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화를 위한 한국학 자료 특강 II

DH 교육용 위키
Tutor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9년 3월 6일 (수) 05:15 판

이동: 둘러보기, 검색

강좌 개요

이 강의는 데이터 시대의 교육 연구 환경에서 운영할 수 있는 '디지털 기반의 한국 문화 교육 커리큘럼' 개발을 목표로, 디지털 인문학, 고전번역, 교육학, 경제학 분야의 지식과 경험을 공유/융합하는 하제적 연구 수업이다.
강화도 지역의 역사와 문화를 탐구하는 교육 주제를 정하고, 관련 자료를 디지털 스토리텔링의 방법으로 수집/분석/정리하면서, 디지털 원어민 세대를 위한 한국문화 교육의 방법론과 교육 과정을 개발한다.
학기중 수업을 통해 개발한 교육 모델은 하계 방학 기간중에 강화도 지역의 고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디지털 인문학 교육 수업에 적용할 것이다.

강의 일정

차수 강의 주제 교재
1 인문-기술 (인문학 + 코딩 기술) 융합 교육의 목표와 기대 효과
2 ‘디지털 원어민’을 위한 ‘디지털 인문학 교실’: 교육 환경의 구현
3 교육 연구 주제 탐색: 강화의 역사와 문화유산 (1): 고인돌, 강화의 종교문화유산
4 교육 연구 주제 탐색: 강화의 역사와 문화유산 (2): 고려 강화 유산과 이규보의 문학
5 교육 연구 주제 탐색: 강화의 역사와 문화유산 (3): 해안 방어시설 유적과 강화의 근대 역사
6 교육 연구 주제 탐색: 강화의 역사와 문화유산 (4): 강화의 전통 산업과 근대 산업 발전
7 디지털 교육 콘텐츠 편찬 실습(1): 주제 분야의 데이터 설계 - 지식 온톨로지 설계 방법
8 디지털 교육 콘텐츠 편찬 실습(2): 위키 기반의 협업 환경 구축
9 디지털 교육 콘텐츠 편찬 실습(3): 전자지도(Google, Naver) 응용 방법
10 디지털 교육 콘텐츠 편찬 실습(4): 데이터의 시각화 - 네트워크 그래프 구현 방법
11 디지털 원어민을 위한 인문-기술 융합 교육 프로그램 개발(1): 과업 목표 설정 및 팀 구성
12 디지털 원어민을 위한 인문-기술 융합 교육 프로그램 개발(2): 주제 탐구 및 온톨로지 설계
13 디지털 원어민을 위한 인문-기술 융합 교육 프로그램 개발(3): 콘텐츠 제작을 통한 심화학습
14 디지털 원어민을 위한 인문-기술 융합 교육 프로그램 개발(4): 수행성과 평가 방법
15 교육 프로그램 개발 결과 보고 및 평가

수강생

클래스 프로젝트

한국학중앙연구원 대학원 2018 봄 학술답사 Wiki 문서 편찬

답사 지역 문화유산 해설 XML 데이터

일자 답사 지역 / 위키 문서 XML 문서 기여자
4월 17일 공주 공산성(公州公山城) 공주 공산성 작성자:나랑토야
4월 17일 논산 관촉사(論山灌燭寺) 논산관촉사 작성자:양승진
4월 17일 김제 금산사 김제 금산사 작성자:김광우
4월 17일 김제 금산교회 김제 금산교회 작성자:조선애
4월 18일 고창 읍성 고창 읍성 작성자:조선애
4월 18일 판소리 박물관 판소리박물관 작성자:김광우
4월 18일 신재효 고택 신재효 고택 작성자:김광우
4월 18일 정읍 고부향교 정읍 고부향교 작성자:전인혁
4월 18일 황토현 전적지 황토현전적지 작성자:양승진
4월 18일 무성서원 무성서원 작성자:전인혁
4월 19일 부안 내소사 부안 내소사 작성자:나랑토야
4월 19일 곰소염전 곰소염전 작성자:조선애
4월 19일 뜬다리부두 뜬다리부두 작성자:최정훈
4월 19일 군산세관 군산세관 작성자:최정훈
4월 19일 근대역사박물관 근대역사박물관 작성자:양승진
4월 19일 근대건축관 구조선은행군산지점 작성자:최정훈
추가자료 초원사진관 초원사진관 작성자:최정훈
추가자료 동국사 동국사 작성자:최정훈
추가자료 군산 신흥동 일본식가옥(히로쓰가옥) 군산 신흥동 일본식가옥 작성자:최정훈

읽을거리

Basic Technology References

디지털 교실 환경 설정

온톨로지 (Ontology)

위키 (Wiki)

데이터 시각화 (Data Visualization)

전자지도 (Digital Map)

가상 전시관 (Virtual Reality Exhibition)

참고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