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상(영화, 2013)

DH 교육용 위키
KU이세은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5년 3월 31일 (월) 14:54 판

이동: 둘러보기, 검색
관상
관상, 나무위키.
작품명(국문) 관상
작품명(영문) The Face Reader
제작연도 2012.09.15~2013.04.09
국가 대한민국
감독 한재림
각본 김동혁
개봉일 2013.09.11
등급 15세 이상 관람가
장르 사극, 정치, 스릴러, 블랙 코미디, 드라마
러닝타임 139분
관객수 9,135,806명



시놉시스

얼굴을 보면 그 사람의 모든 것을 꿰뚫어보는 천재 관상가 내경. 처남 ‘팽헌’, 아들 ‘진형’과 산속에 칩거하고 있던 그는 관상 보는 기생 ‘연홍’의 제안으로 한양으로 향하고, 연홍의 기방에서 사람들의 관상을 봐주는 일을 하게 된다. 용한 관상쟁이로 한양 바닥에 소문이 돌던 무렵, ‘내경’은 ‘김종서’로부터 사헌부를 도와 인재를 등용하라는 명을 받아 궁으로 들어가게 되고, ‘수양대군’이 역모를 꾀하고 있음을 알게 된 그는 위태로운 조선의 운명을 바꾸려 한다.[1]

등장인물

주연

조연

  • 정규수 : 박첨지 역
  • 채상우 : 단종 역
  • 이윤건 : 조상용 역
  • 이도엽 : 김승규 역
  • 유상재 : 홍윤성 역

스틸컷

동영상

명대사

Quote-left.png 내가 왕이 될 상인가 Quote-right.png
- 수양대군



Quote-left.png 난 사람의 관상만 보았지, 시대를 보진 못했소. 시시각각 변하는 파도만 본 격이지. 바람을 보아야 하는데. 파도를 만드는 것은 바람인데 말이오. 당신들은 그저 높은 파도를 잠시 탔을 뿐이오. 우린 그저 낮게 쓸려가고 있을 뿐이었소만. 뭐 언젠가는 오를 날이 있지 않겠소. 높이 오른 파도가 언젠가 부서지듯이 말이오. Quote-right.png
- 김내경



수상이력

  • 제50회 대종상
    • 최우수작품상 - (주)주피터필름
    • 감독상 - 한재림
    • 남우주연상 - 송강호
    • 남우조연상 - 조정석
    • 하나금융그룹 인기상 - 이정재
    • 의상상 - 심현섭

촬영지 정보

유명산 설매재

용문사

  • 영화는 양평 용문사 은행나무를 배경으로 촬영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양평 용문사 은행나무는 조선 세종재위 1418∼1450) 때 당상관(정3품)이란 품계를 받을 만큼 중히 여겨져 오랜 세월 동안 조상들의 관심과 보살핌 가운데 살아온 나무이며, 생물학적 자료로서도 가치가 높아 천연기념물로 지정·보호하고 있다.[2]
  • <관상>에 나오는 수양대군이 계유정난을 전후해 두 번이나 찾은 사찰이다.[3]

역사적 배경

계유정난

영화 <관상>에서 핵심적인 갈등은 김종서수양대군 간의 대립으로, 이는 조선시대 계유정난을 배경으로 전개된다. 계유정난은 1453년(단종 1) 수양대군이 단종의 보좌 세력이자 원로대신인 황보인·김종서 등 수십 인을 살해, 제거하고 정권을 잡은 사건이다.[4] 문종이 죽자 단종은 어린 나이로 즉위하였다. 어린 임금이 즉위하면서 수렴청정(垂簾聽政)을 대신할 정치적 권력은 고명 대신(顧命大臣) 황보인(皇甫仁) · 김종서(金宗瑞) 등이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세종의 둘째 아들 수양대군과 셋째 아들 안평대군의 세력이 가장 강성했으며 수양대군은 단종의 정치적 무능과 어린 나이를 이유로 왕위를 찬탈하려는 계획을 세웠다. 수양대군은 단종의 신하들과 왕비를 설득해 자신의 지지 세력을 강화하고, 1453년 5월 계유년 정난을 일으켰다. 이 사건으로 단종은 폐위되고, 세조는 제4대 왕으로 즉위했다. 이후 단종은 강릉으로 유배되었고, 결국 17살에 사망했다. 이후 세조는 의정부 서사제 폐지, 육조 직계제 시행, 경연 및 집현전도 폐지, 『경국대전』 편찬 등 왕권 강화를 위한 중앙집권적 체제를 확립하기도 했지만 왕위 찬탈로 인한 정통성 부족과 군사적 강압이 세조의 정권을 불안정하게 만들었다. 이러한 계유정난은 조선의 권력 구조 변화를 상징하는 중요한 사건이었다.

관상

영화는 이러한 역사적 사건을 바탕으로, '관상'이라는 요소를 추가하여 극적인 긴장감을 극대화한다. 여기서 관상은 상을 보아 운명재수를 판단하여 미래에 닥쳐올 흉사를 예방하고 복을 부르려는 점법[5]을 의미한다. 또한 관상쟁이 김내경의 시선을 따라 사건을 풀어가며 이야기를 이끈다.

평점과 한줄평

작성자 별점 한줄평
관상 코멘트
김상욱 ★★★★ 한국사에 대한 기본 지식이 빈약할수록.재미있게 볼 수 있는 영화.
임희봉 ★★★ 관상으로 세상을 바꿀 수는 없다, 결국에 모든 것은 역사의 흐름대로
이동진 ★★★ 무거운 이야기를 지탱하느라 쉴새없는 발놀림
심초딩 ★★★ 우리는, 그 끝을 너무나 자명히 알면서도 혹여나 다른 결말이 나오지는 않을까 숨죽여 기대한다. 거대한 역사의 파도 앞에 한 개인은 얼마나 무력한가.
박평식 ★★★ 눈썰미가 좋은 배우들

주석

  1. 이동 관상 영화 소개, 네이버 영화
  2. 이동 양평 용문사 은행나무, 나무위키
  3. 이동 용문사, 대한민국 구석구석
  4. 이동 계유정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5. 이동 관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