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2024JC:조선고적조사 기초스토리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스토리라인: 조선고적조사 기초스토리


Storyline Narrative

"S2024JC: 조선고적조사 기초스토리"는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가 한반도를 대상으로 시행한 고적조사 사업을 중심으로 관련 인물, 문화유산, 조사활동에 대한 이야기를 다루고자 합니다.

첫 번째 에피소드, "세키노다다시와 고적조사"는 세키노 다다시라는 일본인 연구자를 중심으로 고적조사를 조명합니다. 세키노 다다시는 '넓고 관찰하라'는 명령을 받고 1902년 한국건축조사를 수행하였습니다. 세키노 다다시는 이후 시행되었던 1909년, 1916년 고적조사에서도 조사팀의 중심적인 역할을 하였습니다.

두 번째 에피소드, "국가유산"은 일제의 식민 정책 아래에서 시행된 국가유산 조사활동을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마지막 에피소드, "조선고적도보"는 일제강점기에 시행되었던 고적조사의 기록물 가운데 하나인 조선고적도보를 통하여 당시 조사되었던 문화유산의 모습을 보여줍니다.

'고적조사'라는 주제 자체가 딱딱하게 다가올 수 있습니다. 실제 데이터들도 사실관계에 기초한 자료 중심이기에 쉬운 이야기는 아닙니다. 그러나 해당 스토리는 불교문화유산의 기초자료로서 인문학 분야 전공자에 국한되지 않고 불특정 다수에게 한국 불교문화유산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와 가치를 각인시킬 수 있는 이야기가 될 것기에 해당 소재를 선정하게 되었습니다.

에피소드 1: "세키노다다시와 고적조사"



Episode 1 Korean Narrative:

S2024JC-A:세키노 다다시와 고적조사. 옛날, 조선의 역사가 깊은 시기, 고적을 조사하는 한 인물이 있었습니다. 그의 이름은 세키노 다다시(關野貞, 1868~1935)였습니다. 그는 일제강점기에 조선을 방문하여 많은 유적과 고적을 조사했습니다.

1909년, 세키노 다다시는 "1909년 고적조사 강연회"라는 중요한 이벤트에 참여했습니다. 이 강연회는 한국건축조사의 일환으로 기록되었으며, 조선의 고건축과 문화유산을 조사하는 데 중점을 두었습니다.

세키노 다다시는 조선총독부의 일원으로 활동하며 조선고적조사(1909~1915)에 적극적으로 참여했습니다. 이 조사는 일제의 식민통치의 일환으로, 조선의 고적과 문화를 체계적으로 조사하는 프로젝트였습니다.

조선고적조사는 이전에 있었던 한국건축조사(1902~1902)의 연장선상에 있었습니다.

한국건축조사는 조선고적조사의 전신으로, 역시 일제의 식민통치의 일부였습니다. 세키노 다다시는 이 두 프로젝트 모두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그의 노력 덕분에 많은 조선의 고건축과 유적이 기록되고 보존될 수 있었습니다.

세키노 다다시와 그의 연구팀은 조선의 유적을 조사하며 많은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했습니다. 이러한 작업들은 일제의 식민통치 하에서 진행되었지만, 오늘날 우리가 조선의 역사와 문화를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되고 있습니다.

이처럼 세키노 다다시와 그의 연구는 조선의 고적을 체계적으로 조사하고 기록하는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비록 그 배경에는 식민통치라는 어두운 역사가 있지만, 그의 연구는 오늘날에도 중요한 가치를 지니고 있습니다.

에피소드 2: 국가유산



Episode 2 Korean Narrative:

S2024JC-B: 국가유산. 1910년대의 조선 반도는 일제의 식민통치 하에 있었다. 이 시기에 여러 연구 프로젝트가 진행되었고, 이는 후세에 중요한 국가유산으로 기록되었다.

조선고적조사(1909~1915)는 이러한 연구 프로젝트 중 하나였다. 이 조사는 일제의 식민통치의 일환으로 진행되었으며, 조선 반도의 고고학적 유산을 체계적으로 조사하고 기록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조선고적조사는 이전에 진행된 한국건축조사(1902)와 밀접한 관련이 있었으며, 한국건축조사 이후에 이어진 프로젝트였다.

조선고적조사 이후, 일제는 고적조사 5개년 사업(1916~1920)을 시작했다. 이 프로젝트 역시 일제의 식민통치 정책의 일환으로 진행되었으며, 조선고적조사의 다음 단계로서 수행되었다. 이로 인해 고적조사 5개년 사업은 조선고적조사와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 모든 연구들은 궁극적으로 국가유산의 중요한 부분으로 기록되었다. 국가유산은 이러한 연구들에 의해 수집된 자료들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조선 반도의 역사와 문화를 후세에 전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일제의 식민통치 아래에서 진행된 이들 연구 프로젝트는 당시의 정치적 상황과 깊은 연관이 있다. 이는 단순히 학술적인 연구가 아니라, 식민 통치의 한 부분으로서 수행된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들 연구가 남긴 자료들은 오늘날에도 중요한 역사적 자료로서 가치가 있다.

이처럼 조선고적조사, 고적조사 5개년 사업, 한국건축조사는 모두 일제의 식민통치 하에서 진행된 프로젝트이며, 각각이 국가유산으로 기록되어 있다. 이들은 순차적으로 이어지며 당시의 역사적 배경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

에피소드 3: 조선고적도보



Episode 3 Korean Narrative:

S2024JC: 옛날 옛적, 조선의 아름다운 문화유산을 담은 책이 있었다. 그 책의 이름은 "조선고적도보제3집"이었다. 이 책은 조선의 다양한 고적들을 기록하고 보존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경주 분황사는 이 책에 기록된 중요한 고적 중 하나였다. 경주 분황사는 그 시대의 찬란한 역사를 간직한 사찰로, "조선고적도보제3집"에 자세하게 기록되어 있었다. 책 속에서는 분황사의 아름다운 건축과 역사적 의미가 잘 나타나 있었다.

하지만 "조선고적도보제3집"이 단순히 고적을 기록한 책이 아니었다. 이 책은 "조선고적조사"라는 연구의 결과물이었다. 1909년부터 1915년까지 진행된 이 조사는 조선의 다양한 고적들을 체계적으로 조사하고 기록하는 작업이었다.

그러나 이 모든 것은 단순한 연구 이상의 의미를 갖고 있었다. "조선고적조사"는 일제의 식민통치 시기에 이루어진 작업이었다. 일제는 조선을 식민지화하면서 조선의 문화유산을 조사하고 기록하는 작업을 진행했는데, 이는 단순히 문화유산을 보존하는 목적 외에도 식민통치를 정당화하려는 의도가 담겨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조선고적도보제3집"은 조선의 역사와 문화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로 남아 있다. 비록 그 배경에는 어두운 역사가 존재하지만, 이 책을 통해 우리는 조선의 찬란한 문화를 엿볼 수 있다.

이렇게, "조선고적도보제3집"과 경주 분황사는 과거와 현재를 이어주는 중요한 연결 고리가 되었다. 그리고 그 안에는 조선의 역사와 문화, 그리고 일제 식민통치의 복잡한 이야기가 담겨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