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min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1년 9월 14일 (화) 06:38 판
 
				 
												
Definition
1901년(광무 5) 9월 4일, 순빈(淳妃) 엄씨(嚴氏)를 고종황제의 계비(繼妃)로 책봉할 때의 기록.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Contextual Relations
Web Resource
-  type: 해설, 참고, 원문 / 사진, 동영상, 도면, 그림, 지도, 3D_지도, 3D_모델
 
Bibliography
|  type  | 
 bibliographic index  | 
 online resource  | 
 url
 | 
|  논문  | 
 한희숙, 「구한말 순헌황귀비 엄비의 생애와 활동」, 『아시아여성연구』 제45집2호,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 2006. | 
 DBpia  |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1107472&language=ko_KR
 | 
|  논문  | 
 이경미, 「대한제국기 고종황제, 순종황제, 순헌황귀비 사진의 양복」, 『한국의류학회 학술발표논문집』, 한국의류학회, 2009.  | 
 DBpia  |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9456118
 | 
-  type: 단행본, 논문, 도록, 자료집
 
-  online resource: KCI, RISS, DBpia, 네이버 학술정보 .....
 
Contents
1. 時日 
- 책봉 의식 준비 및 진행 일정 - 8월 13일 시역(始役), 9월 1일 책서(책봉문서)와 인장(금보) 내입 시행, 9월 4일 책봉 의식 거행
2. 事目 
- 8월 13일자 : 의식 준비 기간 동안의 인력 운용 및 물자 조달 등에 관한 기본 원칙 기입
3. 座目 
- 책봉 의식의 준비와 진행을 관장한 주요 관원 명단
- 고위 관료들의 경우 堂上, 郎廳 등의 직함을 별도로 부여하지 않고, 宮內府大臣, 掌禮院卿과 같은 본래 관직명만 기록, 그 외 別看役, 雇員, 使令, 使喚 등의 명단
4. 詔勅 
- 책봉 의식과 관련하여 고종이 내린 조칙(詔勅)과 신료들이 올린 주본(奏本)이 날짜순으로 수록 
- 8월 2일 領敦寧院事 尹容善이 淳嬪을 妃로 봉할 것을 청하는 상소문으로 시작
  --  天子의 후궁은 妃가 되어야 하며, 더구나 그 아들이 親王이 되었으므로 妃로 陞封하는 것이 마땅하다는 내용
- 8월 3일에는 宮內府特進官 趙秉式 또한 淳嬪의 陞封을 청. 8월 8일 尹容善이 재차 건의하자, 마침내 고종이 이를 허락하고 掌禮院에 책봉 의식 준비를 명함 
- 이어지는 詔勅과 奏本들은 주로 담당 관원 차출, 소요 물품 마련 등에 관한 내용
5. 掌禮院奏本 
- 장례원에서 올린 주본을 모아 수록, 택일 및 각종 儀節 등에 관한 내용
6. 儀註 
- 책비의(冊妃儀), 비수책의(妃受冊儀), 비조현황제의(妃朝見皇帝儀) 등 각종 의식의 제반 절차
7. 金冊文 
- 새 황비의 금책문 전문과 형식
8. 印式 
- 새 황비의 금도장 형식
9. 冊印封裏式 
- 책과 도장을 싸서 궤에 담는 절차
10. 圖說 
- 의식에 쓰인 주요 기물들의 정교한 채색 그림, 각 물품 별 규격 및 재료
11. 班次圖 
- 금책과 금장을 가져가는 행렬 그림, 총 8면 구성, 인물과 각종 의장 및 기물들의 표현이 크고 자세하며, 채색 또한 선명하고 화려함
12. 造作 
- 금책, 금장 및 관련 제구, 각종 의장과 가마 등 의식에 쓰인 물품들의 목록, 각 물품 제작에 쓰인 물자의 종류와 수량, 각종 장인 별 물자 사용 내역 
* 의궤에서 가장 많은 분량을 차지함
13. 實入 
- 전체 물자 이용 현황
14. 工匠 
- 각종 물품 제작에 참여한 공장들의 명단
15. 甘結 
- 시종원(侍從院), 교방사(敎坊司), 경부(警部), 한성부(漢城府) 등 하급 관청에 내려 보낸 공문 수록 
-- 주로 의식 준비 및 진행에 필요한 인력 동원과 관련된 내용
16. 財用 
- 책봉의식에 쓰인 비용 
-- 탁지부(度支部)에서 48,422냥(兩) 3전(錢) 5푼(分)을 가져다 썼음을 알 수 있으며, 그 중 인건비로는 매달 별간역(別看役)에게 60냥(兩), 패장(牌將)에게 30냥(兩), 고원(雇員)에게 40냥(兩)을 지급하였고, 각종 공장(工匠)들에게는 매일 2냥(兩) 4전(錢)을 지급
17. 賞典 
- 9월 4일자 조칙 - 순비책봉의식에 참여한 이들에 대한 포상 내역
18. 儀軌事例 
- 의궤 제작 및 보관에 관한 제반 사항
-- 총 9건 의궤 제작(규장각(奎章閣), 시강원(侍講院), 경선궁(慶善宮(순비 엄씨의 내궁)), 비서원(秘書院), 장례원(掌禮院), 정족산성(鼎足山城), 태백산(太白山), 오대산(五臺山), 적상산성(赤裳山城)에 각 1건씩 分上) 
- 소요 물자 내역
19. 署押 (
- 의궤 제작을 관장한 관원들의 관직과 성, 서명
|  1  | 
 淳妃冊封儀軌目錄
 | 
|  1.1  | 
 時日
 | 
|  1.2  | 
 座目
 | 
|  1.2.1  | 
 辛丑八月初二日
 | 
|  1.2.2  | 
 辛丑八月初三日
 | 
|  1.2.3  | 
 辛丑八月初八日
 | 
|  1.2.4  | 
 同日(辛丑八月初八日)
 | 
|  1.2.5  | 
 同日(辛丑八月初八日)
 | 
|  1.2.6  | 
 辛丑八月二十二日
 | 
|  1.2.7  | 
 辛丑八月二十五日
 | 
|  1.2.8  | 
 同日(辛丑八月二十五日)
 | 
|  1.2.9  | 
 辛丑九月初一日
 | 
|  1.2.1  | 
 同日(辛丑九月初一日)
 | 
|  1.2.2  | 
 同日(辛丑九月初一日)
 | 
|  1.2.3  | 
 庚子八月十三日
 | 
|  1.2.4  | 
 庚子八月初十日
 | 
|  1.2.5  | 
 庚子八月十一日
 | 
|  1.2.6  | 
 庚子八月十二日
 | 
|  1.2.7  | 
 同日(庚子八月十二日)
 | 
|  1.2.8  | 
 同日(庚子八月十二日)
 | 
|  1.2.9  | 
 同日(庚子八月十二日)
 | 
|  1.2.10  | 
 同日(庚子八月十二日)
 | 
|  1.3  | 
 印式
 | 
|  1.3.1  | 
 同日(庚子八月十二日)
 | 
|  1.3.2  | 
 同日(庚子八月十二日)
 | 
|  1.4  | 
 冊妃儀
 | 
|  1.5  | 
 妃受冊儀
 | 
|  1.5.1  | 
 妃 朝見皇帝儀
 | 
|  1.6  | 
 金冊文
 | 
|  1.7  | 
 印式
 | 
|  1.8  | 
 冊印封裹式
 | 
|  1.8.1  | 
 金冊一件
 | 
|  1.8.2  | 
 藉褥一件
 | 
|  1.8.3  | 
 襦袱一件
 | 
|  1.8.4  | 
 結纓子二件
 | 
|  1.8.5  | 
 內樻一部
 | 
|  1.8.6  | 
 鎖鑰匙具一部
 | 
|  1.8.7  | 
 匙家一件
 | 
|  1.8.8  | 
 裌袱一件
 | 
|  1.8.9  | 
 結纓子二件
 | 
|  1.8.10  | 
 外樻一部
 | 
|  1.8.11  | 
 鎖鑰匙具一部
 | 
|  1.8.12  | 
 匙家一件
 | 
|  1.8.13  | 
 裌袱一件
 | 
|  1.8.14  | 
 結纓子二件
 | 
|  1.8.15  | 
 排案床一坐
 | 
|  1.8.16  | 
 覆巾一件 床上所覆
 | 
|  1.8.17  | 
 褥一件
 | 
|  1.8.18  | 
 席一件 床上所排
 | 
|  1.8.19  | 
 床巾一件
 | 
|  1.8.20  | 
 讀冊床一坐
 | 
|  1.8.21  | 
 覆巾一件 床上所覆
 | 
|  1.8.22  | 
 褥一件 床下所排
 | 
|  1.8.23  | 
 席一件 床上所排
 | 
|  1.8.24  | 
 金印一顆
 | 
|  1.8.25  | 
 纓子一件
 | 
|  1.8.26  | 
 襦袱一件
 | 
|  1.8.27  | 
 結纓子二件
 | 
|  1.8.28  | 
 印筒一部
 | 
|  1.8.29  | 
 襦袱一件
 | 
|  1.8.30  | 
 結纓子二件
 | 
|  1.8.31  | 
 印盝一部
 | 
|  1.8.32  | 
 鎖鑰匙具一部
 | 
|  1.8.33  | 
 匙家一件
 | 
|  1.8.34  | 
 大纓子一件
 | 
|  1.8.35  | 
 裌袱一件
 | 
|  1.8.36  | 
 結纓子二件
 | 
|  1.8.37  | 
 護匣一馱
 | 
|  1.8.38  | 
 鎖鑰匙具一部
 | 
|  1.8.39  | 
 匙家一件
 | 
|  1.8.40  | 
 排案床一坐
 | 
|  1.8.41  | 
 覆巾一件 床上所覆
 | 
|  1.8.42  | 
 褥一件 床下所排
 | 
|  1.8.43  | 
 席一件 床上所排
 | 
|  1.8.44  | 
 床巾一件
 | 
|  1.8.45  | 
 讀印床一坐
 | 
|  1.8.46  | 
 覆巾一件 床上所覆
 | 
|  1.8.47  | 
 褥一件 床下所排
 | 
|  1.8.48  | 
 席一件 床上所排
 | 
|  1.8.49  | 
 翟輿一坐
 | 
|  1.8.50  | 
 小轎一坐
 | 
|  1.8.51  | 
 吾仗一雙
 | 
|  1.8.52  | 
 立瓜一雙
 | 
|  1.8.53  | 
 臥瓜一雙
 | 
|  1.8.54  | 
 鳳旗一雙
 | 
|  1.8.55  | 
 金節一雙
 | 
|  1.8.56  | 
 紅繡方扇一雙
 | 
|  1.8.57  | 
 靑繡圓扇一雙
 | 
|  1.8.58  | 
 紅圓繖一雙
 | 
|  1.8.59  | 
 靑方繖一雙
 | 
|  1.8.60  | 
 七鳳蓋一柄
 | 
|  1.8.61  | 
 間抹金銀交椅一坐
 | 
|  1.8.62  | 
 蓋覆袱一件 交椅蓋覆
 | 
|  1.8.63  | 
 席一件 交椅上排
 | 
|  1.8.64  | 
 間抹金銀脚踏一坐
 | 
|  1.8.65  | 
 席一件 脚踏上排
 | 
|  1.8.66  | 
 水甁一坐
 | 
|  1.8.67  | 
 盥槃一坐
 | 
|  1.8.68  | 
 唾壺一坐
 | 
|  1.8.69  | 
 提爐一坐
 | 
|  1.8.70  | 
 香盒一坐
 | 
|  1.8.71  | 
 拂塵一雙
 | 
|  1.8.72  | 
 十長生大屛風 六貼 一坐
 | 
|  1.8.73  | 
 銀交椅一坐
 | 
|  1.8.74  | 
 蓋覆袱一件 交椅蓋覆
 | 
|  1.8.75  | 
 席一件 交椅上排
 | 
|  1.8.76  | 
 銀脚踏一坐
 | 
|  1.8.77  | 
 席一件 脚踏上排
 | 
|  1.8.78  | 
 褥一件 席上排
 | 
|  1.8.79  | 
 黑漆大書案一坐
 | 
|  1.8.80  | 
 蓋覆袱一件
 | 
|  1.8.81  | 
 黑漆爐煙床二坐
 | 
|  1.8.82  | 
 蓋覆二件 床上所覆
 | 
|  1.8.83  | 
 床巾二件 床揮巾
 | 
|  1.8.84  | 
 黑漆香佐兒二坐
 | 
|  1.8.85  | 
 香爐二坐
 | 
|  1.8.86  | 
 香盒二坐
 | 
|  1.8.87  | 
 大燭臺二雙
 | 
|  1.8.88  | 
 小燭臺二雙
 | 
|  1.8.89  | 
 香串之六雙
 | 
|  1.8.90  | 
 上排彩花單席三件
 | 
|  1.8.91  | 
 下排二張付彩花席三件
 | 
|  1.8.92  | 
 官內府主事
 | 
|  1.9  | 
 造作
 | 
|  1.10  | 
 儀仗
 | 
|  1.10.1  | 
 十長生大屛風
 | 
|  1.10.2  | 
 金冊一件造成所入
 | 
|  1.10.3  | 
 藉褥一件所入
 | 
|  1.10.4  | 
 襦袱一件所入
 | 
|  1.10.5  | 
 內樻一部所入
 | 
|  1.10.6  | 
 裌袱一件所入
 | 
|  1.10.7  | 
 外樻一部所入
 | 
|  1.10.8  | 
 裌袱一件所入
 | 
|  1.10.9  | 
 排案床一坐所入
 | 
|  1.10.10  | 
 蓋覆五幅單袱一件所入
 | 
|  1.10.11  | 
 褥席一件所入
 | 
|  1.10.12  | 
 床巾一件所入
 | 
|  1.10.13  | 
 讀冊床一坐所入
 | 
|  1.10.14  | 
 蓋覆三幅袱一件所入
 | 
|  1.10.15  | 
 褥席一件所入
 | 
|  1.10.16  | 
 金印一顆造成所入
 | 
|  1.10.17  | 
 纓子一件所入
 | 
|  1.10.18  | 
 襦袱一件所入
 | 
|  1.10.19  | 
 印筒朱筒各一部 每部所入
 | 
|  1.10.20  | 
 襦袱二件 每件所入
 | 
|  1.10.21  | 
 印盝朱盝各一部 每部所入
 | 
|  1.10.22  | 
 裌袱二件 每件所入
 | 
|  1.10.23  | 
 護匣一馱所入
 | 
|  1.10.24  | 
 擔鞭一部所入
 | 
|  1.10.25  | 
 排案床一坐所入
 | 
|  1.10.26  | 
 蓋覆五幅單袱一件所入
 | 
|  1.10.27  | 
 褥席各一件所入
 | 
|  1.10.28  | 
 床巾一件所入
 | 
|  1.10.29  | 
 讀印床一坐所入
 | 
|  1.10.30  | 
 蓋覆三幅袱一件所入
 | 
|  1.10.31  | 
 褥席一件所入
 | 
|  1.10.32  | 
 內入二件
 | 
|  1.10.33  | 
 金冊文眞書內入二件所入
 | 
|  1.10.34  | 
 印文印本內入二件 每件所入
 | 
|  1.10.35  | 
 冊文印本作貼內入二件 每件所入
 | 
|  1.10.36  | 
 翟輿一坐所入
 | 
|  1.10.37  | 
 無趺交椅一坐所入
 | 
|  1.10.38  | 
 襦座子一件所入
 | 
|  1.10.39  | 
 席座子一件所入
 | 
|  1.10.40  | 
 襦倚子一件所入
 | 
|  1.10.41  | 
 席倚子一件所入
 | 
|  1.10.42  | 
 交椅下排方席一件所入
 | 
|  1.10.43  | 
 小轎一坐所入
 | 
|  1.10.44  | 
 吾仗二柄 每柄所入
 | 
|  1.10.45  | 
 立瓜臥瓜 各二柄 每柄所入
 | 
|  1.10.46  | 
 鳳旗一雙 紅質一隻 黑質一隻 每雙所入
 | 
|  1.10.47  | 
 金節二柄 每柄所入
 | 
|  1.10.48  | 
 紅繡方扇一雙 每隻所入
 | 
|  1.10.49  | 
 靑繡圓扇一雙 每隻所入
 | 
|  1.10.50  | 
 紅圓繖一雙 每隻所入
 | 
|  1.10.51  | 
 靑方繖一雙 每隻所入
 | 
|  1.10.52  | 
 七鳳蓋一柄所入
 | 
|  1.10.53  | 
 間抹金銀交椅一坐所入
 | 
|  1.10.54  | 
 間抹金銀脚踏一坐所入
 | 
|  1.10.55  | 
 水甁一坐所入
 | 
|  1.10.56  | 
 方几一坐所入
 | 
|  1.10.57  | 
 八角盤一坐所入
 | 
|  1.10.58  | 
 盥槃一坐所入
 | 
|  1.10.59  | 
 方几一坐所入
 | 
|  1.10.60  | 
 八角盤一坐所入
 | 
|  1.10.61  | 
 唾壺一坐所入
 | 
|  1.10.62  | 
 方几一坐所入
 | 
|  1.10.63  | 
 八角槃一坐所入
 | 
|  1.10.64  | 
 臺一坐所入
 | 
|  1.10.65  | 
 提爐一坐所入
 | 
|  1.10.66  | 
 方几一坐所入
 | 
|  1.10.67  | 
 八角槃一坐所入
 | 
|  1.10.68  | 
 香盒一坐所入
 | 
|  1.10.69  | 
 方几一坐所入
 | 
|  1.10.70  | 
 八角槃一坐所入
 | 
|  1.10.71  | 
 拂塵一雙每隻所入
 | 
|  1.10.72  | 
 陽繖一柄所入
 | 
|  1.10.73  | 
 繖扇一雙 每隻所入
 | 
|  1.10.74  | 
 十長生大屛風 六貼 一坐所入
 | 
|  1.10.75  | 
 銀交椅一坐所入
 | 
|  1.10.76  | 
 銀脚踏一坐所入
 | 
|  1.10.77  | 
 黑漆大書案一坐所入
 | 
|  1.10.78  | 
 黑漆爐煙床二坐 每坐所入
 | 
|  1.10.79  | 
 黑漆香佐兒二坐 每坐所入
 | 
|  1.10.80  | 
 香爐二坐 每坐所入
 | 
|  1.10.81  | 
 香盒二坐每坐所入
 | 
|  1.10.82  | 
 大燭臺二雙 每雙所入
 | 
|  1.10.83  | 
 小燭臺二雙 每雙所入
 | 
|  1.10.84  | 
 香串之六雙 每隻所入
 | 
|  1.10.85  | 
 上排彩花單席三件 每件所入
 | 
|  1.10.86  | 
 下排二張付彩花席三件 每件所入
 | 
|  1.10.87  | 
 腰轝一部修補所入
 | 
|  1.10.88  | 
 彩轝一部 修補所入
 | 
|  1.10.89  | 
 龍亭一部 修補所入
 | 
|  1.10.90  | 
 香亭一部修補所入
 | 
|  1.10.91  | 
 各差備女伶佩名所入
 | 
|  1.10.92  | 
 陽繖一柄雨備所入
 | 
|  1.10.93  | 
 繖扇一雙 每隻雨備所入
 | 
|  1.10.94  | 
 七鳳蓋一柄 紅圓繖二柄 靑方繖二柄 每柄雨備所入
 | 
|  1.10.95  | 
 紅繡方扇二柄 靑繡圓扇二柄 每柄雨備所入
 | 
|  1.10.96  | 
 金節二柄 鳳旗二柄 每柄雨備所入
 | 
|  1.10.97  | 
 立瓜二柄 臥瓜二柄 每柄雨備所入
 | 
|  1.10.98  | 
 鑄匠所用
 | 
|  1.10.99  | 
 銀匠所用
 | 
|  1.10.100  | 
 寶匠所用
 | 
|  1.10.101  | 
 磨鏡匠所用
 | 
|  1.10.102  | 
 召伊匠所用
 | 
|  1.10.103  | 
 穿穴匠所用
 | 
|  1.10.104  | 
 多繪匠所用
 | 
|  1.10.105  | 
 小木匠所用
 | 
|  1.10.106  | 
 彫刻匠所用
 | 
|  1.10.107  | 
 屛風匠所用
 | 
|  1.10.108  | 
 漆匠所用
 | 
|  1.10.109  | 
 雨傘匠所用
 | 
|  1.10.110  | 
 護匣匠所用
 | 
|  1.10.111  | 
 裹皮匠所用
 | 
|  1.10.112  | 
 磨造匠所用
 | 
|  1.10.113  | 
 茵匠所用
 | 
|  1.10.114  | 
 寶筒匠所用
 | 
|  1.10.115  | 
 付金匠所用
 | 
|  1.10.116  | 
 豆錫匠所用
 | 
|  1.10.117  | 
 弓人所用
 | 
|  1.10.118  | 
 畫員所用
 | 
|  1.10.119  | 
 寫字官所用
 | 
|  1.11  | 
 實入
 | 
|  1.12  | 
 工匠
 | 
|  1.12.1  | 
 辛丑八月二十四日 侍從院 敎坊司 長生殿
 | 
|  1.12.2  | 
 辛丑八月二十九日 侍從院 敎坊司 警部漢城府 差備官 則所帶職衙門
 | 
|  1.12.3  | 
 辛丑九月初三日 侍從院 敎坊司 警部 差備官則所帶職衙門
 | 
|  1.12.4  | 
 錢四萬八千四百二十二兩三錢五分
 | 
|  1.12.5.  | 
 月銀式
 | 
|  1.12.6  | 
 匠料式
 | 
|  1.12.7  | 
 辛丑九月初四日
 | 
|  1.12.8  | 
 同日(辛丑九月初四日)
 | 
|  1.12.9  | 
 同日(辛丑九月初四日)
 | 
|  1.12.10  | 
 堂上郞廳
 | 
|  1.13  | 
 儀軌九件所入
 | 
Original Text
Not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