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U2025 콘텐츠 제작노트: 넷플릭스 오리지널
DH 교육용 위키
목차
콘텐츠제목
대중이 선택한 넷플릭스 오리지널: "우리"를 담다
기획의도
최근 "폭싹 속았수다"로 엄청난 화제를 이끈 넷플릭스는 그동안 수많은 넷플릭스 오리지널 콘텐츠를 제작해왔으며, 대중들은 그 콘텐츠를 선택하고 즐겼다. 스위트홈, 오징어 게임, 더 글로리처럼 넷플릭스를 대표하는 히트작들은 직접 보지 않았더라도 한 번쯤은 들어봤을 정도로 대중적인 인지도를 자랑한다.
그렇다면 우리는 왜 이토록 넷플릭스 오리지널 콘텐츠에 열광하는 걸까? 그 이유는 사회적 문제와 그 피해자들의 이야기를 흥미롭게 풀어내며 사람들의 공감과 관심을 이끌어냈기 때문이다. 이러한 공감은 곧 대중성으로 이어졌고, 작품들은 전 세계적인 반향을 일으켰다.
이에 본 위키에서는 스위트홈, 오징어 게임, 더 글로리 세 작품을 중심으로 넷플릭스 오리지널 콘텐츠가 어떻게 사회적 이슈를 이야기하고, 대중과 연결되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큐레이션 주제
넷플릭스 오리지널 콘텐츠가 어떻게 사회적 이슈를 이야기하고, 대중과 연결되는가
큐레이션 범위
넷플릭스 오리지널 콘텐츠 中 스위트홈, 오징어 게임, 더 글로리
작품 선정 이유
- 사회의 어두운 면을 조명하여 사회적 문제를 적나라하게 보여줌
- 한국의 정서를 녹여내 공감하기 좋음
- 오징어게임-넷플릭스 역대 시청 순위 1위/ 스위트홈-한국, 미국 넷플릭스 Top10 1위/ 더 글로리-넷플릭스 42개국 1위 => 대중성이 증명됨
온톨로지
클래스
Class | Remarks |
---|---|
작품 | 작품 이름 |
사회적 이슈 | 작품이 담고 있는 사회적 이슈 |
캐릭터 | 작품에 등장하는 캐릭터 |
대사 | 사회적 이슈를 담고 있는 작품 내 대사 |
장면 | 사회적 이슈를 담고 있는 장면 |
대중반응 | 대중이 해당 장면과 대사를 감상하고 느낀 감정 |
릴레이션
Relation | Domain | Range | Definition |
---|---|---|---|
highlights | 작품 | 사회적이슈 | A는 B를 조명한다 |
isCharacterOf | 캐릭터 | 작품 | A는 B의 등장인물이다 |
isLineOf | 대사 | 작품 | A는 B의 대사이다 |
isSceneOf | 장면 | 작품 | A는 B의 장면이다 |
evokes | 대사,장면,캐릭터 | 대중반응 | A는 대중에게 B감정을 이끌어냈다 |
isVictimOf | 캐릭터 | 사회적이슈 | A는 B의 피해자이다 |
leads | 캐릭터 | 사회적이슈 | A는 B를 주도했다 |
addresses | 대사,장면 | 사회적이슈 | A는 B를 다룬다 |
isDirectedAt | 대중반응 | 사회적이슈, 캐릭터 | A감정은 B를 향한다 |
isSpeakerOf | 캐릭터 | 대사 | A는 B의 발화자이다 |
isListenerOf | 캐릭터 | 대사 | A는 B의 청자이다 |
appearsIn | 캐릭터 | 장면 | A는 B에 등장한다 |
고민 | 작품 | 대중반응 | 고민 |
belongsTo | 대사 | 장면 | A는 B에 속한다 |
isFellowOf | 캐릭터 | 캐릭터 | A는 B의 친구/동료이다 |
isRivalOf | 캐릭터 | 캐릭터 | A는 B의 경쟁자/숙적이다 |
isPartnerOf | 캐릭터 | 캐릭터 | A는 B의 연인이다 |
isSupporterOf | 캐릭터 | 캐릭터 | A는 B의 협력자이다 |
hasWife | 캐릭터 | 캐릭터 | A의 아내는 B이다 |
hasDaughter | 캐릭터 | 캐릭터 | A의 딸은 B이다 |
relatedTo | ANY | ANY | A는 B와 연관이 있다 |
클래스별 주요 노드
작품
- 더글로리
- 스위트홈
- 오징어게임
사회적이슈
- 더글로리
- 학교폭력
- 스위트홈
- 고립과 소외감
- 개인주의
- 인간의 이기적인 면모
- 오징어게임
- 자본주의 사회
- 노동 착취와 생존 경쟁
캐릭터
- 더글로리
- 문동은
- 박연진
- 주여정
- 하도영
- 하예솔
- 형사
- 스위트홈
- 차현수
- 서이경
- 이은혁
- 경비원
- 남상원
- 김석현
- 최윤재
- 한두식
- 오징어게임
- 성기훈
- 조상우
- 오일남
- 강새벽
- 프론트맨
- 오영일
- 조현주
대사
- 더글로리
- "어떤 증오는 그리움을 닮아서 멈출 수가 없거든."
- "너의 아주 오래된 소문이 될 거거든, 연진아."
- "남의 고통에 앞장서던 그 발과 나란히 걸은 모든 발. 남의 불행에 크게 웃던 그 입과 입 맞춘 모든 입. 비릿하던 그 눈과 다정히 눈 맞춘 모든 눈. 조롱하고 망가뜨리던 그 손과 손잡은 모든 손. 그리고 그 모든 순간에 기뻐하던 너의 영혼."
- 피해자가 잃어버린 것 중에 되찾을 수 있는 게 몇 개나 된다고 생각하세요? 그 사람은 그저 지금보다 조금 덜 불행해지려는 것뿐이거든요.”
- "네 들어야죠. 18년이나 늦었지만"
- 스위트홈
- "8월 25일, 난 원래 오늘 죽으려고 했다. 그때 난 무엇을 잘못한걸까? 그 때 무심코 손을 내밀지 않았더라면 인생이 조금은 달라졌을까? 아버지가 미웠다. 어머니도 미웠다. 동생도 미웠다. 아버지가 학교를 찾아온 이후 괴롭힘은 멈췄지만 난 더 이상 예전의 나로 살 수 없었다. 그게 제일 화가 났다. 그 날 이후 아버지는 회사에서 짤렸다. 나는 좀 더 괜찮은 사람이 되고 싶었는데. 난 아무 것도 할 수 없었다, 죽을 수 밖에. 하지만 오늘은 살기 위해 이 곳을 나간다.”
- 오징어게임
- "사람들은 말이야… 밖에서도 저기서처럼 살고 있어. 게임이니까 다들 공정하다고 생각하겠지. 최소한 여기선 기회라도 같잖아."
- "재미있잖아. 너무 지루했거든. 세상은 재미없는 게 문제야."
장면
- 더글로리
- 1화 복수를 위해 연진의 딸 예솔을 찾아간 동은
- 3화 동문 시상식에서 만난 동은과 가해자 무리
- 4화 과거 문동은이 당한 학교폭력을 회상
- 13화 여정과 도영이 바둑 두는 장면
- 16화 경찰서에서 마주한 형사와 동은
- 스위트홈
- 1화, 8화 그린홈 주민들의 지속적인 멸시를 당한 경비원이 아파트 주민들을 해치려고 하는 괴물이 된 장면
- 1화, 2화, 4화 식량을 나누지 않고 자신의 이익만 생각하며 남탓만 하는 김석현
- 2화 차현수가 어두운 과거사로 인해 죽고 싶다는 욕망이 커져서 괴물이 되는 장면
- 4화, 5화 사회복지사라는 직업으로 위장하고 수많은 아동들을 납치하고 살해한 후 작중 다른 캐릭터에게 들키자 죽고 싶지 않아서 차현수에게 괴물이 되는 법을 알려달라고 한 최윤재
- 5화 이은혁이 위험한 일에 차현수를 도구처럼 사용하는 장면
- 6화 남편을 찾기 위해 군부대에 차현수의 존재를 알리고 풀려난 서이경
- 오징어게임
- 시즌 1 6화 게임을 시작하기 전 짝을 정하는 시간에 조상우가 성기훈이 아닌 압둘과 짝이 되면서 압둘에게 말하는 장면
- 시즌 1 8화 VIP들이 등장해서 자기들끼리 술마시면서 이야기하는 장면
- 시즌 1 마지막회: 누워있는 오일남을 찾아온 성기훈이 왜 그런 짓을 했냐고 묻는 질문에 창밖을 바라보며 말하는 장면
- 시즌 2 중간중간 각자 참여자들이 이 게임을 참여하게 된 이유를 말하는 장면
- 시즌 2 3화 기훈이 다시 게임에 참가해 사람들을 선동하여 게임을 그만두고자 하지만 돈이 필요한 사람들이 기어코 게임을 강행하는 장면
대중반응
- 연민
- 정의 실현 욕구
- 공감
- 죄책감
- 통쾌함
- 분노
- 트라우마
- 두려움
- 슬픔
주요 노드가 포함된 네트워크 그래프
참고자료
- ↑ 이번 주 넷플릭스 추천작 - <스위트홈> 시즌 1, 2020. 12. 21, 강민경, bruchstory
- ↑ 넷플릭스, '오징어 게임' 시즌2·3 동시 제작설에 "시즌2 준비 매진 중", 2023. 05. 16, 최지예, 텐아시아
- ↑ '더글로리' 포스터 의미심장 문구… 빌런들의 최후 '스포'였다, 2023. 03. 13, 이가영, 조선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