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김태-황룡사건축-1977s.jpg

DH 교육용 위키
홍자현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3년 9월 19일 (화) 16:33 판

이동: 둘러보기, 검색
김태-황룡사건축-1977s.jpg(800 × 523 픽셀, 파일 크기: 407 KB, MIME 종류: image/jpeg)
김태 「황룡사 조영-신라 건축가들의 활동-」 1977]


작품

황룡사(皇龍寺)는 경상북도 경주시에 있었던 사찰로서, 경주에서 가장 컸던 사찰로 알려져 있으나,[1] 현재는 터만 남아 있다. 황룡사는 9층 목탑과 장륙상(丈六像)과 더불어 신라 삼보(三寶)의 하나로 유명하였다.[1][2] 신라의 사찰로 553년(진흥왕 14년) 기공이 시작[3] 되어 569년에 완공되었다고 여겨지나, 566년(진흥왕 27년) 일단 준공되었다가 645년(선덕여왕 14년)에 완성되었다는 설도 있다.[1] 고려 고종 25년(1238년)[4] 에 몽골의 침입으로 소실되었다.[1] 현재 그 터인 황룡사지(皇龍寺址)[5] 가 사적 제6호로 지정되어 있다. (출처: 황룡사, 위키백과)

  • 김대성
  • 삼국유사
  • 경주 불국사:
  • 경주 석굴암:

작가

김태(金泰):1931년 함경남도에서 출생하여 1955년 서울대학교 미술대학회화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하였다. 3,4,5,7회 국전에 입선하였고, 10여 회의 개인전과 '예술의 전당' 개관 기념전 초대 출품. 한국수채화작가회전 회원 출품 등을 하였다.

지도

황룡사 3D Graphics

관련 자료

관련 항목 네트워크

Network:민족기록화W05.lst


XML 문서

파일 역사

날짜/시간 링크를 클릭하면 해당 시간의 파일을 볼 수 있습니다.

날짜/시간섬네일크기사용자덧글
현재2016년 5월 18일 (수) 08:202016년 5월 18일 (수) 08:20 판의 섬네일800 × 523 (407 KB)Wikisisop (토론 | 기여)
  • 이 파일을 덮어쓸 수 없습니다.

메타데이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