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기여
(최신 | 오래됨) (다음 50개 | 이전 50개) (20 | 50 | 100 | 250 | 500) 보기
- 2019년 6월 4일 (화) 16:16 (비교 | 역사) . . (-34) . . 통서 (→太極通書後序(建安本) - 宋 朱熹)
- 2019년 6월 4일 (화) 16:10 (비교 | 역사) . . (+19) . . 통서 (→太極通書後序(建安本) - 宋 朱熹)
- 2019년 6월 3일 (월) 17:14 (비교 | 역사) . . (+60) . . 주돈이 (→周敦頤墓誌銘 - 宋 潘興嗣)
- 2019년 6월 3일 (월) 17:13 (비교 | 역사) . . (+87) . . 주돈이 (→周敦頤墓誌銘 - 宋 潘興嗣)
- 2019년 6월 3일 (월) 17:10 (비교 | 역사) . . (+8,050) . . 주돈이 (→周敦頤墓誌銘 - 宋 潘興嗣)
- 2019년 6월 3일 (월) 15:15 (비교 | 역사) . . (-28) . . 刑第三十六 (최신)
- 2019년 6월 3일 (월) 15:15 (비교 | 역사) . . (+7,133) . . 새글 刑第三十六 (새 문서: =刑第三十六= 주돈이의 통서 제36장 원문 및 朱注이다. ---- :'''天以春生萬物, 止之以秋. 物之生也, 既成矣, 不止則過焉. 故得秋以成....)
- 2019년 6월 3일 (월) 15:10 (비교 | 역사) . . (+2) . . 家人睽無妄第三十二 (최신)
- 2019년 6월 3일 (월) 15:10 (비교 | 역사) . . (+11,293) . . 새글 家人睽無妄第三十二 (새 문서: =家人睽無妄第三十二= 주돈이의 통서 제32장 원문 및 朱注이다. ---- :'''治天下有本, 身之謂也; 治天下有則, 家之謂也.''' :천하를 다스...)
- 2019년 6월 3일 (월) 15:01 (비교 | 역사) . . (+288) . . 聖蘊第二十九 (최신)
- 2019년 6월 3일 (월) 14:52 (비교 | 역사) . . (+8,398) . . 새글 聖蘊第二十九 (새 문서: =聖蘊第二十九= 주돈이의 통서 제29장 원문 및 朱注이다. ---- :'''“不憤不啟, 不悱不發, 舉一隅不以三隅反, 則不復也.”''' :“[마음으...)
- 2019년 6월 3일 (월) 14:31 (비교 | 역사) . . (+7,504) . . 새글 勢第二十七 (새 문서: =勢第二十七= 주돈이의 통서 제27장 원문 및 朱注이다. ---- :'''天下,勢而已矣。勢,輕重也。''' :천하의 거취는 형세에 달려 있을 뿐...) (최신)
- 2019년 6월 3일 (월) 14:26 (비교 | 역사) . . (+669) . . 過第二十六 (최신)
- 2019년 6월 3일 (월) 14:20 (비교 | 역사) . . (+115) . . 새글 過第二十六 (새 문서: =過第二十六= 주돈이의 통서 제26장의 원문 및 朱注이다. ---- :'''zz ''' :z ::z ::z <br/>)
- 2019년 5월 29일 (수) 11:52 (비교 | 역사) . . (0) . . 孔子下第三十九 (최신)
- 2019년 5월 29일 (수) 11:51 (비교 | 역사) . . (+48) . . 孔子上第三十八 (최신)
- 2019년 5월 27일 (월) 16:12 (비교 | 역사) . . (+87) . . 孔子上第三十八
- 2019년 5월 27일 (월) 16:03 (비교 | 역사) . . (+4) . . 誠上第一 (최신)
- 2019년 5월 27일 (월) 16:02 (비교 | 역사) . . (0) . . 孔子下第三十九 (→각주)
- 2019년 5월 27일 (월) 16:02 (비교 | 역사) . . (0) . . 孔子上第三十八
- 2019년 5월 27일 (월) 16:01 (비교 | 역사) . . (+1,000) . . 새글 孔子下第三十九 (새 문서: =孔子下第三十九= 주돈이의 통서 제39장 원문 및 朱注이다. ---- :'''道德高厚, 教化無窮, 實與天地參而四時同, 其惟孔子乎!''' :도는 높고...)
- 2019년 5월 27일 (월) 16:00 (비교 | 역사) . . (+8) . . 孔子上第三十八
- 2019년 5월 27일 (월) 15:56 (비교 | 역사) . . (+57) . . 孔子上第三十八 (→孔子上第三十八)
- 2019년 5월 27일 (월) 15:56 (비교 | 역사) . . (+449) . . 孔子上第三十八 (→孔子上第三十八)
- 2019년 5월 27일 (월) 15:51 (비교 | 역사) . . (-1) . . 孔子上第三十八 (→孔子上第三十八)
- 2019년 5월 27일 (월) 15:51 (비교 | 역사) . . (-1) . . 孔子上第三十八 (→각주=)
- 2019년 5월 27일 (월) 15:51 (비교 | 역사) . . (+1,342) . . 새글 孔子上第三十八 (새 문서: =孔子上第三十八= 주돈이의 통서 제38장 원문 및 朱注이다. ---- :'''『春秋』, 正王道, 明大法<ref> 『漢語大詞典』 1. 基本法則. 唐 韓愈...)
- 2019년 5월 27일 (월) 15:46 (비교 | 역사) . . (+350) . . 새글 公第三十七 (새 문서: =公第三十七= 주돈이의 통서 제37장 원문 및 朱注이다. ---- :'''聖人之道, 至公而已矣. 或曰: “何謂也?” 曰: “天地至公而已矣.”''' :“...) (최신)
- 2019년 5월 27일 (월) 15:37 (비교 | 역사) . . (+4,372) . . 새글 精蘊第三十 (새 문서: =精蘊第三十= 주돈이의 통서 제30장의 원문 및 朱注이다. ---- :'''聖人之精, 畫卦以示; 聖人之蘊, 因卦以發. 卦不畫, 聖人之精, 不可得而...) (최신)
- 2019년 5월 22일 (수) 17:39 (비교 | 역사) . . (-1) . . 통서 (→又(延平本) - 宋 朱熹)
- 2019년 5월 22일 (수) 17:21 (비교 | 역사) . . (-23) . . 도학비사 (→주정수수)
- 2019년 5월 22일 (수) 17:13 (비교 | 역사) . . (+232) . . 주정수수설 (→개요) (최신)
- 2019년 5월 22일 (수) 17:11 (비교 | 역사) . . (+67) . . 주정수수설
- 2019년 5월 22일 (수) 17:06 (비교 | 역사) . . (+12) . . 통서 (→해제)
- 2019년 5월 22일 (수) 17:04 (비교 | 역사) . . (-27) . . 주돈이
- 2019년 5월 22일 (수) 17:01 (비교 | 역사) . . (+112) . . 주돈이 (→遺事(十六條))
- 2019년 5월 22일 (수) 16:52 (비교 | 역사) . . (-10) . . 통서 (→통서 관련 각종 서문)
- 2019년 5월 22일 (수) 16:48 (비교 | 역사) . . (+3,614) . . 주돈이 (→주돈이 관련 전거)
- 2019년 5월 22일 (수) 16:41 (비교 | 역사) . . (+9) . . 통서 (→又(延平本) - 宋 朱熹)
- 2019년 5월 22일 (수) 16:41 (비교 | 역사) . . (+18) . . 통서 (→又(延平本) - 宋 朱熹)
- 2019년 5월 22일 (수) 16:40 (비교 | 역사) . . (+3,754) . . 통서 (→통서 관련 각종 서문)
- 2019년 5월 22일 (수) 16:07 (비교 | 역사) . . (+14) . . 통서 (→통서 서문)
- 2019년 5월 22일 (수) 16:06 (비교 | 역사) . . (+199) . . 주돈이 (→주돈이 관련 전거)
- 2019년 5월 22일 (수) 16:01 (비교 | 역사) . . (+63) . . 주돈이 (→주돈이(周敦頤))
- 2019년 5월 22일 (수) 16:00 (비교 | 역사) . . (+138) . . 주돈이 (→주돈이(周敦頤))
- 2019년 5월 22일 (수) 15:58 (비교 | 역사) . . (-3) . . 주돈이 (→記濂溪傅 - 宋 朱熹)
- 2019년 5월 22일 (수) 15:57 (비교 | 역사) . . (+2,095) . . 주돈이 (→記濂溪傅 - 宋 朱熹)
- 2019년 5월 22일 (수) 15:41 (비교 | 역사) . . (-1) . . 주돈이 (→宋史 주돈이전)
- 2019년 5월 22일 (수) 15:40 (비교 | 역사) . . (+439) . . 주돈이 (→宋史道學傅序)
- 2019년 5월 22일 (수) 15:38 (비교 | 역사) . . (+26) . . 주돈이 (→주돈이(周敦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