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유산 디지털 큐레이션 기획: 백제역사유적지구

DH 교육용 위키
이예은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5년 5월 22일 (목) 09:36 판

이동: 둘러보기, 검색


기획 의도

기획 배경

백제역사유적지구는 2015년에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타 주요 역사유적지구와 비교해 인지도와 방문율이 매우 낮은 상황입니다. 이는 단순한 홍보 부족 문제를 넘어, 백제의 역사적 가치를 통합적으로 전달하는 디지털 인프라와 체계적인 방문자 경험 설계가 미흡했기 때문입니다. 특히 공주(웅진), 부여(사비), 익산으로 분산된 백제 유적지의 지리적 분절성이 방문객의 통합적 역사 이해를 저해하고 있으며, 각 지역 간 역사적 연계성을 효과적으로 보여주는 디지털 플랫폼이 부재한 상황입니다. 또한, 현대 관광객, 특히 디지털 네이티브 세대의 변화된 콘텐츠 소비 패턴과 몰입형 체험에 대한 수요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어 이러한 문제점을 다각도로 분석하여 효과적인 해결책을 모색했습니다.

콘텐츠 중복 및 분산 문제

최근 2022-2024년의 SNS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백제역사유적지구의 총 언급량(42,200건)은 경주역사유적지구(148,200건)의 약 28.5%에 그치며, 주요 5대 역사유적지구 중 최하위를 기록했습니다. 플랫폼별 분석에서도 백제역사유적지구는 경주역사유적지구 대비 Instagram(26.8%), Twitter/X(35.5%), Facebook(28.0%), YouTube(29.7%), TikTok(22.8%) 등 모든 플랫폼에서 현저히 낮은 인지도를 보이고 있습니다. 특히 Z세대와 MZ세대가 주로 사용하는 TikTok에서 가장 큰 격차를 보여 젊은 방문객 유치에 어려움이 있음을 시사합니다.

SNS 플랫폼별 언급량 비교

콘텐츠 중복 및 분산 문제

백제역사유적지구는 부여(4개), 공주(3개), 익산(2개) 지역에 총 9개의 주요 박물관 및 관련 기관이 분산되어 있습니다. 지역별 검색 키워드 분석 결과, 공주(57.3%), 부여(54.1%), 익산(57.7%) 지역 모두 약 42~46%의 키워드가 중복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각 지역별 고유 키워드(공주: 무령왕릉, 공산성; 부여: 정림사지, 궁남지; 익산: 미륵사지, 왕궁리유적)가 있음에도 "백제문화", "백제역사", "백제유적" 등 중복 키워드가 높은 빈도로 나타나 지역 간 차별화된 콘텐츠 전략이 부족함을 보여줍니다.

지역별 키워드 중복도 분석

디지털 서비스 현황 분석

모바일 앱 현황 분석 결과, 전체 9개 기관 중 5개만 모바일 앱을 보유하고 있으며, 더욱 심각한 문제는 2024년 4월 기준으로 4개 앱(80%)이 1년 이상 업데이트되지 않은 '방치된 앱'으로 분류되었습니다. 나머지 1개 앱도 '업데이트 필요'(6개월~1년) 상태로, '최근 업데이트'(6개월 이내) 상태의 앱은 전무한 실정입니다. 앱 기능 분석 결과, '위치 정보'(80%), '유물 정보'와 '전시 안내'(각 60%)가 대부분의 앱에서 중복 제공되고 있는 반면, '무령왕릉 3D 체험', '미륵사지 AR 복원' 등의 특화 기능은 일부 앱에서만 제공되고 있어 앱 간 차별화가 미흡합니다.

앱 업데이트 현황 분석

방문객 콘텐츠 키워드 분석 결과

방문객들의 SNS, 블로그, 리뷰 등 2차 콘텐츠에 나타난 키워드를 분석한 결과, 백제역사유적지구 방문 경험에 대한 불만족 요인들이 확인되었습니다. 이 분석 자료에 따르면 방문객의 주요 불만 요소는 '관광 연계 정보 부족'(76%), '유적지간 연결성 부족'(72%), '정보 파편화'(68%) 순으로 높게 나타났습니다. 또한 이 분석에서 '통합정보 플랫폼'(4.6/5점)과 '관광 연계 정보'(4.5/5점), '유적지 3D 복원'(4.3/5점)에 대한 니즈가 매우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이는 현재 제공되고 있는 서비스의 만족도와 평균 2.3점의 큰 격차를 보이고 있습니다.

방문객 주요 불만사항 분석

방문객 행동 패턴 분석

방문객의 이동 패턴을 분석한 결과, 대부분(72%)이 하루에 한 지역만 방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공주-부여-익산을 모두 방문하는 관광객은 18%에 불과했습니다. 지역 간 이동 시 대중교통 불편으로 자가용 이용률이 높았으며(82%), 백제문화제 기간에만 지역 간 연계 방문율이 상승(42%)하는 경향을 보였습니다. 이는 지역 간 연계 관광 인프라와 통합 콘텐츠의 부재가 방문객의 연속 관람을 저해하는 요인임을 시사합니다.


기획 목적

본 디지털 큐레이션은 위에서 파악된 문제점들을 해결하고 백제역사유적지구의 가치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가지고 기획되었습니다:

  • 통합적 백제역사 디지털 플랫폼 구축
 ** 금강을 중심축으로 분절된 백제역사유적지구 콘텐츠의 통합적 서사 제공
 ** 공주(웅진), 부여(사비), 익산으로 이어지는 시간적·공간적 흐름의 시맨틱 데이터 기반 재구성
 ** 유적·유물·인물·사건 간의 관계망을 통해 백제 역사의 맥락적 이해 촉진
  • 지역별 차별화된 콘텐츠 전략 수립
 ** 공주(웅진시대): 왕권과 국제교류 중심의 콘텐츠 특화
 ** 부여(사비시대): 백제 황금기의 문화예술 중심 콘텐츠 특화
 ** 익산(무왕시대): 불교문화와 영토확장 중심 콘텐츠 특화
 ** 중복 콘텐츠 최소화 및 지역별 고유 가치 강조
  • 방문객 경험 개선 및 편의성 강화
 ** 방문객 행동 패턴을 고려한 지역 간 연계 관광 경로 제안
 ** 관광 인프라(숙박, 음식, 교통, 쇼핑) 정보와의 통합적 연계
 ** 개인화된 방문 경로 및 관심사 기반 콘텐츠 추천
  • 디지털 기술 기반 몰입형 콘텐츠 개발
 ** AR/VR 기술을 활용한 백제 유적의 실감형 복원 체험
 ** Z세대와 MZ세대를 위한 소셜 미디어 친화적 콘텐츠 제작
 ** 게이미피케이션 요소를 통한 방문 동기 및 체류 시간 증대
  • 국가 정책 연계 및 지역 관광 활성화
 ** 문화재청 '문화재 보존·관리·활용 기본계획'과의 연계
 ** 문화체육관광부 '문화 디지털혁신 기본계획'과의 정합성 확보
 ** 지역 경제 활성화 및 문화관광 생태계 강화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금강을 중심으로 백제의 역사적, 공간적, 문화적 요소를 통합하여 시맨틱 데이터 기반의 디지털 네트워크로 재구성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방문객에게 통합적이고 입체적인 역사 체험을 제공하며, 백제역사유적지구의 인지도와 방문율을 효과적으로 높이고자 합니다.


큐레이션 주제 및 범위

큐레이션 주제: "금강의 시간을 따라 - 백제 삼도(三都)의 디지털 여정"

본 큐레이션은 기존 백제 관련 콘텐츠의 지역별 분절성을 극복하고, 백제 역사의 통합적 서사를 제공하기 위해 기획되었습니다. 백제의 역사적 중심축인 금강을 따라 웅진(공주)-사비(부여)-익산으로 이어지는 주요 역사적 사건과 문화적 변화를 시간적·공간적·문화적으로 연계하여 구성합니다.

큐레이션은 크게 세 가지 핵심 요소로 이루어집니다. 첫 번째, 시간적 여정은 웅진 천도(475년)에서 사비 천도(538년), 무왕 시대의 익산 확장(600-641년)까지의 주요 역사적 흐름을 시간축으로 명확히 제시합니다. 두 번째, 공간적 연결은 금강 유역을 중심으로 공주, 부여, 익산 지역을 디지털 지도상에서 연결하여, 방문객이 시공간을 넘어선 입체적 체험을 할 수 있도록 합니다. 마지막으로 문화적 진화는 각 시대와 지역에서 나타난 백제 문화의 특성과 유물·유적의 관계를 시맨틱 데이터 기반 네트워크로 구성하여 역사적 맥락을 명확하게 전달합니다.

큐레이션 범위

작업 대상 스토리

1. 금강을 중심으로 한 백제역사유적지구 스토리

금강은 전라북도 장수군 뜸봉샘에서 발원하여 군산에서 서해로 흐르는 한반도의 대표적 하천으로, 백제 역사의 중심축이었다. 백제는 웅진(공주)과 사비(부여)에 도읍을 정하며 문화적 전성기를 맞이하였는데, 이 두 도시는 모두 금강을 끼고 발전하였다.

1.1 웅진시대 (475-538): 금강과 공주

웅진 시대(475-538)에 백제는 금강(웅진강)을 자연 해자로 삼아 공산성을 중심으로 왕도를 형성하였다. 무령왕(501-523)은 중국 남조와의 활발한 교류를 통해 왕권을 강화하였으며, 이는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중국제 유물들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백제는 한성에서 웅진(공주)으로, 다시 사비(부여)로 천도하며 발전했다. 475년 고구려의 공격으로 한성이 함락되자 개로왕은 전사하고, 문주왕은 웅진으로 천도하여 금강을 중심으로 새로운 도읍을 건설했다."

1.2 사비시대 (538-660): 금강과 부여

성왕(523-554)은 538년 사비(부여)로 천도하였는데, 이곳에서 금강은 백마강으로 불리며 도시의 경계를 형성하였다.

"백마강은 부여 일대를 흐르는 금강을 부르는 이름이다. 보통 부여읍 정동리의 범바위에서 석성천이 합류하는 지점 사이의 구간을 이른다. 이미 백제 무령왕(501~523년) 대에 금강을 백강(白江)으로 기록했고, 옛말에 마(馬)라는 말이 '크다'는 의미를 담고 있었다는 점에서 '백제에서 가장 큰 강'이라는 의미에서 '백마강'이라고 불렀다."

백마강이 휘감아 흐르는 형태로 자리잡은 사비도성은 왕궁이 있던 관북리유적, 왕실 사찰 정림사지, 그리고 이를 둘러싼 나성으로 구성된 계획도시였다.

1.3 무왕의 익산 경영: 금강 지류와 익산

무왕(600-641) 시대에는 금강 유역을 따라 세력이 익산 지역까지 확장되어 왕궁리유적과 미륵사지가 조성되었다.

"백마강가에 자리한 부여읍 왕포리에는 대왕포라는 포구가 있는데, '왕이 신하들과 함께 이곳에서 어우러져 즐겼다'는 기록을 통해 백제 지배층이 어느 정도 안정을 찾았으며, 백마강변이 왕과 귀족들의 정치·화합의 공간이었음을 알 수 있다."

금강은 백제의 경제적, 문화적 혈맥으로서 중국과 일본을 연결하는 국제 교류의 통로였으며, 그 흔적으로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중국 남조 양식의 유물들과 백제금동대향로 등을 뽑을 수 있다.

1.4 백제의 멸망과 금강의 역할

"백마강은 백제 멸망과 부흥운동의 무대이기도 했다. 황산에서 계백의 결사대를 물리친 김유신과 신라군은 백마강 하구의 기벌포(충청남도 서천군 장항읍 일대)에서 당나라 군대와 합류하여 강을 타고 사비성으로 진격했다. 사비성이 함락되자 웅진에 피신해 있던 의자왕(641~660년)이 사비에 돌아와 항복하면서 백제는 멸망했다."

660년 백제는 나당연합군에 의해 멸망하였지만, 금강 유역에 남겨진 찬란한 문화유산은 현재 '백제역사유적지구'라는 이름으로 세계유산에 등재되어 그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지역별 특성 및 차별화 요소

각 지역의 시대적 특징과 문화적 배경을 디지털 큐레이션 콘텐츠로 차별화하여 방문객들이 지역별 특성과 고유한 가치를 입체적으로 경험할 수 있도록 합니다.

  • 공주(웅진시대): 중국 남조와 활발한 국제 교류를 통해 독특한 왕권 문화를 형성하였으며, 무령왕릉의 독특한 벽돌무덤 양식 등 국제적인 문화적 요소를 강조하여 콘텐츠를 구성합니다.
  • 부여(사비시대): 백제 문화의 황금기였던 사비시대의 고도의 도시계획과 불교 문화의 정점을 이룬 예술적 성취를 중심으로 하여, 도시계획의 정교함과 예술 작품을 강조하는 콘텐츠로 차별화합니다.
  • 익산(무왕시대): 백제 후기 영토 확장과 대규모 사찰 건립을 통한 불교미술의 발전상을 강조하며, 미륵사지의 장대함과 독창적인 불교미술 양식을 중심으로 콘텐츠를 제공합니다.


시맨틱 데이터 구축 계획

백제역사유적지구의 디지털 큐레이션을 위한 시맨틱 데이터 구축은 단순한 정보의 연결을 넘어, 유적·유물·사건·인물·개념 간의 상호 관계를 구조화하고 의미망을 시각화하는 지식기반형 모델 설계를 목표로 합니다. 이 구축은 백제의 역사와 문화를 데이터 기반으로 해석하고, 맥락 기반의 이해를 촉진하는 디지털 인프라를 조성하는 데 초점을 둡니다.

이러한 시맨틱 구조는 문화유산의 물리적 분절성(공주, 부여, 익산)과 정보의 파편화(각 기관별 비일관적 시스템)를 극복하기 위한 전략으로서, 통합된 시공간-문화 데이터 환경을 구현하는 토대가 됩니다. 본 구축 계획의 1단계에 집중하여 설명합니다.

데이터 취득 및 온톨로지 설계

데이터 취득 방법

  • 공식 문화재 데이터: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한국문화정보원 문화재 데이터베이스
  • 국립박물관 연구 자료: 국립공주박물관, 국립부여박물관, 국립익산박물관 소장품 DB
  • 세계유산 등재 관련 자료: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신청서, ICOMOS 평가보고서

참조 온톨로지 분석

  • CIDOC-CRM: 국제박물관협의회 문화유산 표준 모델 (물리적 사물, 인물, 장소, 시대, 사건 등)
  • Dublin Core: 디지털 자원 메타데이터 표준 (제목, 생성자, 날짜, 형식, 언어 등)
  • Europeana EDM: 유럽 문화유산 디지털화 표준 모델
  • EKC: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 온톨로지 (한국 특화 역사·문화 개념체계)

개인적으로 추가 작업을 하고 싶은 계획

계획1: 시맨틱 네트워크 및 RDF 기반 데이터 구축

개별 클래스 간의 상호작용을 RDF 트리플 형태로 정의하여 온톨로지 기반 그래프 데이터 구축

시간적 범위, 공간적 위치, 소장 기관, 문화적 연계성 등을 표현한 시맨틱 트리플로 백제역사유적지구 전체를 구조화

향후 LOD(Linked Open Data) 연계를 위한 명확한 URI 체계 설계

계획2: 사용자 친화적 시각화 및 탐색 인터페이스 기반 개발

시맨틱 네트워크를 시각화 가능한 인터페이스로 구현하여 방문객 및 연구자가 직관적으로 정보 접근 가능하도록 지원

시간축과 공간축을 넘나드는 시맨틱 탐색 인터페이스 제공 (예: 시간별 유물 전개, 인물-사건 상호 연계도)

또한 관광공사나 카카오 등에서 오픈하고 있는 백제역사유적지구API를 통해서 추출한 관광데이터를 활용한 통합형 플랫폼을 개발하여, 관광공사 플랫폼 공모전에 활용


주요 클래스 설계 및 클래스별 주요 노드 예시

핵심 클래스 (Core Class)

클래스 설명 예시 노드
Place 백제의 역사적 중심지 및 지형 공주(웅진), 부여(사비), 익산, 금강, 백마강, 기벌포
Site 각 지역의 주요 유적지 공산성, 정림사지, 미륵사지, 관북리유적, 송산리고분군, 능산리고분군, 나성, 백제역사유적지구
Event 역사상 중요한 전환점 웅진천도(475), 사비천도(538), 황산벌전투(660), 백제멸망(660)
Actor 백제의 왕 및 인물 무령왕, 성왕, 의자왕, 계백, 김유신, 소정방
Object 각 지역 유적에서 출토된 유물 금제관식, 백제금동대향로, 미륵사지 석탑 사리장엄구
표 1. 핵심 클래스(Core Class) 정의

문맥 클래스 (Context Class)

클래스 설명 예시 노드
Institution 지역별 유물 소장 기관 국립공주박물관, 국립부여박물관, 국립익산박물관
Designation 문화유산 지정 명칭 유네스코 세계유산, 국보 제163호, 국보 제287호, 국보 제11호
Document 유물/유적/사건이 언급된 논문 또는 고문헌 삼국사기, 일본서기, 유네스코 등재신청서, 백제 건축문화 논문
WebResource 디지털 기반 해설 자료 백제유적 VR 지도, 백제역사유적지구 DB
Multimedia 3D모델 및 시각자료 무령왕릉 3D모델, 미륵사지 VR, 백제 디지털 투어맵
TimePeriod 각 시대의 역사 구분 웅진시대(475–538), 사비시대(538–660)
표 2. 문맥 클래스(Context Class) 정의

관계 클래스 (Relation Class)

Domain Range Relation Description 표준출처
Place site linkedWith 명칭이나 지리적으로 연관된 공간 간 연결 표시 EKC
Place Institution hasRouteTo 특정 장소에서 관람 가능한 기관 또는 관람 루트 연결 EKC
Site Place locatedAlong 유적지가 특정 지형(강, 산 등)을 따라 분포함 EKC
Actor Event participatedIn 인물이 역사적 사건에 참여했음을 명시 EKC
Object Site wasDiscoveredAt 유물이 발굴된 유적지의 위치 명시 EKC
Object Institution isPreservedAt 유물의 현재 보관 장소나 관리 기관 표시 EKC
Actor Place ruledAt 인물이 특정 도시나 지역을 통치한 장소 정보 CIDOC CRM
Event Place occurredAt 사건이 발생한 장소를 명시 CIDOC CRM
Site Designation hasDesignation 유적지가 세계유산 또는 국가문화재 등으로 지정됨 EDM
Document Site/Object/Event mentionedIn 문헌이나 논문에서 특정 유적, 유물, 사건을 언급함 EDM
WebResource Document documents 웹 리소스가 논문이나 문헌의 내용을 설명 또는 인용 EDM
표 3. 온톨로지 관계어(Relation) 정의

네트워크 온톨로지 초안


#Project
h1 백제역사유적지구: 금강을 따라 흐르는 고대 왕도

#Class
Place         gold     circle
Site          yellow   hexagon
Object        blue     box
Actor         red      ellipse
Event         black    diamond
Institution   gray     ellipse
Designation   pink     star
TimePeriod    orange   ellipse
Symbol           lightblue  box
Ideology         violet     box
Function         teal       box
CulturalTrait    coral      box
Geography        khaki      box

#Nodes
공주_웅진        Place        공주_웅진
부여_사비        Place        부여_사비
익산            Place        익산
금강            Place        금강
백마강          Place        백마강

웅진시대         TimePeriod   웅진시대
사비시대         TimePeriod   사비시대

무령왕          Actor        무령왕
성왕            Actor        성왕
무왕            Actor        무왕

공산성          Site         공산성
송산리고분군      Site         송산리고분군
정림사지         Site         정림사지
관북리유적       Site         관북리유적
미륵사지         Site         미륵사지
왕궁리유적       Site         왕궁리유적
능산리고분군      Site         능산리고분군

금제관식         Object       금제관식
백제금동대향로     Object       백제금동대향로
미륵사지_사리장엄구 Object    미륵사지_사리장엄구
미륵사지_석탑 Object    미륵사지_석탑
무령왕릉지석      Object    무령왕릉지석 

국립공주박물관     Institution  국립공주박물관
국립부여박물관     Institution  국립부여박물관
국립익산박물관     Institution  국립익산박물관

웅진천도         Event        웅진천도
사비천도         Event        사비천도

유네스코세계유산   Designation  유네스코세계유산
국보_163호        Designation  국보_163호
국보_287호        Designation  국보_287호
국보_11호         Designation  국보_11호

왕권강화         Symbol        왕권강화
왕실상징         Symbol        왕실상징
왕실묘역         Symbol        왕실묘역

불교국토사상     Ideology      불교국토사상
불교문화중흥     Ideology      불교문화중흥
국토통일의지     Ideology      국토통일의지
후기백제전략     Ideology      후기백제전략

수도이전계획     Function      수도이전계획
불탑중심계획도시 Function      불탑중심계획도시
도시계획유산     Function      도시계획유산
방어체계         Function      방어체계

불교문화         CulturalTrait 불교문화
건축기술         CulturalTrait 건축기술
불교건축         CulturalTrait 불교건축
목탑양식         CulturalTrait 목탑양식
신선사상         CulturalTrait 신선사상

산지입지         Geography     산지입지
내륙거점도시     Geography     내륙거점도시
고대중국양식     Geography     고대중국양식
내포문화권       Geography     내포문화권
국제교류         Geography     국제교류
교역항구         Geography     교역항구
백제의개방성     Geography     백제의개방성

#Relation
linkedWith         ~와_연결된다         arrow
hasRouteTo         ~로_향하는_경로가_있다 arrow
locatedAlong       ~을_따라_위치한다     arrow
participatedIn     ~에_참여했다         arrow
wasDiscoveredAt    ~에서_출토되었다     arrow
isPreservedAt      ~에_소장되어있다     arrow
ruledAt            ~을_통치했다         arrow
occurredAt         ~에서_일어났다       arrow
hasDesignation     ~으로_지정되었다     arrow
resultedIn         ~을_초래했다         arrow
issameas         ~와_같은_의미이다         arrow

#Links
금강          공주_웅진            linkedWith
백마강        부여_사비            linkedWith
금강          익산                linkedWith
금강        백마강                issameas

공주_웅진      웅진시대             ruledAt
무령왕        웅진시대             ruledAt
금제관식       송산리고분군           wasDiscoveredAt
금제관식       국립공주박물관         isPreservedAt
무령왕릉지석       국립공주박물관         isPreservedAt
공산성        유네스코세계유산       hasDesignation
송산리고분군    유네스코세계유산       hasDesignation
국립공주박물관  공주_웅진             linkedWith
공산성         웅진천도              participatedIn
무령왕         웅진천도              participatedIn
웅진천도       공주_웅진             occurredAt
공주_웅진      산지입지              linkedWith
공주_웅진      내포문화권            linkedWith
금제관식       왕권강화              participatedIn
무령왕         왕권강화              participatedIn
공산성         방어체계              participatedIn
송산리고분군    왕실묘역              participatedIn
금제관식       왕실상징              participatedIn
무령왕         왕실상징              participatedIn
무령왕릉지석 국보_163호           hasDesignation

부여_사비      사비시대             ruledAt
성왕          사비시대             ruledAt
백제금동대향로   능산리고분군           wasDiscoveredAt
백제금동대향로   국립부여박물관         isPreservedAt
정림사지       유네스코세계유산       hasDesignation
관북리유적     유네스코세계유산       hasDesignation
능산리고분군    유네스코세계유산       hasDesignation
국립부여박물관  부여_사비             linkedWith
정림사지       사비천도              participatedIn
성왕           사비천도              participatedIn
사비천도        부여_사비             occurredAt
백제금동대향로   불교문화              participatedIn
정림사지        불교문화              participatedIn
관북리유적      건축기술              participatedIn
사비천도        불교문화중흥           resultedIn
정림사지        불교문화중흥           participatedIn
정림사지        불교건축              participatedIn
정림사지        목탑양식              participatedIn
정림사지        고대중국양식          linkedWith
백제금동대향로   신선사상              participatedIn
부여_사비       국제교류              linkedWith
부여_사비       교역항구              linkedWith
부여_사비       백제의개방성          linkedWith
백제금동대향로 국보_287호           hasDesignation

익산          사비시대             ruledAt
무왕          사비시대             ruledAt
미륵사지_사리장엄구 미륵사지            wasDiscoveredAt
미륵사지_사리장엄구 국립익산박물관       isPreservedAt
미륵사지       유네스코세계유산       hasDesignation
왕궁리유적     유네스코세계유산       hasDesignation
국립익산박물관  익산                 linkedWith
익산            불교국토사상          participatedIn
미륵사지        불교국토사상          participatedIn
무왕            국토통일의지          participatedIn
미륵사지        불탑중심계획도시      participatedIn
익산            도시계획유산          linkedWith
익산            내륙거점도시          linkedWith
미륵사지_사리장엄구 불교문화            participatedIn
미륵사지        불교문화              participatedIn
무왕            불교문화              participatedIn
미륵사지_석탑 국보_11호           hasDesignation
미륵사지_석탑 미륵사지           locatedAlong

왕실상징        왕권강화             linkedWith
방어체계        왕권강화             linkedWith
불교건축        불교문화             linkedWith
불교국토사상     불교문화             linkedWith
목탑양식        건축기술             linkedWith
수도이전계획     후기백제전략         linkedWith
도시계획유산     후기백제전략         linkedWith

#End



참고문헌

  • 문화재청 (2024). 《백제역사유적지구 세계유산 등재 백서》. 대전: 문화재청.
  • 국립공주박물관 (2023). 《무령왕릉 발굴 50주년 기념 특별전: 황금의 나라, 백제》. 공주: 국립공주박물관.
  • 국립부여박물관 (2022). 《백제금동대향로와 사비시대 백제문화》. 부여: 국립부여박물관.
  • 국립익산박물관 (2023). 《미륵사지 석탑 보수정비 백서》. 익산: 국립익산박물관.

웹사이트

온톨로지 참조 표준

  • CIDOC Conceptual Reference Model (CIDOC-CRM) Version 7.2.1 (2021)
  • Dublin Core Metadata Initiative (DCMI) (2020)
  • Europeana Data Model (EDM) (2023)
  • Encyclopedic Knowledge Center (EKC) 한국학중앙연구원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