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례문 KU

DH 교육용 위키
221.150.168.153 (토론) 사용자의 2014년 6월 19일 (목) 16:54 판

(비교) ← 이전 판 | 최신판 (비교) | 다음 판 → (비교)
이동: 둘러보기, 검색

Metadata

* 복례문(復禮門)
* 건축양식: 강학건물군
* '복례'(자기를 낮추고 예(禮)로 돌아가는 것이 곧 인(仁)이다) 일반적인 삼문(三門)의 형식이 아닌, 가운데 칸만 판문(板門)이고, 좌우로 벽체를 한 칸씩 두고 있는 것이 특징


Bbrm.jpg

서원의 정문은 삼문(三門)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병산서원의 솟을삼문은 가운데 칸만 판문(板門)이고, 좌우로는 담장과 구분되는 벽채를 한 칸씩 두고 있다. ‘복례’라는 이름은 논어 <克己復禮爲仁>에서 유래한다. 이는 공자의 가르침을 함축한 경구(警句)로서, ‘자기를 낮추고 예(禮)로 돌아가는 것이 곧 인(仁)이다’는 유학의 자기절제의 정신을 표현해 놓은 것이다. 원래는 지금의 자리에 있지 않았다.「입교당 중건일기(1921)」에 의하면 서원의 측면인 만대루 동편에 있었던 것을 이건한 것이라 한다. 병산의 험한 형세를 피하고자 했던 풍수원리가 담겨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