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세라 연습
DH 교육용 위키
목차
기획의도
- 웹툰은 이제 단순한 만화 콘텐츠를 넘어 다양한 미디어로 확장되는 하나의 강력한 지식재산권(IP)으로 기능하고 있다. 특히, 네이버 웹툰은 한국을 대표하는 디지털 플랫폼으로서 자사의 오리지널 IP를 활용하여 글로벌 시장에서 드라마, 영화, 애니메이션, 게임 등으로 확장시키는 전략을 적극적으로 펼치고 있다.
- 본 콘텐츠는 네이버 웹툰이 구축한 IP 확장 경로를 디지털 큐레이션 방식으로 분석하고, 이를 시맨틱 네트워크와 온톨로지 구조를 통해 가시화하고자 한다.
- 이를 통해 콘텐츠 간의 관계성(작가-작품-플랫폼-파생 콘텐츠-국가 등)을 데이터 기반으로 조망하고, K-콘텐츠 생태계의 글로벌 전략을 심층적으로 탐색하고자 한다.
내용
1. 네이버 웹툰의 IP 비즈니스 전략
네이버 웹툰은 단순 연재 플랫폼을 넘어, 자체 제작 콘텐츠의 판권을 소유하고 이를 멀티미디어 콘텐츠로 확장하는 ‘스토리 IP 비즈니스 모델’을 추구하고 있다.
이는 작가의 창작물 → 웹툰 플랫폼 → 영상화/게임화 → 글로벌 유통 플랫폼(넷플릭스 등) → 2차 창작 및 굿즈 확장으로 이어지는 수직적 통합 구조로 구현된다.
특히 ‘왓패드 인수’, ‘왓패드 웹툰 스튜디오 설립’, ‘애니메이션 스튜디오 설립’ 등은 단순한 기술 확장을 넘어 글로벌 시장을 위한 생산 기반 확보 전략이다.
2. 주요 IP 확장 사례
- < 지금 우리 학교는 >
- 장이 작가의 웹툰을 원작으로 한 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 - 웹툰 → 영상 콘텐츠로 확장 → 190개국 이상에서 동시 공개 - 글로벌 사용자에게 ‘K-좀비’ 콘텐츠로 인식
- < 스위트홈 >
- 김칸비, 황영찬 작가의 좀비+괴물+서스펜스 융합 장르 웹툰 - 시즌제 드라마로 영상화되며 굿즈, OST, 게임으로까지 확장 - ‘K-몬스터 유니버스’로 주목받음
- < 나 혼자만 레벨업 >
- 판타지 장르 대표작. 웹툰 → 애니메이션(2024) → 모바일 게임(2024)으로 IP 확장 - 일본, 북미 유저를 대상으로 맞춤형 현지화 마케팅 시행
3. 글로벌 확장을 위한 전략
- 현지 창작 및 로컬 오리지널:
네이버는 북미, 동남아, 일본 등에서 현지 작가를 육성하고 자국 언어로 웹툰을 제작한다. 이는 단순한 번역에서 벗어나 문화적 맥락에 맞는 원천 콘텐츠를 창출함을 의미한다.
- 왓패드 인수와 북미 진출:
왓패드를 통해 북미 10~20대 여성층 중심의 오리지널 콘텐츠 풀을 확보. 이와 결합한 웹툰 콘텐츠는 '왓패드 웹툰 스튜디오' 를 통해 영상화되고, 글로벌 유통망(넷플릭스, 할리우드)으로 연결된다.
- 콘텐츠 유통망 확장:
네이버는 콘텐츠의 최종 소비를 넷플릭스, 디즈니+, 아마존 프라임 같은 글로벌 플랫폼을 통해 진행하며, 이를 통해 웹툰이 콘텐츠의 출발점이자 산업 구조의 상층에 있는 위치임을 보여준다.
시맨틱 스토리텔링
온톨로지
클래스
Class | Definition | Remarks |
---|---|---|
웹툰작품 | 네이버웹툰 플랫폼에서 연재된 원작 콘텐츠 | 콘텐츠 IP의 출발점 |
미디어콘텐츠 | 웹툰 원작을 기반으로 제작된 드라마, 애니메이션, 게임 등 2차 콘텐츠 | 미디어믹스 확장을 보여주는 핵심 요소 |
제작사 | 미디어 콘텐츠의 제작 주체(스튜디오, 개발사, 감독 ) | 예: 스튜디오드래곤, A-1 Pictures 등 |
플랫폼 | 콘텐츠가 서비스되는 온라인 스트리밍/퍼블리싱 플랫폼 | 예: 넷플릭스, 크런치롤, 라인웹툰, 왓패드 등 |
국가 | 콘텐츠가 유통되거나 소비된 주요 지역 | 글로벌 확장 경로 파악용 |
언어권/번역본 | 콘텐츠가 번역되어 서비스된 언어 또는 문화권 | 로컬라이징 전략 분석 가능 |
수상/성과 | 콘텐츠가 획득한 수상 이력, 흥행 기록, 순위 등의 지표 | 산업적 영향력 및 글로벌 반응을 보여주는 지표 |
2차 창작물 | 원작 IP 기반으로 생성된 팬 콘텐츠, 굿즈, SNS 밈 등 | 팬덤 동력 및 콘텐츠 생태계 확장 요소 |
릴레이션
Relation | Domain | Range | Definition |
---|---|---|---|
adaptedTo | 웹툰작품 | 미디어콘텐츠 | 웹툰이 애니, 드라마, 게임 등으로 각색된 관계 |
producedBy | 미디어콘텐츠 | 제작사 | 미디어콘텐츠의 제작 주체와 연결 |
streamedOn | 미디어콘텐츠 | 플랫폼 | 콘텐츠가 제공되는 유통/스트리밍 플랫폼 |
distributedIn | 미디어콘텐츠 | 국가 | 콘텐츠가 진출한 국가 또는 지역 정보 |
translatedTo | 웹툰작품/미디어콘텐츠 | 언어권/번역본 | 번역되어 서비스된 언어권과 문화권 |
receivedAward | 미디어콘텐츠 | 수상/성과 | 해당 콘텐츠가 수상하거나 흥행한 지표와 연결 |
inspiredFanwork | 웹툰작품 | 2차 창작물 | 해당 웹툰에서 파생된 팬 콘텐츠 또는 굿즈와의 관계 |
ownedBy | 플랫폼 | 플랫폼 | 인수/소유 관계 (예: 왓패드 → 네이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