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유산 디지털 큐레이션 기획: 고려시대 공예와 문화

DH 교육용 위키
김화평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5년 5월 6일 (화) 02:00 판

이동: 둘러보기, 검색

문화유산 디지털 큐레이션 기획서

기획의도

『선화봉사고려도경 宣和奉使高麗圖經』 초판본 初版本, 송(1167년), ⓒ 대만고궁박물원

본 프로젝트는 조선시대와 달리 역사적 자료가 부족한 고려시대 연구에 새로운 시각을 제공하고자 기획되었다. 중국 사신 서긍의 1개월의 개경 견문기인 《선화봉사고려도경》은 지엽적이고 단편적인 자료로 볼 수 있지만, 당시 고려 생활과 문화, 민속, 기명 등 포괄적 기록을 남김으로 고려시대의 새로운 시각과 자료를 제공해 고려 공예 연구에 귀중한 문헌 자료로 활용되고 있음에 의의가 있다.[1] 《고려도경》은 도(圖), 그림 부분이 없어 불완전한 사료로 여겨질 수 있지만, 오히려 남아있는 경(經)의 의미를 더욱 깊이 탐구하고 파악할 수 있는 무한한 연구 가치를 지닌다. 고려시대는 정교한 나전칠기, 상감청자, 화려한 금속기물로 대표되는 찬란한 공예 문화의 절정기였으며, 이는 기존 전통을 바탕으로 독자적인 고려만의 아름다움을 발전시킨 결과로 볼 수 있다. 이를 기반으로 《고려도경》이라는 1차 사료를 중심으로 고려시대 공예품의 종류, 제작 기술, 용도, 문화적 의미 등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나아가 이들 간의 관계를 네트워크 그래프로 시각화하여 제시함으로써 고려 공예 연구에 보탬이 되고자 한다.

시맨틱 데이터 구축 계획

  1. 데이터 수집
    • 문헌 자료: 고려시대사료DB의 『고려도경』
    • 유물 자료: e뮤지엄 등 온라인 DB 플랫폼
    • 전문 연구 자료: <고려도경 숨은 그림 찾기>(국립문화재연구소, 2019) 및 관련 논문
  2. 한국의 문화 및 역사 정보에 특화된 데이터 모델인 EKC(Encyves of Korean Cultural)를 중심으로 CIDOC-CRM, EDM, DC 의 클래스 및 관계어를 활용
  3. 기획서 발표 후 데이터 모델 고도화 작업 진행
    • 공통 스키마, 클래스 별 특별 속성, 관계어 카테고리 분류

온톨로지

Class

Class Definition Remarks
Actor 인물 역사 인물 및 단체

Relation

Relation Domain Range Definition

네트워크 그래프


참고자료

국립문화유산연구원, ⌜고려도경, 숨은 그림 찾기⌟, 2019
박지영, ⌜공교(工巧)한 고려 기명(器皿)과 『고려도경(高麗圖經)』⌟, 해양실크로드 국제학술대회 발표3, 2023
신 숙, ⌜고려시대 ‘찬란한’ 금속공예: 보스턴미술관 소장 <은제도금 주자와 승반>⌟, 『미술사학연구』, 302권, pp.125-145, 2019
최응천, ⌜『고려도경』에 보이는 고려시대 공예의 양상과 특징⌟, 『한국중세사연구』, 55호, pp.141-174, 2018

주석

  1. 최응천,⌜『고려도경』에 보이는 고려시대 공예의 양상과 특징⌟, 『한국중세사연구』, 55호, pp.141-174, 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