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U2025 콘텐츠 제작노트: 문학가 ‘이상’을 다룬 뮤지컬들의 관계성

DH 교육용 위키
KU원채연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5년 4월 14일 (월) 04:15 판

이동: 둘러보기, 검색

기획 의도| 문학가 '이상'을 다룬 뮤지컬들의 관계

불가능한 조합을 언어로 실현한 천재, 모더니즘의 경계를 허문 시인 이상. 그의 삶과 작품 세계를 다룬 한국 창작 뮤지컬들의 관계성을 알아보자.

소개 | 모더니즘 문학가 '이상'과 한국 창작뮤지컬

모더니즘 문학가 '이상'

이상은 일제강점기 「오감도」, 「이런 시」, 「거울」 등을 저술한 시인이자 소설가이다. 1910년에 태어나 1937년에 사망했다. 건축을 공부하고 건축 기사로 일했다. 1933년에는 기사를 그만두고 다방을 경영하면서 문인들과 교류했고 구인회 활동을 했다. 혼인 후 일본에 갔다가 사상불온 혐의로 구속되면서 건강이 악화되어 일본 병원에서 사망했다. 1930년대를 전후하여 세계를 풍미하던 자의식 문학시대에 우리나라를 대표하던 자의식 문학의 선구자이다. 초현실주의적 시인으로 무의식 메커니즘을 시세계에 도입하여 시상의 영토를 확장했다는 평가를 받는다.1

소극장 뮤지컬계의 특성

한정된 소재, 한정된 배우 소극장이 밀집해있는 서울 혜화역 근처, 대학로에는 10개정도의 극장을 중심으로 소극장 뮤지컬 마니아 시장이 형성되어 있습니다. 2 지원사업에 의존하여 공연을 올리는 많은 단기공연들과 달리, 티켓판매액 상위 10개의 극장에 상연되는 작품들의 경우 작은 시장 내에서 유명한 배우와 스텝들이 소극장 뮤지컬 산업을 구성하고 있습니다. 어림잡아도 일일평균 3400명이 넘는 연뮤덕(연극, 뮤지컬 덕후)들이 공연을 보기 위해 혜화를 방문합니다. [<iframe width="560" height="315" src="https://www.youtube.com/embed/UrPzPIcCDvM?si=5YAiv2ZeuxuDt6Yq&start=293" title="YouTube video player" frameborder="0" allow="accelerometer; autoplay; clipboard-write; encrypted-media; gyroscope; picture-in-picture; web-share" referrerpolicy="strict-origin-when-cross-origin" allowfullscreen></iframe> 3]


'이상'과 한국 창작 뮤지컬

클래스별 주요 노드 설명

  1. 작품

<꾿빠이, 이상> <스모크> <라흐헤스트> <팬레터>

  1. 실존인물

이상 | 변동림 | 김소월 | 김환기

  1. 배우

김종구 | 김재범

  1. 공간

낙랑파라 | 미츠코시 백화점

  1. 소재

메론 | 양갱 | 편지

  1. 캐릭터

해 | 홍 | 초 | 변동림 | 이상 | 김환기

관계 설명

네트워크 그래프


참고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