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한산성(영화, 2017)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남한산성
남한산성, 나무위키.
작품명(국문) 남한산성
작품명(영문) The Fortress
제작연도 2017
국가 한국
감독 황동혁
각본 황동혁
원작 김훈, 남한산성
개봉일 2017.10.03
등급 15세 관람가
장르 드라마
러닝타임 139분 (2시간 19분)



시놉시스

1636년 인조 14년 병자호란.

청의 대군이 공격해오자 임금과 조정은 적을 피해 남한산성으로 숨어든다.

추위와 굶주림, 절대적인 군사적 열세 속 청군에 완전히 포위된 상황, 대신들의 의견 또한 첨예하게 맞선다.

순간의 치욕을 견디고 나라와 백성을 지켜야 한다는 이조판서 ‘최명길(이병헌)’과 청의 치욕스런 공격에 끝까지 맞서 싸워 대의를 지켜야 한다는 예조판서 ‘김상헌(김윤석)’. 그 사이에서 ‘인조(박해일)’의 번민은 깊어지고 청의 무리한 요구와 압박은 더욱 거세지는데...

나아갈 곳도 물러설 곳도 없는 고립무원의 남한산성,

나라의 운명이 그곳에 갇혔다! [1]


등장인물

주연

조연


포스터/스틸컷

티저포스터

동영상

영화 관련 사전지식 영화 전체 줄거리 요약 영상

명대사

Quote-left.png 죽음은 견딜 수 없고 치욕은 견딜 수 있사옵니다. Quote-right.png
- 최명길



Quote-left.png 오랑캐에게 무릎을 꿇고 삶을 구걸하느니 사직을 위해 죽는 것이 신의 뜻이옵니다. Quote-right.png
- 김상헌



Quote-left.png 청군이 성을 둘러싸고 있는데 어찌 밖이 아니라 안에서 서로를 죽이라 하는가! Quote-right.png
- 인조



수상이력

2018 18회 디렉터스 컷 어워즈(올해의 특별언급)

19회 부산영화평론가협회상(심사위원특별상)

55회 대종상 영화제(촬영상, 조명상, 음악상)

23회 춘사국제영화제(감독상, 기술상)

54회 백상예술대상(영화 작품상)

12회 아시아 필름 어워즈(최우수 촬영상)

2017

38회 청룡영화상(각본상)

37회 한국영화평론가협회상(최우수 작품상, 감독상, 촬영상, 음악상, 영평10선)

촬영지 정보

수어장대 수어장대 방문 블로그
남한산성 세트장 세트장 방문 블로그, 현재는 노후화로 인해 폐쇄

역사적 배경

  • 병자호란 당시 김자점이 북쪽에만 머물러 있었다는 것이 일반적인 인식이지만, 실제 김자점은 12월 25일 토산에서 도르곤의 기습을 받고 패전한 뒤 12월 30일에는 남한산성에서 멀지 않은 미원(지금의 경기도 가평군 설악면)에서 평안도 근왕병을 수습하고 경기+황해+함경+강원 4도의 근왕병을 집결시켜 1만 7천에 달하는 병력을 모아두고 있었다. 따라서 '도원수 김자점이 남한산성 근처까지 병력을 끌고 왔다'는 내용 자체를 오류로 보기는 어렵다. 물론 이후 한 달 동안(그러니까 전쟁이 끝날 때까지) 미원에서 전혀 움직이지 않아, 이듬해 1월 30일 인조가 삼전도의 굴욕을 맞는 데 엄청난 기여를 한 것은 사실이다.

관련 영상, 21분부터.

평점과 한줄평

작성자 원채연
별점 4.0/5.0
한줄평 나라가 위급한 상황에서도 당파싸움이 끊이지 않는 모습이 씁쓸했습니다.

모든 시대에서 비슷한 상황이 반복되는 것 같습니다.

주석, 참고자료

  1. 이동 출처 : 한국영상자료원
한국 영상 자료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