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병운

DH 교육용 위키
이병운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0년 4월 2일 (목) 16:39 판

이동: 둘러보기, 검색

개요

학력

  • 신정고등학교 졸업
  • 동국대학교 사학과 재학

경력

  • 백상응원단 부단장
  • 71대 사학과 학생회
  • 육군 병장 만기전역

좋아하는 것

  • 축구,퍼즐,컴퓨터

최부의 표해록

3월 23일

二十三日,過靜海縣,是日晴,丑時開船,過釣臺鋪、南家口鋪、雙塘

p.424 鋪,至奉新睾,睾在靜海縣治之前,臣語傅榮曰:“願學水車之制.”榮曰:“你於何地,見所謂水車乎?”臣曰:“翼者過紹興府時,有人在湖岸運水車,以灌水田,用力小而上水多,可為當旱農稼之助”榮曰:“其制,木工所知,我未之詳,“臣曰:“昔嘉祐中,高麗臣屬毛羅島人,橋崔桅折,風漂抵岸,至蘇州岷山縣,知縣事韓正彥篇以酒食,見其舊桅植舟木上不可動,使工人為治施造轉軸,教其起倒之法,其人喜,捧手而熊,毛羅,即今我濟州也,我往濟州,見漂來此,亦與其人一般,足下亦以韓公之心為心,教我以水車之制,則我亦捧手而喜.”榮曰:“水車只用汲水而已,不足學也,臣曰:“我國多水田,厦值旱乾,若學此制,以教東民,以益農務,則足下一唇舌之勞,可為我東人千萬世無窮之利也,望深究其制,有未盡,則問諸水夫,明以教我,”榮曰:“此北方地多沙土,無水田,故水車無所用,此水夫安知其制?我姑思之,”食頃間,榮略語機形之制、運用之方,臣曰:“我所見,轉之以足,此則運之手,且其形制小異,何也?”榮曰:“你所見必是蹈車者,然不若此制最便,止用一人,可以運之.”臣曰:“可造以松木否?”榮曰:“松木輕,不可造. 其機通上下用杉木,其腸骨用榆木,其板用樟木,其車腸用竹片約之,前後四柱要大,中柱差小,其車輪、腹板長短、廣(俠)狹]如之,如不得杉、榆、樟等木,須用木理堅韌者方可.”又過獨流巡檢司、沙寧鋪,至武淸縣地方, 과장청운__소, 인정시지장청역, 지명都是楊柳청야. 유박이시, 三更,復開__而行,

정해현(靜海縣)을 지났습니다.

이 날은 맑았습니다.

축시(丑時)479에 배를 출발시켜 조대포(釣臺鋪)·남가구포(南家口鋪)·쌍당포(雙塘鋪)를 지나서 봉신역(奉新驛)에 이르니 봉신역은 정해현치(靜海縣治) 앞에 있었습니다.

신이 부영에게 말하기를,

“수차(水車)[1] 만드는 방법을 배우고 싶습니다” 라고 하였습니다.

부영이 말하기를,

"당신은 어디에서 수차[2]란 것을 보았습니까?”라고 하였습니다.

“지난번 소흥부를 지날 때 어떤 사람이 호수 언덕에서 수차[3]를 운전하여 논에 물을 대고 있었습니다. 힘을 적게 들이면서 물을 많이 퍼 올리니 가뭄 시에 농사짓는 데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그 제작 방법은 목공이 아는 바로서 나는 자세히 알지 못합니다.”

“과거 가우(嘉祐)480 연간에 고려에 신속(臣屬)된 탁라도(E羅島)481 사람이 돛대가 부러져 표류되어 연안에 도착한 뒤 소주의 곤산현(混山縣)에 이르렀습니다. 지현 한정언(韓正彦)482은 그에게 술과 음식을 접대하였는데, 돛대가 배에 박혀 움직일 수 없음을 보고는 공인(工人)을 시켜서 돛대를 수리하여 전축(轉軸)을 만든 다음 그 일으키고 넘어뜨리는 방법을 가르쳐 주도록 하였습니다. 그 사람은 기뻐하면서 두 손을 맞잡고 감사해 마지않았습니다. 483 탁라는 곧 지금의 우리 제주입니다. 내가 제주에 갔다가 표류를 당하여 이곳에 왔으니 그 사람과 똑같습니다. 족하께서 또한 한공(韓公)처럼 마음을 쓰시어 수차의 제작법을 나에게 가르쳐 주시면 나도 또한 두 손을 맞잡으며 기뻐할 것입니다.”

“수차는 물을 푸는 데만 시용될 뿐이니 배울 것이 못됩니다.”

“우리나라는 논이 많은데 가뭄을 자주 만나게 됩니다. 만약 이 제작법을 배워 동방 백성에게 가르쳐서 농사짓는 일에 도움을 준다면 족하의 한 번 말하는 수고가 우리 동방 사람의 천만대의 무궁한 이익이 될 것입니다. 그 제작법을 잘 알아보시되 미진한 점이 있으면 수부(水夫)에게 물어서 나에게 명백히 가르쳐 주시기 바랍니다.”

“이 북방은 사토가 많고 논이 없는 까닭에 수차가 소용이 없으니 수부들이 어찌 그 제작법을 알겠습니까? 잠시 생각해 보겠습니다.”

한 끼 밥을 먹을 동안에 부영이 기계의 형태와 운용 방법을 대략 이야기하였습니다.

신이 말하기를, "내가 본 것은 발로 움직이던데 이것은 손으로 움직이고 또 그 형태도 조금 다르니 무슨 이유입니까?”라고 하였습니다.

“당신이 본 것은 도차(蹈車)일 것입니다. 그러나 이 방법이 가장 간편해서 한 사람만으로도 운전할 수 있습니다.”

“소나무로 만들 수 있습니까?”

"소나무는 가벼워서 만들 수 없습니다. 틀은 위아래를 통하므로 삼나무를 쓰고, 장골(腸骨)은 느릅나무를 사용하고, 판(板)은 녹나무를 사용합니다. 그리고 수레의 중심은 대쪽을 사용하여 묶고, 앞 뒤 네 기둥은 커야 하고, 가운데 기둥은 조금 작아야 하며, 그 수레바퀴와 중심의 판자(板子)는 길이와 너비를 같게 해야 합니다. 만약 삼나무, 느릅나무, 녹나무를 얻지 못하면 모름지기 나무 결이 단단하고 질긴 것을 사용해야만 될 것입니다." 484

또 독류순검사(獨流巡檢司)·사령포(沙寧鋪)를 지나서 무청현(武淸縣) 지방에 이르고, 양청체운소(楊靑遞運所)를 지나서 사람들이 잠자리에 들 시각에 양청역(楊靑驛)에 이르렀는데, 지명은 모두 양유청(楊柳靑)이었습니다. 정박했다가 3경에 다시 배를 출발시켜 떠났습니다.

23rd Day. Passing Ching-hai County. This day was fair. Between 1 and 3 a.m. we pushed off the boats and passed Tiao-t'ai Stop, Nan-chia-k’ou Stop, and Shuang-t’ang Stop, and came to Feng-hsin Station, which was in front of the seat of Ching-hai County. I said to Fu Jung, “I want to learn how water wheels are made.” Fu Jung said, “Where did you see something called a water wheel?” I said, “Previously, when we passed Shao-hsing Prefecture, there were men on the shore of a lake turning water wheels and irrigating fields. Using little strength, they raised much water. That could be helpful to farming in droughts.” Fu Jung said, “The construction is known to carpenters. I am not familiar with it.” I said, “Long ago in the Chia-yu period (1056-1063], a man from T’o-lo Island,95 which was subject to Koryo, drifted with the wind, his mast and boom broken, to shore. He reached K’un-shan County, Su-chou. The Magistrate of the county, Han Cheng-yen, served him wine and food and saw his old mast, which had been stood in the wood of the boat and could not be moved. He had a craftsman repair the mast and make a windlass and taught [the man] how to raise what had fallen. The man was so happy he clasped his hands and danced round. 96 “T’o-lo is now our Cheju. I went to Cheju, was driven adrift, and came here; I am of the same type as that man. Make His Excellency Han's spirit your spirit, teach me how to make a water wheel, and I, too, shall clasp hands and be happy." Fu Jung said, “The water wheel is used only for drawing water. It is not worth learning about.” I said, “In my country there are many irrigated fields, and frequently there is drought. If I study this method and teach the Koreans to improve their farming, your work of a few words can be an inexhaustible benefit to my Koreans for all ages. I should like to study the method carefully. If there is anything you do not know, you can ask the sailors and explain it to me clearly.” Fu Jung said, “Here in the North the land is mostly sandy soil, and since there are no irrigated fields, water wheels are not used. How can these sailors know their construction? However, I shall think about it.” While we were eating, Fu Jung told me briefly how the machine was built and turned. I said, “The ones I saw were turned with the feet. Yours is turned with the hands, and its shape, too, is a little different. How is that?”

Fu Jung said, “The ones you saw must have been treadwheels. They are not so convenient as this kind, which can be turned by a single man.” I said, “Can they be built of pine?”. Fu Jung said, “Pine is light and cannot be used to build them. For the upper and lower axles (chi-t’ung], we use cryptomeria. We use elm for the trough [ch’ang-ku] and camphorwood for the paddles (pan). Bamboo strips are used to bind the spokes (she-ch'ang]. The four pillars in front and back must be big, but the central pillar, to the contrary, should be small. The dimensions of the wheels, spokes, and paddles are like this. If you cannot get cryptomeria, elm, and camphor-wood, you must use woods of tough, pliable grain; they will do.97 [We went from Tu-liu Police Station to Yang-liu-ch’ing Station and beyond.]

3월 24일

二十四日,過天津衛,是日陰,曉過直沽城,河名,即沾水也,至天津衛城,衛河自南而北,即臣所沿來之下水也,白河自北而南,臣所去之上水也,二河合流于城之東以入海,城臨兩河之會,海在城之東十餘里,即舊時江淮以南漕運,皆浮大海,復會于此,以達京師,今則疏鑿水道,置開閉縱,舟楫之利,通于天下,城中有衛司及左衛·右衛之司,分治海運等事,城東有巨廟臨河岸,大書其額,臣遠而望之,其上天宇,其下廟”字,其中一字,不知某字也,河過丁字沽、海口里、河東巡更所、桃花口、尹兒灣、蒲溝兒、下老米店,至楊村睾,睾西又有巡檢司,

천진위(天津衛)를 지났습니다.

이 날은 흐렸습니다.

새벽에 직고성(直古城)485을 지났는데 강의 이름은 고수(活水)였습니다.

천진위성(天津衛城)에 이르렀는데 위하(衛河)는 남에서 북으로 흐르니 곧 신이 흐름을 따라온 강의 순류였으며, 백하(白河)는 북에서 남으로 흐르니 곧 신이 거슬러 가야 할 강의 역류였습니다.

두 강이 성의 동쪽에서 합류하여 바다로 들어갔습니다.

성은 두 강이 만나는 곳에 임해 있었습니다.

바다는 성의 동쪽 10여 리에 있었으니 곧 옛날 강회(江__) 이남의 조운이 모두 큰 바다로 나갔다가 다시 이곳에 모인 뒤 경사로 가곤 하였습니다.

지금은 수로를 뚫어 열고 갑문을 설치하여 열고 닫으니 선박의 편리함이 천하에 통하게 되었습니다.

성안에 위사(衛司)와 좌위사(左衛司)·우위사(右衛司)486의 관사(官司)가 있어 해운 등의 일을 나누어 관장하였습니다.

성 동쪽에는 큰 사당이 강 언덕에 접해 있어 그 편액을 큰 글자로 썼는데, 신이 먼 데서 바라보니 그 위는 '천(天)'자, 그 아래는 '묘(廟)'자였지만 중간의 한 글자는 무슨 글자인지 알 수 없었습니다. 487

강을 거슬러 올라가서 정자고(丁字法)·해구리(海口里)·하동순경소(河東巡更所)·도화구(桃花口)·윤아만(尹兒灣)·포구아(蒲름兒)488. 하로미점(下老米店)을 지나서 양촌역(楊村驛)에 이르니 양촌역 서쪽에는 또 순검사가 있었습니다.

24th Day. Passing T’ien-chin [Tientsin] Garrison. This day was cloudy.

At dawn we passed Chih-ku. The name of the river by the wall was Ku River. We came to the wall of T’ien-chin Garrison. The Wei River ran from south to north and was the river down which I had come, the Pei River ran from north to south and was the river up which I was to go, and the two rivers joined east of the wall to flow into the sea. The wall overlooked the junction of the rivers, and the sea was over ten li east of the wall. In olden times, all cargoes from the Yangtze, Huai, and places south of them sailed the open sea and reassembled there to reach the capital. Now, the benefits of canals cut, locks placed, and boats given passage reach throughout the Empire. Inside the wall were garrison posts. The posts of the Left and Right Garrisons divided the administration of sea transport and other matters. East of the wall was a huge shrine overlooking the river bank, the inscription on its plaque so big that though I was far from it, I saw it. At the top was the word “Heaven” [t'ien] and at the bottom the word "Shrine” [miao]. There was a word in between them, but I do not know what it was. 98 [We went from Ting-tzu-ku to Yang-ts’un Station.]

3월 25일

3월 26일

3월 27일

3월 28일

3월 29일

2월 28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