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U2025 콘텐츠 제작노트: 욕망하는 여성들
매미/희새 작가의 작품 《마스크걸》, 《위대한 방옥숙》, 《팔이피플》을 중점으로 작가의 작품 세계 이해하기
기획의도
매미/희새 작가는 네이버 웹툰을 통해 《마스크걸》, 《위대한 방옥숙》, 《팔이피플》 등의 작품을 연재하며, 대중성과 작품성을 모두 인정받았다. 특히 《마스크걸》과 《위대한 방옥숙》은 OTT 드라마로 제작되며 하나의 강력한 IP(Intellectual Property)로 자리매김하였다.
이들 작품 세계를 깊이 있게 이해하기 위해 가장 핵심적으로 선행되어야 할 분석 요소는 바로 ‘복수’라는 주제에 대한 통찰이다. 《마스크걸》, 《위대한 방옥숙》, 《팔이피플》 모두 인물 간의 복수를 중심축으로 한 서사를 구성하며, 작가가 꾸준히 반복적으로 다루는 서사 패턴을 보여준다.
작품 속 인물들은 대체로 이기적이고 오만하며, 욕망에 의해 움직이는 캐릭터들이다. 그들은 자신의 분수를 넘어서는 삶을 추구하며, 빠르고 편리한 방식으로 성공하거나 부를 얻으려는 경향을 보인다. 그러나 이러한 시도는 대부분 비윤리적인 선택과 맞물려 타인에게 피해를 입히게 되고, 그 결과 또 다른 인물의 복수로 이어진다.
흥미로운 점은 이러한 복수 구조가 단순히 ‘가해 → 피해 → 복수’의 선형 구조로 끝나지 않고, 복수 → 피해 → 또 다른 복수로 이어지는 연쇄적인 복수의 고리로 반복된다는 것이다. 작가는 이를 작품 전반에 걸쳐 하나의 서사 구조로 패턴화하며, 이 구조는 각기 다른 작품 속에서도 유사하게 반복된다.
따라서 매미/희새 작가의 작품 세계를 분석할 때는 사건 중심의 분석보다 인물 간의 관계와 감정의 변화, 그리고 복수의 동기에 집중하는 것이 중요하다. "왜 복수를 하는가?"보다 "왜 그런 방식으로 복수하는가?", "그 인물은 어떤 경험이나 인물의 영향을 받아 복수를 결심하게 되었는가?"라는 질문이 작가의 핵심 메시지에 더 가까워진다.
이러한 복잡한 감정 구조와 인물 간의 영향 관계를 정교하게 파악하기 위해서는 시멘틱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분석 방법이 효과적이다. 시멘틱 데이터는 인물, 사건, 감정, 관계 등을 유의미하게 연결할 수 있어 복수의 서사를 구성하는 구조적 연결망을 시각화하고 추적하는 데 적합하다.
결론적으로, 매미/희새 작가의 작품 세계를 깊이 있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들이 반복적으로 사용하는 **서사 구조로서의 ‘복수’**를 분석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하며, 그 복수 구조를 분석하기 위한 방법으로 시멘틱 데이터를 활용한 관계 중심의 연구가 효과적인 접근법이 될 것이다.
연구 과정
연구 히스토리
날짜와 기간 | 깨달은 점 | 수정된 점 | 추가한 것 | 질문 | ||||||||||||||||||||||||||||||||||||||||||||||||||||||||||||||||||||||||||||||||||||||||||||||||||||||||||||||||||||||||||||||||||||||||||||||||||||||||||||||||||||||||||||||||||||||||||||||||||||||||||||||||||||||||||||||||||||||||||||||||||||||||||||||||||||||||||||||||||||||||||||||||||||||||||||||||||||||||||||||||||||||||||||||||||||||||||||||||||
---|---|---|---|---|---|---|---|---|---|---|---|---|---|---|---|---|---|---|---|---|---|---|---|---|---|---|---|---|---|---|---|---|---|---|---|---|---|---|---|---|---|---|---|---|---|---|---|---|---|---|---|---|---|---|---|---|---|---|---|---|---|---|---|---|---|---|---|---|---|---|---|---|---|---|---|---|---|---|---|---|---|---|---|---|---|---|---|---|---|---|---|---|---|---|---|---|---|---|---|---|---|---|---|---|---|---|---|---|---|---|---|---|---|---|---|---|---|---|---|---|---|---|---|---|---|---|---|---|---|---|---|---|---|---|---|---|---|---|---|---|---|---|---|---|---|---|---|---|---|---|---|---|---|---|---|---|---|---|---|---|---|---|---|---|---|---|---|---|---|---|---|---|---|---|---|---|---|---|---|---|---|---|---|---|---|---|---|---|---|---|---|---|---|---|---|---|---|---|---|---|---|---|---|---|---|---|---|---|---|---|---|---|---|---|---|---|---|---|---|---|---|---|---|---|---|---|---|---|---|---|---|---|---|---|---|---|---|---|---|---|---|---|---|---|---|---|---|---|---|---|---|---|---|---|---|---|---|---|---|---|---|---|---|---|---|---|---|---|---|---|---|---|---|---|---|---|---|---|---|---|---|---|---|---|---|---|---|---|---|---|---|---|---|---|---|---|---|---|---|---|---|---|---|---|---|---|---|---|---|---|---|---|---|---|---|---|---|---|---|---|---|---|---|---|---|---|---|---|---|---|---|---|---|---|---|---|---|---|---|---|---|---|---|---|---|---|---|---|---|---|---|---|---|---|---|---|---|---|
4월 28일까지 | 본 연구는 처음에 매미/희세 작가의 최신작 《팔이피플》을 중심으로, 복수를 핵심 주제로 얽힌 인물들 간의 관계를 시멘틱 데이터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기획되었다. 작가의 전작 《마스크걸》과 《위대한 방옥숙》이 드라마 및 OTT 플랫폼으로 매체 전환되며 큰 주목을 받았기 때문에 메미/희새 작가는 IP 확장 가능성이 높은 콘텐츠를 제작하는 작가라고 분석했기 때문에 《팔이피플》을 살펴 보는 것과 작가의 작품 세계를 이해 하는것이 IP 확장을 염두할 때 도움이 되는 연구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또, 《팔이피플》은 등장인물 사이의 관계가 복수를 축으로 얽혀 있어 단순 감상만으로는 서사를 온전히 파악하기 어려운 구조를 띤다. 이 복잡성 때문에 작품을 시멘틱 데이터 기반으로 분석해 구조를 시각화하고자 하는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그러나 연구를 실제로 진행하면서 한 가지 중요한 한계에 부딪혔다. 《팔이피플》의 후반부 서사가 구조적으로 불완전하고 인물의 동기나 행위의 설득력이 떨어진다는 점에서, 시멘틱 데이터를 정리하더라도 왜 특정 인물이 특정 행동을 하는지에 대해 충분히 납득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한 것이다. 이로 인해 단일 작품에 대한 분석으로는 안정적이고 깊이 있는 연구 결과를 도출하기 어려운 현실적 어려움이 있었다. | 이에 따라 연구의 방향을 조정하게 되었으며, 단순히 《팔이피플》 한 작품만을 분석하는 것이 아니라, 매미/희세 작가가 구축해온 일관된 서사 구조와 복수 서사의 패턴을 분석 대상으로 확장하였다. 이는 매력적인 IP를 지속적으로 창조해온 작가의 작품 세계를 구조적으로 이해함으로써, 향후 등장할 작품들에 대한 이해와 소비에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 있는 연구가 될 것이다. | 기획의도와 주제, 연구 대상을 수정함. | - | ||||||||||||||||||||||||||||||||||||||||||||||||||||||||||||||||||||||||||||||||||||||||||||||||||||||||||||||||||||||||||||||||||||||||||||||||||||||||||||||||||||||||||||||||||||||||||||||||||||||||||||||||||||||||||||||||||||||||||||||||||||||||||||||||||||||||||||||||||||||||||||||||||||||||||||||||||||||||||||||||||||||||||||||||||||||||||||||||||
5월 13일까지 | Class Theme의 노드를 정리하던 중, 각 작품의 공통된 주제 의식을 정리함. 이를 통해 매미/희세 작가의 작품 세계가 복수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기보다 인간의 추악한 모습과 그에 따른 이해관계 그 자체에 초점이 맞춰져 있음을 발견함. 수기 네트워크그래프를 보니 작품 세계를 나타낸다기보다, 콘텐츠의 사건 중심 줄거리 요약이라는 생각이 들었음. | 연구 방향을 복수에서 인간의 추악한 모습과 이해 관계로 재설정. 작품 세계를 잘 드러내기 위해 Emotion, Theme, Context class를 추가함. | Event 와 구별되는 Action Class를 추가함. Event는 작품 속에서 일어나는 주요 사건(주로 주제와 연결)을 뜻하고, Action은 인물의 행동에 초점이 맞춰진 사건을 말함. 예를 들어, 누명 복수 살인 등. 누명 node와 어울리는 가짜 증거 isFakeEvidenceOf relation을 추가함. | 노드 구성에 대한 고민, 노드를 만들기 위해 자료 조사 방법에 대한 고민, 스토리텔링 전략 고민-기획 의도 단계에서 작가의 작품 세계를 스토리텔링의 대상으로 설정함. 그러나 작가 정보 부족, 데이터 부족으로 내용이 연구를 해보지 않아도 알 수 있을만큼 얄팍해짐. | ||||||||||||||||||||||||||||||||||||||||||||||||||||||||||||||||||||||||||||||||||||||||||||||||||||||||||||||||||||||||||||||||||||||||||||||||||||||||||||||||||||||||||||||||||||||||||||||||||||||||||||||||||||||||||||||||||||||||||||||||||||||||||||||||||||||||||||||||||||||||||||||||||||||||||||||||||||||||||||||||||||||||||||||||||||||||||||||||||
5월 13일까지 | Class Theme의 노드를 정리하던 중, 각 작품의 공통된 주제 의식을 정리함. 이를 통해 매미/희세 작가의 작품 세계가 복수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기보다 인간의 추악한 모습과 그에 따른 이해관계 그 자체에 초점이 맞춰져 있음을 발견함. 수기 네트워크그래프를 보니 작품 세계를 나타낸다기보다, 콘텐츠의 사건 중심 줄거리 요약이라는 생각이 들었음. | 연구 방향을 복수에서 인간의 추악한 모습과 이해 관계로 재설정. 작품 세계를 잘 드러내기 위해 Emotion, Theme, Context class를 추가함. | Event 와 구별되는 Action Class를 추가함. Event는 작품 속에서 일어나는 주요 사건(주로 주제와 연결)을 뜻하고, Action은 인물의 행동에 초점이 맞춰진 사건을 말함. 예를 들어, 누명 복수 살인 등. 누명 node와 어울리는 가짜 증거 isFakeEvidenceOf relation을 추가함. | 노드 구성에 대한 고민, 노드를 만들기 위해 자료 조사 방법에 대한 고민, 스토리텔링 전략 고민-기획 의도 단계에서 작가의 작품 세계를 스토리텔링의 대상으로 설정함. 그러나 작가 정보 부족, 데이터 부족으로 내용이 연구를 해보지 않아도 알 수 있을만큼 얄팍해짐. | ||||||||||||||||||||||||||||||||||||||||||||||||||||||||||||||||||||||||||||||||||||||||||||||||||||||||||||||||||||||||||||||||||||||||||||||||||||||||||||||||||||||||||||||||||||||||||||||||||||||||||||||||||||||||||||||||||||||||||||||||||||||||||||||||||||||||||||||||||||||||||||||||||||||||||||||||||||||||||||||||||||||||||||||||||||||||||||||||||
5월 13일까지 |
방향성 변화/특이 사항 시멘틱 데이터 범위예희와 주연1. 예희와 주연은 주연의 집착과 질투로 인한 애증관계를 가지고 있다. (팔이피플)박주연 (팔이피플)김예희 wantsToBeLike (팔이피플)김예희 예쁨 hasBackgroundIn 예쁨 질투 isRelatedTo (팔이피플)박주연 질투 feel
(팔이피플)김예희 김예희_임신 hasBackground (팔이피플)박주연 김예희_임신소문 leads 김예희_임신소문 김예희_임신 isCausedBy (팔이피플)김예희 분노 feel 분노 (팔이피플)박주연 target 분노 박주연_왕따 leads
(팔이피플)박주연 속물적인 tendToBe (팔이피플)박주연 이기적인 tendToBe (팔이피플)박주연 유혹에_약한 tendToBe (팔이피플)박주연 자존감_낮은 tendToBe (팔이피플)박주연 자격지심_있는 tendToBe (팔이피플)박주연 못생김 hasBackgroundIn (팔이피플)김예희 김예희_누명 victimOfEvent 김예희_투옥 김예희_누명 isCausedBy
(팔이피플)박주연 조종_차미미 leads 조종_차미미 (팔이피플)차미미 target (팔이피플)박주연 조종_살해유도 leads 조종_살해유도 이플로_살해 target 조종_차미미 김예희_누명 isRelatedTo 조종_살해유도 질투 isCausedBy 김예희_누명 (팔이피플)차미미 protect 속물적인 부유함 isCausedBy 속물적인 부유함 isRelatedTo
아직 링크로 만들지 않음 이플로와 차미미1. 이플로와 차미미는 연인이며 이플로는 한물간 아이돌이고 차미미는 재벌 상속녀이지만 사생아다. 차미미는 사생아지만 경제적으로 풍요롭게 자랐다. 폭력적이고 다혈질인 성격이다. (팔이피플)차미미 (팔이피플)이플로 isPartnerOf (팔이피플)차미미 혼외자 hasBackgroundIn 혼외자 음울한 isRelatedTo (팔이피플)차미미 음울한 tendToBe (팔이피플)차미미 자기파괴적인 tendToBe (팔이피플)차미미 자극만을_추구하는 tendToBe (팔이피플)차미미 단순한 tendToBe (팔이피플)차미미 자유로운 tendToBe (팔이피플)차미미 폭력적인 tendToBe
(팔이피플)차미미 차미미_이플로_지원 leads (팔이피플)이플로 차미미_이플로_지원 target 차미미_이플로_지원 부유함 hasBackgroundIn 차미미_이플로_지원 한물간_아이돌 hasBackgroundIn
아직 link로 만들지 않음
(팔이피플)이플로 이플로_바람 leads (팔이피플)이플로 질투 feel 질투 (팔이피플)차미미 target 질투 부유함 isCausedBy 질투 자격지심_있는 isCausedBy 질투 이플로_바람 leads
(팔이피플)차미미 분노 feel 분노 이플로_바람 isCausedBy 분노 이플로_살해 leads 이플로_살해 폭력적인 isRelatedTo 이플로_살해 이플로_바람 isCausedBy (팔이피플)이플로 이플로_살해 victimOfEvent 이플로_살해 차미미저택 isRelatedTo 스토리텔링매미/희새 작가의 작품 세계 고찰-캐릭터분석주연과 예희의 애증 관계주연은 예희를 좋아하면서도 싫어하는 양가감정을 느낀다. 즉, 주연은 예희를 애증한다. 그녀를 우상화 하며 '완전한 선'으로 숭배하면서도 그녀를 은근히 얕보고 망가뜨리고 싶어한다. 이 관계는 이상화/탈이상화, 나르시시즘의 상처와 관계 있으며, 질투와 시기라는 감정과 밀접히 관계가 있다. 이런 감정과 관계는 꾸준히 인기 있어 왔고 문화콘텐츠에서 원형으로 재현되어왔다. 주연의 심리에 집중해 애증이 발생하는 과정을 알아본다. 애증이 발생하는 과정을 심리학 이론을 통해 알아보기1. 이상화(Idealization)와 탈이상화(De-idealization) 이상화: 상대를 나보다 우월한 존재로 보며 ‘그 사람만이 완전하다’고 느끼는 상태 탈이상화: 상대의 허점을 보거나 좌절감을 느끼며 이상화가 깨지는 순간 연인이든 친구든, 친밀한 애착 관계를 가진 인간관계에서 처음엔 열광하다가 곧 실망하고 증오하게 되는 ‘애증 관계’가 만들어진다. 2. 멜라니 클라인의 양가감정 인간은 초기(생후 수개월)부터 어머니(초기 대상)를 사랑하고 미워하는 감정을 동시에 경험하고 이때 아이는 이 두 감정을 통합하지 못해 분열(split) 상태에 빠진다. 3. 하인츠 코헛, 오토 컨버그의 나르시시즘의 상처 주연은 예희의 성공으로 인해 자기애적 자아상이 손상됨“나는 가치 있는 존재여야 하는데, 왜 나보다 예희가 더 인기야?” 이 손상을 복구하기 위해 예희를 파괴하거나 낮춤으로써 자기 가치를 복원하려는 행동을 보임 4. 적용 4-1. 과거 임신 소문 사건의 주연 심리 "예희는 너무 예쁘고 사교성 있어. 그녀는 최고야" →이상화 (Idealization): 예희를 자기보다 우월한 존재로 인식하고 숭배
주연이 브리트니최와 차미미와 함께 누명을 씌워 예희가 감옥에 가게 되고 이후 예희가 석방된다. 주연은 예희가 차미미와 브리트니최와 협력해 자신에게 복수하는 줄 알고 예희가 자존심도 없는 멋없는 인간이 되었다며 실망한다. 주연은 자신에게 복수 준비를 하는 예희에게 복잡한 감정을 느낀다. "난 널 정말 좋아했는데 왜 이러는 거야!" → 양가감정의 폭발: 그녀는 예희를 정말로 좋아했고, 동시에 질투했고, 조종하고 싶었으며, 결국 무너뜨렸음. 그런데 이제 예희가 복수를 준비하고 있다는 사실은 그녀의 '지배적 위치'를 위협하고 있음 “난 널 좋아했는데 왜 날 미워해? 왜 내가 공격당해야 해?”
관계 요약이상화 → 질투 → 조종 → 파괴 겉으로는 친밀, 속으로는 경쟁과 시기 주체와 객체의 역전 (조종하던 자가 조종당함) 양가감정과 자기애의 충돌 "내가 널 좋아했는데 왜 나를 배신해?"라는 왜곡된 감정의 터짐 유사한 문화콘텐츠 속 관계1. 영화 <블랙 스완> (Black Swan, 2010) – 니나 & 릴리 니나는 릴리를 이상화하면서도 시기함. 겉으로는 친구인 척하지만, 무대 위 경쟁 속에서 질투와 자기 파괴로 이어짐.“넌 내가 되길 원하지?”라는 대사 → 투사, 조종, 애증의 복합 감정 2. 고전소설 <폭풍의 언덕>– 캐서린 & 히스클리프 서로에 대한 양가감정이 극대화됨 →“당신은 나의 영혼이고 지옥이야” → 예희와 주연의 애증적 서사와 유사 3. 드라마 <부부의 세계> – 지선우 & 여다경 여다경은 지선우를 이상화하면서도 조종하려 하고, 지선우는 복수를 통해 관계의 위계를 뒤집음. 애증, 우월감과 열등감, 관계 중독 → 주연의 심리와 매우 유사 팔이피플_온톨로지class 구성
relation 구성
node 구성
욕망의_삼각형과_여성_복수_서사_콘텐츠들_온톨로지class와 node 구성
relation 구성
네트워크 그래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