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 디지털인문학입문(건국대)

DH 교육용 위키
Haewonk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5년 4월 8일 (화) 14:36 판

이동: 둘러보기, 검색

강좌 개요

  • 강좌명: 디지털인문학입문 (Introduction to Digital Humanities)
  • 건국대학교 문화콘텐츠학과 2025년 1학기 수업
  • 담당 교수: 강혜원

강의 일정

차수 날짜 학습목표 내용 강의자료
1 03/04 오리엔테이션 강의 목표, 진행 방법, 평가 방법 소개 Pdf-file.png
2 03/11 디지털 인문학의 이해 디지털 인문학이란 / 디지털 인문학 교육의 목표와 방법 Pdf-file.png
3 03/18 디지털 콘텐츠 제작을 위한 기술 - 웹문서 위키 소프트웨어란 / 위키 문서 제작 실습

Pdf-file.png : 위키의 이해 / Pdf-file.png : 위키문법
Youtube.png : 2016 디지털 인문학 교육 워크샵 - 03 wiki 콘텐츠 편찬 방법(동영상 강의)
위키백과 - 위키문법 / 위키백과 - 위키문법 요약 / 위키백과 - 도움말
Youtube.png : A Wiki Minute - Wikimedia Foundation.
Ted.png : The Birth of Wikipedia - Jimmy Wales (Founder of Wikipedia), 2005.

4 03/25 디지털 콘텐츠 제작을 위한 기술 - 웹문서 위키 문서 제작 실습 (Mini Project)

Pdf-file.png
과제1: 각자 맡은 콘텐츠 소개 페이지 만들기

5 04/01 디지털 콘텐츠 제작을 위한 기술 - 데이터의 시각화 네트워크 그래프 제작 실습

Pdf-file.png : 네트워크 그래프
데이터의 시각화: 네트워크 그래프
위키 문서로 네트워크 그래프를 만드는 방법

6 04/08 디지털 콘텐츠 제작을 위한 기술 - 데이터의 시각화 네트워크 그래프 제작 실습 (Mini Project) Time-Slip Archive Ontology
7 04/15 디지털 큐레이션 실습 디지털 큐레이션 콘텐츠 제작 계획 발표
8 04/22 디지털 큐레이션 실습 디지털 큐레이션 콘텐츠 제작 계획 발표 위키 콘텐츠 제작 방법
9 04/29 중간고사 디지털 인문학 이론 및 디지털 콘텐츠 제작 기술 관련 레포트
10 05/06 휴강(대체공휴일)
11 05/13 디지털 큐레이션 실습 국내외 디지털 큐레이션 사례 검토
12 05/20 디지털 큐레이션 실습 디지털 큐레이션 콘텐츠 구체화 전략
13 05/27 디지털 큐레이션 실습 진행 상황 발표 및 토론
14 06/03 디지털 큐레이션 실습 진행 상황 발표 및 토론 + 프로젝트 완성도 제고 전략
15 06/10 디지털 큐레이션 실습 디지털 큐레이션 콘텐츠 제작 결과물 발표
16 06/17 기말고사 디지털 큐레이션 콘텐츠 제작 결과물 + 제작 레포트

실습 프로젝트

  • Mini Project - 타임슬립 아카이브(Time-Slip Archive)
    • 타임슬립 아카이브(Time-Slip Archive)는 영화와 드라마 속 역사적 인물과 사건 정보를 데이터로 정리해보는 프로젝트입니다. 콘텐츠를 통해 재현된 역사적 서사를 시맨틱 데이터로 연결함으로써, 자주 등장하는 시대와 인물의 경향을 파악하고, 같은 인물을 연기한 배우나 작품 간의 서사적 특징 등을 탐색할 수 있습니다.

디지털 큐레이션 콘텐츠(기말고사)

  1. 디지털 큐레이션 콘텐츠 제작 계획 발표
    • 발표 15분, Q&A 10분
    • 4/15: 미드나잇인파리, 한국 화가 아카이빙, 게임 문화산업, 구미호뎐, 디지털 음악 큐레이션, A24
    • 4/22: 팔이피플, 넷플릭스 오리지널, 전지적 독자 시점, 지역 소개, KBO
  2. 제작노트를 정리해서 발표 (위키문서)
    • 제작노트 위키문서 제목 양식 → KU2025 콘텐츠 제작노트: 0000
      • 예) KU2025 콘텐츠 제작노트: 사극 드라마
    • 제작노트 위키문서에는 아래의 분류를 반드시 넣어주세요.
      • [[분류: KU 디지털인문학입문 2025]] [[분류: KU2025 콘텐츠 제작노트]]
  3. 제작노트에 포함해야 할 내용
    • 콘텐츠 제목
    • 기획의도 (큐레이션의 주제와 범위 포함)
    • 클래스별 주요 노드
    • 주요 노드가 포함된 네트워크 그래프
    • 참고자료
  4. 제작노트 예시: 예시1, 예시2, 예시3, 예시4
  5. 네트워크 그래프는 손그림 가능
  • 네트워크 그래프 예시
  • 마인드맵 vs 네트워크 그래프
마인드맵 시맨틱 네트워크 그래프
성격
  • 중심 개념 하나에서 출발해 방사형으로 확장
  • 아이디어를 자유롭게 정리하거나 브레인스토밍할 때 사용
  • 중심-하위 개념의 계층적 관계를 표현하는 데 적합
  • 주로 주제-하위 항목의 포함/분류 관계로 연결
  • 대상 세계를 구성하는 주요 요소들이 유의미한 관계로 연결, 중심 노드가 여럿일 수 있음
  • 개념 간의 의미 있는 관계를 구조화하고, 지식의 연결망을 구축할 때 사용
  • 비계층적이고 방향성 있는 관계망 표현에 적합
  • 다양한 성격의 관계 명시
디지털 큐레이션에서의 활용
  • 발산적 사고의 지도
  • 디지털 큐레이션의 첫 단계에서 정보 수집과 아이디어 정리의 출발점이 될 수 있음
  • 내가 큐레이션하려는 대상 세계에는 ‘무엇이 있는가’를 정리하는 도구
  • 연결과 맥락의 지도
  • 디지털 큐레이션의 범위를 정하고, 내가 전달하려는 콘텐츠의 정보를 구조화/맥락화하여 표현하는 도구
  • 나의 콘텐츠에서는 ‘무엇이 무엇과 어떻게 연결되는가’를 구조화하는 도구

평가 방법

평가항목 중간고사 기말고사 출석 발표 과제
배점 30% 40% 10% 10% 10%

읽을거리

Basic Technology References

데이터 시각화(Data Visualization)

기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