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유산 디지털 큐레이션 기획: 고려시대 공예와 문화

DH 교육용 위키
김화평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5년 4월 23일 (수) 17:10 판

이동: 둘러보기, 검색

문화유산 디지털 큐레이션 기획서

기획의도

개요

2021년 문화재청(현 국가유산청)의 '2030 디지털 대전환'[1]이 발표된 후 디지털 헤리티지의 보존, 관리, 활용을 위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데이터들의 표준화로 디지털 자원의 체계가 갖춰 나가고 있다. 디지털로 전환된 방대한 양의 데이터들은 단층적인 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며 다층적 맥락을 재구성할 필요가 있으며, 유산의 의미적 관계와 맥락 연결을 통한 다층적인 연구는 데이터의 활용과 공유를 통해 새로운 지식 결과물을 제공할 것이다. 특히 유형의 문화유산과 달리 무형유산은 복합적 속성으로 연결되어 있어 다층적인 맥락으로 의미적 관계 설계가 필요하다.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 향후 무형유산 통합 아카이브 구축 및 현 플랫폼 개선을 위한 연구 기반을 다지고자 기획하게 되었다.

선행 연구 고찰

본 프로젝트에 앞서 연구 당위성을 위해 분리하여 기존 연구들을 조사하였다.

  •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및 활용 연구
    • 이종욱(2023)은 디지털로 전환된 유산의 접근성 향상을 위해 데이터 플랫폼 구축이 필요하며 디지털 헤리티지의 특성을 고려한 데이터의 수집, 선별, 서비스 제공과 디지털 헤리티지의 접근성 향상을 높이는 활용 연구 필요성을 제언했다.
    • 김현주(2023)는 무형유산은 정신과 문화로 연결된 살아 숨쉬는 유산으로 무형유산의 가치를 새롭게 인식하고 창조적으로 계승할 수 있는 방향을 모색해야하며 기존의 원형 기록에 치중된 단계를 넘어 변화와 재창조되는 무형유산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과 운영 방안을 제시했다.
    • 박선희(2019)는 정보들 간의 의미적 연결을 통해 본질을 알 수 있는 관계형 패싯 네비게이션을 활용한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시맨틱 디지털 아카이브 설계와 간략한 구축을 진행했다.
    • 김현(2024)은 디지털 인문학 연구에서 개인 연구자가 특정 주제에 대한 심층적 탐구로 맥락 정보를 설계하고 시맨틱 프레임워크를 구축하는 것이 디지털 아카이브의 지속적인 성장을 비롯해 범위를 확장하며 발전할 수 있다고 제언했다.
    • 강혜원(2024)은 연구 과정 생산되는 자료와 지식을 체계적으로 정리, 보존하여 공유하는 것은 개별 연구를 수행하는 연구자와 후속 연구 및 학문의 발전을 위해 매우 중요하다고 제언했다.
    • 조하영(2024)도 시맨틱 데이터 구축과 데이터베이스를 통한 검색 및 다양한 활용이 가능하도록 적재하여 문화유산과 관련한 지속적인 추가 연구 가능성을 제시했다.
  • 무형유산(공예) 데이터 표준화 연구
    • 위주영(2010)은 문화유산의 정보 구축을 위해 기준이 되었던 유형문화유산과 별개로 무형문화유산의 다양성과 가변성을 반영한 메타데이터 표준화 필요성을 제기하였고, 공예기술을 중심으로 전통공예기술과 기능 보유자, 공예기술로 생산된 공예품에 대한 각각의 메타데이터 도출을 시도하였다.
    • 김세린, 한혜선, 장남원(2023)은 현재에도 지속적으로 계승과 발전이 이뤄지는 조선시대 공예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 하기 위해 분산되어 있는 관련 문헌과 유물 자료를 수집하여 공예 관련 용어(색인어)들을 중심으로 분류체계 및 로우데이터를 활용한 DB 구축 방안을 도출하였다.
  • 주제(공예) 관련 연구
    • 조현식(2013)은 고려왕조는 동북아시아 주변국들의 문화적 영향을 크게 미쳤으며 이와 관련해 다각도의 연구가 실행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고려의 시대 상황과 정치, 상업과 문화 교류 방식 등 중국 자료를 중심으로 분석했으며 이는 공예 문화를 연구할 때 간과할 수 없는 연관성을 지니고 있다고 제언했다.
    • 신숙(2024)은 고려시대 문헌에 기록된 주기를 실제 유물과 비교하며 유물 정보와 연결된 동아시아의 문화와 주종, 인물 등을 다각적으로 분석했다. 공예 분야에서 각각의 기물 연구도 중요하지만 시대와 문화를 고려하여 짝을 이루는 공예품과 함께 다방면의 연구 필요성을 제언했다.
    • 최응천(2018)은 중국 관료 서긍의 1개월 견문기인 선화봉사고려도경의 기록이 다분히 지엽적이고 단편적인 자료로 볼 수 있지만 당시 고려 생활과 문화, 민속, 기명 등 포괄적 기록을 남김으로써 고려시대의 새로운 시각과 자료를 제공해 고려 공예 연구에 귀중한 문헌 자료로 활용되고 있음을 시사했다.

큐레이션 주제 및 범위

시맨틱 데이터 구축 계획

주요 클래스 설계 및 클래스별 주요 노드 예시

네트워크 그래프

참고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