대한 자료집이다. 이 책은 국방과학기술문화재 중의 화기류만을 선별하여 지정 문화재 17점과 비지정 문화재 113점을 수록하였다. 지정 문화재는 지정번호, 지정일, 소재지, 소유자, 수량, 제원, 재질, 명문, 등으로 소개하고 있으며, 비지정 문화재는 소재지, 소유자, 수량, 제원, 재질, 명문, 등으로 소개하고 있다. 또한 실물 사진을 수록하고 있으며, 그에 따른 상세한 해설도 덧붙여졌다. 책의 앞 부분에는 컬러 사진으로 된 '지정문화재 도록'이 수록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