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화 오련사 이야기
DH 교육용 위키
목차
주제: 강화도 고려산의 다섯 개의 연꽃 사찰 (五蓮寺)
개요
강화도에는 다섯 개의 연꽃 사찰 (五蓮寺)이 있었다고 한다.
고구려 장수왕 때 (416년) 인도에서 건너온 스님(천축조사)이 강화도의 고려산에서 가람 터를 찾았다. 이 스님은 5가지 색깔의 연꽃을 하늘에 날려 그 꽃이 떨어진 곳에 각각 그 연꽃 색깔 이름의 절을 세웠다. 청련사, 백련사, 적련사, 흑련사, 황련사라는 절이다. 현재 강화도에는 이 전설과 관련이 있다고 여겨지는 세 곳의 사찰이 있다: 청련사, 백련사, 적석사.
강화도에 다섯 개의 연사(蓮寺)가 있다는 사실은 1696년에 간행된 『강도지』에 처음 언급되었다. 이곳에 기록된 이름은 청련(靑蓮), 홍련(紅蓮), 벽련(碧蓮), 백련(白蓮), 자련(紫蓮)이었다. 그 후, 1783년의 『강화부지』에는 홍련(紅蓮)이 적련(赤蓮)으로, 1932년 『숙수증보강도지』에서는 벽련(碧蓮)이 흑련(黑蓮)으로, 자련(紫蓮)이 황련(黃蓮)으로 바뀌어 소개되었다.
천축조사가 연꽃을 날려 오련사의 터를 찾았다는 전설은 1783년 『강화부지』에 처음 나타나며, 그 시기가 고구려 장수왕 4년(416)이라는 것은 1905년 『백련사중건기』에 처음 언급되었다.
강화도 전하는 오련사 전설과 그 이야기와 관련된 문헌 기록 속의 사실들을 살펴본다.
아래의 지식관계망은 강화도 5 개의 연꽃 사찰과 고려산에 관련한 유적지 및 사건, 이에 관한 인물과 시대.연도, 그리고 이런 것들을 기록한 역사적 문헌을 포함한다.
고려산 일원 관련 유적지
온톨로지 설계
범주 Class
- 개념
- 지형
- 시대
- 인물
- 기록
- 사건
- 문화유산
- 기관
- 연도
(총 9개)
관계 Relation
- began
- datesBackTo
- ended
- founded
- hasAfter
- hasBirthdate
- hasBirthplace
- hasDescendant
- hasFeature
- hasMainMountain
- heldPosition
- isLocatedAt
- isNearby
- isReferencedIn
- isRelatedTo
- hadRelocated
- replacedBy
- takesPlaceAt
- takesPlaceIn
- tookPlaceIn
- tookRefuge
- wasHeldIn
- wasLocatedAt
- wasPublishedIn
(총 24)
주요 노드
노드 리스트
| Class | Node |
|---|---|
| 개념 | 강화부 |
| 개념 | 강화유수 |
| 개념 | 강화진위대 |
| 개념 | 오련사_전설 |
| 기관 | 백련사 |
| 기관 | 보창학교 |
| 기관 | 원통암 |
| 기관 | 적석사 |
| 기관 | 청련사 |
| 기관 | 황련사 |
| 기관 | 흑련사 |
| 기록 | 강도지 |
| 기록 | 강화부지 |
| 기록 | 백련사중건기 |
| 기록 | 속수증보강도지 |
| 기록 | 심도기행 |
| 기록 | 여지도서_강도부지 |
| 기록 | 적석사_사적비 |
| 기록 | 전등사본말사지 |
| 기록 | 해동지도 |
| 문화유산 | 강화_내가_오상리_고인돌 |
| 문화유산 | 강화_부근리_점골_고인돌 |
| 문화유산 | 고려_홍릉 |
| 문화유산 | 고천리_고인돌군 |
| 문화유산 | 백련사_현판 |
| 문화유산 | 백련사의_철조아미타여래좌상 |
| 문화유산 | 숙종어진 |
| 문화유산 | 신삼리_지석묘 |
| 문화유산 | 영조오진 |
| 문화유산 | 적석사_우물 |
| 사건 | 고려천도 |
| 사건 | 몽골침략 |
| 사건 | 병인양요 |
| 사건 | 병자호란 |
| 시대 | 고구려 |
| 시대 | 고려 |
| 시대 | 선사시대 |
| 시대 | 조선 |
| 연도 | 416 |
| 연도 | 614 |
| 연도 | 1232 |
| 연도 | 1270 |
| 연도 | 1530 |
| 연도 | 1696 |
| 연도 | 1714 |
| 연도 | 1760 |
| 연도 | 1761 |
| 연도 | 1783 |
| 연도 | 1806 |
| 연도 | 1821 |
| 연도 | 1866 |
| 연도 | 1905 |
| 연도 | 1906 |
| 연도 | 1932 |
| 연도 | 1942 |
| 인물 | 권적 |
| 인물 | 권필 |
| 인물 | 연개소문_장군 |
| 인물 | 이동휘 |
| 인물 | 이인기 |
| 인물 | 정명공주 |
| 인물 | 천축조사 |
| 지형 | 고려산 |
| 지형 | 남산 |
| 지형 | 오련지 |
| 지형 | 헐구산 |
(총 66)
링크 리스트
| Domain | Range | Relation |
|---|---|---|
| 고려천도 | 1232 | began |
| 백련사 | 고구려 | datesBackTo |
| 오련사_전설 | 고구려 | datesBackTo |
| 원통암 | 고구려 | datesBackTo |
| 적석사 | 고구려 | datesBackTo |
| 천축조사 | 고구려 | datesBackTo |
| 청련사 | 고구려 | datesBackTo |
| 황련사 | 고구려 | datesBackTo |
| 흑련사 | 고구려 | datesBackTo |
| 고려_홍릉 | 고려 | datesBackTo |
| 백련사의_철조아미타여래좌상 | 고려 | datesBackTo |
| 강화_내가_오상리_고인돌 | 선사시대 | datesBackTo |
| 강화_부근리_점골_고인돌 | 선사시대 | datesBackTo |
| 고천리_고인돌군 | 선사시대 | datesBackTo |
| 신삼리_지석묘 | 선사시대 | datesBackTo |
| 권적 | 조선 | datesBackTo |
| 권필 | 조선 | datesBackTo |
| 고려천도 | 1270 | ended |
| 이동휘 | 보창학교 | founded |
| 이인기 | 숙종어진 | hadRelocated |
| 이인기 | 영조오진 | hadRelocated |
| 416 | 614 | hasAfter |
| 614 | 1232 | hasAfter |
| 1232 | 1270 | hasAfter |
| 1270 | 1530 | hasAfter |
| 1530 | 1696 | hasAfter |
| 1696 | 1714 | hasAfter |
| 1714 | 1760 | hasAfter |
| 1760 | 1761 | hasAfter |
| 1761 | 1783 | hasAfter |
| 1783 | 1806 | hasAfter |
| 1806 | 1821 | hasAfter |
| 1821 | 1866 | hasAfter |
| 1866 | 1905 | hasAfter |
| 1905 | 1906 | hasAfter |
| 1906 | 1932 | hasAfter |
| 1932 | 1942 | hasAfter |
| 선사시대 | 고구려 | hasAfter |
| 고구려 | 고려 | hasAfter |
| 고려 | 조선 | hasAfter |
| 연개소문_장군 | 614 | hasBirthdate |
| 연개소문_장군 | 고려산 | hasBirthplace |
| 권필 | 권적 | hasDescendant |
| 적석사 | 적석사_우물 | hasFeature |
| 강화부 | 고려산 | hasMainMountain |
| 권적 | 강화유수 | heldPosition |
| 이인기 | 강화유수 | heldPosition |
| 이동휘 | 강화진위대 | heldPosition |
| 백련사 | 고려산 | isLocatedAt |
| 오련지 | 고려산 | isLocatedAt |
| 원통암 | 고려산 | isLocatedAt |
| 적석사 | 고려산 | isLocatedAt |
| 청련사 | 고려산 | isLocatedAt |
| 강화_내가_오상리_고인돌 | 고려산 | isNearby |
| 강화_부근리_점골_고인돌 | 고려산 | isNearby |
| 고려_홍릉 | 고려산 | isNearby |
| 고천리_고인돌군 | 고려산 | isNearby |
| 남산 | 고려산 | isNearby |
| 신삼리_지석묘 | 고려산 | isNearby |
| 헐구산 | 고려산 | isNearby |
| 오련사_전설 | 강도지 | isReferencedIn |
| 병자호란 | 강화부지 | isReferencedIn |
| 오련사_전설 | 강화부지 | isReferencedIn |
| 적석사_우물 | 강화부지 | isReferencedIn |
| 오련사_전설 | 백련사중건기 | isReferencedIn |
| 보창학교 | 속수증보강도지 | isReferencedIn |
| 오련사_전설 | 속수증보강도지 | isReferencedIn |
| 병인양요 | 심도기행 | isReferencedIn |
| 오련사_전설 | 심도기행 | isReferencedIn |
| 오련사_전설 | 여지도서_강도부지 | isReferencedIn |
| 고려천도 | 적석사_사적비 | isReferencedIn |
| 병자호란 | 적석사_사적비 | isReferencedIn |
| 임진왜란 | 적석사_사적비 | isReferencedIn |
| 오련사_전설 | 전등사본말사지 | isReferencedIn |
| 오련사_전설 | 해동지도 | isReferencedIn |
| 연개소문_장군 | 고구려 | isRelatedTo |
| 백련사_현판 | 권필 | isRelatedTo |
| 권필 | 백련사 | isRelatedTo |
| 백련사의_철조아미타여래좌상 | 백련사 | isRelatedTo |
| 오련사_전설 | 백련사 | isRelatedTo |
| 이인기 | 병인양요 | isRelatedTo |
| 정명공주 | 병자호란 | isRelatedTo |
| 오련사_전설 | 오련지 | isRelatedTo |
| 오련사_전설 | 원통암 | isRelatedTo |
| 청련사 | 원통암 | isRelatedTo |
| 오련사_전설 | 적석사 | isRelatedTo |
| 오련사_전설 | 천축조사 | isRelatedTo |
| 오련사_전설 | 청련사 | isRelatedTo |
| 오련사_전설 | 황련사 | isRelatedTo |
| 오련사_전설 | 흑련사 | isRelatedTo |
| 적석사 | 보창학교 | replacedBy |
| 오련사_전설 | 고려산 | takesPlaceAt |
| 오련사_전설 | 416 | takesPlaceIn |
| 병인양요 | 1866 | tookPlaceIn |
| 고려천도 | 고려 | tookPlaceIn |
| 몽골침략 | 고려 | tookPlaceIn |
| 병자호란 | 조선 | tookPlaceIn |
| 임진왜란 | 조선 | tookPlaceIn |
| 정명공주 | 적석사 | tookRefuge |
| 숙종어진 | 백련사 | wasHeldIn |
| 영조오진 | 백련사 | wasHeldIn |
| 황련사 | 남산 | wasLocatedAt |
| 흑련사 | 헐구산 | wasLocatedAt |
| 신증동국여지승람 | 1530 | wasPublishedIn |
| 강도지 | 1696 | wasPublishedIn |
| 적석사_사적비 | 1714 | wasPublishedIn |
| 여지도서_강도부지 | 1760 | wasPublishedIn |
| 해동여지도 | 1761 | wasPublishedIn |
| 강화부지 | 1783 | wasPublishedIn |
| 백련사중건기 | 1905 | wasPublishedIn |
| 심도기행 | 1906 | wasPublishedIn |
| 속수증보강도지 | 1932 | wasPublishedIn |
| 전등사본말사지 | 1942 | wasPublishedIn |
(총 113개)
지식 관계망
참고문헌
- 읍지속 지도 모음, 한국학자료센터
- 인천의 전통사찰과 불교미술(3), 2015, 인천광역시 역사자료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