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산초당
다산초당 | |
---|---|
지정 번호 | 사적 제107호 |
지정일 | 1963년 1월 21일 |
지정 명칭 | 강진 정약용 유적 |
한자 명칭 | 康津 丁若鏞 遺蹟 |
영문 명칭 | Jeong Yak-yong Historic Site, Gangjin |
분류 | 유적건조물 |
건립·제작 | 1958 |
주소 | 전남 강진군 도암면 만덕리 산103-2번지 |
위도 | 34.581733 |
경도 | 126.745075 |
웹사이트 |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3,01070000,36 |
Introduction
조선 후기의 실학자인 다산 정약용(1762∼1836) 선생이 유배되어 11년간 머물면서 많은 책을 저술했던 곳이다.
정약용은 여유당(與猶堂) 등의 여러 호를 가지고 있으며, 천주교 이름으로는 요한(Johan)이라 하였다. 정조의 총애를 한 몸에 받았으며, 유형원과 함께 수원성을 설계하고 거중기 등의 신기재를 이용하여 수원 화성을 쌓기도 했다. 정조가 죽자 신하들의 모함을 받아 투옥되어 유배되었고, 그 후 18년 간의 유배생활 동안 그는 많은 저서를 남겼다. 정약용의 사상은 한국사상의 원형과 직결된다고 할 수 있다.
이 곳에서 11년 동안 머물면서 『목민심서』와 『경세유표』, 『흠흠신서』를 비롯한 500여 권에 달하는 많은 저서를 남겼다. 그리고 이를 총정리한 『여유당전서』는 ‘철학’, ‘법제’, ‘종교’, ‘악경’, ‘의술’, ‘천문’,‘측량’, ‘건축’에 이르기까지 우리나라 장래에 도움이 될 학문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이는 세계적으로도 학술적 연구자료로 평가되고 있다.
옛 초당은 무너져서 1958년 강진의 다산유적보존회가 주선하여 건물이 있던 자리에 지금의 초당을 다시 지은 것이다. 작고 소박한 남향집으로‘다산초당’이라는 현판이 걸려 있다.
초당 뒤 언덕 암석에는 다산이 직접 깎은 ‘정석(丁石)’이라는 글자가 새겨져 있으며, 초당 왼쪽으로 자그마한 연못이 있다. 앞 뜰에는 차를 달였다는 ‘청석’이 있고, 한 켠에는 ‘약천(藥泉)’이라는 약수터가 있어 당시 다산의 유배생활을 짐작하게 한다.[1]
Diagram
Gallery
다산 초당 [2]
천일각[3]
- Dasandongam.jpg
동암[4]
- Dasanseoam.jpg
서암[5]
- Dasanyeonmot.jpg
'연못[6]
- Dasanroots.jpg
오솔길[7]
- Dasanmemorialhall.jpg
다산 기념관[8]
Map
Related Pages
이 문서 | 관계 | 관련 문서 |
---|---|---|
강진 정약용 유적 | 보유 문화재 | |
강진 정약용 유적 | 관련 인물 | |
강진 정약용 유적 | 관련 공간 |
Contributors
- 린지 처음 작성
References
- ↑
- ↑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3,01070000,36 문화재청 홈페이지 문화재검색 강진 정약용 유적]
- ↑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3,01070000,36 문화재청 홈페이지 문화재검색 강진 정약용 유적]
- ↑ 문화재청 홈페이지 문화재검색 강진 정약용 유적
- ↑ 문화재청 홈페이지 문화재검색 강진 정약용 유적
- ↑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3,01070000,36 문화재청 홈페이지 문화재검색 강진 정약용 유적]
- ↑ 문화재청 홈페이지 문화재검색 강진 정약용 유적
- ↑ 문화재청 홈페이지 문화재검색 강진 정약용 유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