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raft 한국의 전통 무예"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기본정보 |제목=태권도 종주국 한국의 전통 무예 |집필자=황인희 |인물/기관/단체=정조, 국제올림픽위원회, 세계태권도연맹 |장소/공간=...) |
|||
11번째 줄: | 11번째 줄: | ||
=='''원고'''== | =='''원고'''== | ||
− | + | 고대 한국의 젊은이들에게는 활을 쏘고 말을 달리고 무술을 하는 것이 중요한 교육 과목이었다. 특히 택견, 씨름, 활쏘기 등의 무예 장면은 고대 국가의 고분 벽화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고대에는 씨름 · 택견 · 활쏘기 등으로 분류되지 않은 종합 무예의 형태를 띠고 있었다. 다시 말해 무예는 전쟁 준비를 위한 훈련이나 놀이는 물론 무용의 요소까지 함께 갖추었던 것이다. | |
그러나 고려시대 후반 총포와 화약의 사용으로 무예 종목들은 민속 놀이 형태로 모습이 바뀌었다. 조선시대 임진왜란 이후 무예의 중요성을 다시 인식하게 되었고 1749년에 와서 창과 검, 곤봉 등의 십팔기무예로 군사를 훈련하였다. 정조 때인 1790년에는 말을 타고 행하는 무예 등을 더해 이십사반무예로 정비하였다. | 그러나 고려시대 후반 총포와 화약의 사용으로 무예 종목들은 민속 놀이 형태로 모습이 바뀌었다. 조선시대 임진왜란 이후 무예의 중요성을 다시 인식하게 되었고 1749년에 와서 창과 검, 곤봉 등의 십팔기무예로 군사를 훈련하였다. 정조 때인 1790년에는 말을 타고 행하는 무예 등을 더해 이십사반무예로 정비하였다. | ||
49번째 줄: | 49번째 줄: | ||
{{검토의견 | {{검토의견 | ||
|의견1=오늘날 한국 무예의 모습을 설명할 때, 태권도만 사례로 제시하였는데 여기에 무예 24기도 언급하면 좋을 것이다. | |의견1=오늘날 한국 무예의 모습을 설명할 때, 태권도만 사례로 제시하였는데 여기에 무예 24기도 언급하면 좋을 것이다. | ||
− | + | http://korean.visitkorea.or.kr/kor/bz15/where/festival/festival.jsp?cid=1805914 | |
이 원고의 출처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만 제시되어 있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에 나와 있는 내용과 차별성이 있는 집필이 필요하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의 내용을 발췌 인용하였다면 정확한 출처 표시가 필요하다. | 이 원고의 출처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만 제시되어 있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에 나와 있는 내용과 차별성이 있는 집필이 필요하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의 내용을 발췌 인용하였다면 정확한 출처 표시가 필요하다. | ||
|의견2= | |의견2= |
2017년 7월 28일 (금) 00:27 판
제목 | 태권도 종주국 한국의 전통 무예 |
---|---|
집필자 | 황인희 |
인물/기관/단체 | 정조, 국제올림픽위원회, 세계태권도연맹 |
장소/공간 | 국기원 |
사건 | 임진왜란, 갑오개혁, 서울올림픽, 바르셀로나올림픽, 시드니올림픽 |
개념용어 | 고분 벽화, 총포와 화약의 사용, 십팔기무예, 이십사반무예, 샅바, 육예(六藝),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 |
원고
고대 한국의 젊은이들에게는 활을 쏘고 말을 달리고 무술을 하는 것이 중요한 교육 과목이었다. 특히 택견, 씨름, 활쏘기 등의 무예 장면은 고대 국가의 고분 벽화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고대에는 씨름 · 택견 · 활쏘기 등으로 분류되지 않은 종합 무예의 형태를 띠고 있었다. 다시 말해 무예는 전쟁 준비를 위한 훈련이나 놀이는 물론 무용의 요소까지 함께 갖추었던 것이다.
그러나 고려시대 후반 총포와 화약의 사용으로 무예 종목들은 민속 놀이 형태로 모습이 바뀌었다. 조선시대 임진왜란 이후 무예의 중요성을 다시 인식하게 되었고 1749년에 와서 창과 검, 곤봉 등의 십팔기무예로 군사를 훈련하였다. 정조 때인 1790년에는 말을 타고 행하는 무예 등을 더해 이십사반무예로 정비하였다.
한국의 대표적인 전통 무예로는 씨름, 궁술, 택견 등을 들 수 있다.
씨름은 두 사람이 샅바나 띠 또는 바지의 허리춤을 잡고 힘과 기술을 겨루어 상대를 먼저 땅에 넘어뜨리는 것으로 승부를 결정하는 민속 놀이이자 운동 경기이다. 순수 한국의 운동 경기인 씨름은 온몸을 움직여 힘과 기술을 겨루는 운동이므로 체력 · 기술 · 투지의 세 가지 조건이 요구된다. 씨름은 전통 사회에서 경사스러운 일이 있을 때나 명절에 즐거움을 나누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또 농한기를 맞으면 고된 몸과 정신적인 긴장을 풀기 위해서도 씨름을 즐겼다. 오늘날에는 운동 경기로 발전하여 여전히 많은 사람에게 사랑받고 있다.
활쏘기는 이미 고대 이전부터 널리 민간에 장려 ‧ 보급된 무예이다. 조선시대에는 궁술이 무예 수련과 더불어 심신 수양의 하나로서 군자가 익혀야 할 육예(六藝)의 한 가지로 중시되었다. 1894년 갑오개혁 이후 급격한 근대화 및 총기류의 발전으로 활과 화살의 무기로서의 역할은 사라지고 궁술은 대중 스포츠로서 널리 보급되고 있다. 한국의 전통 활은 ‘국궁’이라 불린다. 올림픽 종목 가운데 한국 선수들이 높은 성적으로 보이는 ‘양궁’은 국궁에 대비하여 서양의 활이라는 뜻에서 붙여진 이름이다.
택견은 손과 발을 주로 사용하는 전신 운동으로, 신체를 강건하게 하고 심신 수련을 통하여 인격을 도야하며, 기술 단련으로 자신의 신체를 방어하는 호신의 무술이다. 여러 문헌에는 수박 ·수박희 등의 한자로 표기되어 있다. 주로 발로 차거나 걸어서 상대방을 쓰러뜨리는 것으로 승부를 내지만 상대방 얼굴을 차는 것으로도 이길 수 있다. 손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 민속놀이로 전승되어 왔으며 격투기임에도 상대방에게 상해를 입히지 않는 독특한 경기방법도 있다. 2011년 11월 28일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에 등재되었다.
일제강점기 이후 택견은 일본 무술들에 의해 잠시 뒷전으로 밀려났다. 특히 6. 25전쟁 이후에 만들어진 태권도가 택견의 전통을 계승했다는 주장이 나오면서 1970년대 이후에는 태권도와 택견이 동일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택견과 태권도는 역사적 · 기술적으로 직접적인 관계가 없는 별개의 것이다.
한국의 대표적 무술인 태권도는 여러 전통 무술을 계승 발전시켜 현대에 만들어진 것이다. 태권도 수련 방법은 기본 동작으로부터 품세 · 겨루기 · 단련 · 호신술 등으로 구별한다. 기본동작은 태권도 기술의 근간을 이루는 손과 발을 이용한 기술로, 주먹과 손날을 이용한 막기 · 지르기 · 찌르기 · 치기와 발을 이용한 차기 기술이 있다. 품세는 혼자서 상대를 가상하여 공격과 방어의 동작을 합리적이고 효과적으로 숙달시켜 민첩성 · 근력 · 유연성 및 중심의 이동, 그리고 호흡 조절 및 동작의 완급 등을 발전시키는 것이다.
태권도는 무예에 경기적 요소를 더해 스포츠로서 자리를 확고히 하게 되었다. 1971년 대한태권도협회에서 예의 규범을 제정하여 태권도인의 예의와 자세, 도장에서나 일상 생활에서 지켜야 할 사항, 타인과 대화를 나누거나 방문하였을 때의 복장과 용모 · 의식 등에 관하여 규정하였다. 1972년에는 태권도 중앙도장 겸 시합장으로서 ‘국기원’을 개원하였다.
1980년 7월 17일 모스크바에서 열린 국제올림픽위원회 총회에서는 태권도를 올림픽 경기 종목으로 채택하여 1988년 서울올림픽과 1992년 바르셀로나올림픽에서 시범 경기 종목으로 채택되었고 2000년 시드니올림픽 정식 경기 종목으로 채택되었다. 이에 따라 태권도는 세계의 스포츠로서 확고한 위치를 굳히게 되었다.
한국은 태권도의 종주국이다. 세계태권도연맹의 본부는 서울에 있으며, 현재 전 세계의 태권도 도장에는 태극기를 전면에 게양하여 예의를 표시하도록 하고 있다. 또 수련생에게는 한국어 구령으로 지도함으로써 종주국으로서의 한국의 얼을 세계에 떨치고 있다.
출처 및 관련자료
출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관련자료
- 『삼국유사』
- 『고려사』
- 『세종실록』
- 『선조실록』
- 『증보문헌비고』
- 『무예도보통지(武藝圖譜通志)』
- 『대전회통』
연구원 검토
검토의견 | |
• 오늘날 한국 무예의 모습을 설명할 때, 태권도만 사례로 제시하였는데 여기에 무예 24기도 언급하면 좋을 것이다.
http://korean.visitkorea.or.kr/kor/bz15/where/festival/festival.jsp?cid=1805914 이 원고의 출처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만 제시되어 있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에 나와 있는 내용과 차별성이 있는 집필이 필요하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의 내용을 발췌 인용하였다면 정확한 출처 표시가 필요하다. |
|
• - 크게 보완했으면 하는 내용은 없습니다. 다만 원고에 나오는 고분벽화 및 현대 스포츠 관련 내용을 사진자료로 제시하였으면 합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