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장생 KU"의 두 판 사이의 차이
(→Meta Data) |
잔글 (판 1개) |
||
(같은 사용자에 의한 하나의 중간 편집이 숨겨짐)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Meta Data == | == Meta Data == | ||
− | * 타입 : 인물 | + | * 타입: 인물 |
− | * 한글항목명 : 김장생 | + | * 한글항목명: 김장생 |
− | * 한자항목명 : 金長生 | + | * 한자항목명: 金長生 |
− | * 편자 : [[ | + | * 영문항목명: Kim Jang-Saeng |
+ | * 생년: 1548 | ||
+ | * 몰년: 1631 | ||
+ | * 편자: [[돈암서원팀 KU|돈암서원팀]] [[김범수 KU|김범수]], [[201410308성민영 | 201410308 성민영]], [[201410311신이슬 | 201410311 신이슬]], [[필암서원 KU|필암서원]] [[201313086 김원주]] | ||
+ | ---- | ||
− | == | + | == 설명 == |
− | * | + | * [[이이 KU|이이]], [[김계휘 KU|김계휘]], [[김집 KU|김집]] |
− | * | + | * [[기호학파 KU|기호학파]], [[예학 KU|예학(禮學)]] |
− | + | * [[가례집람 KU|가례집람]], [[상례비요 KU|상례비요]], [[사계전서 KU|사계전서]] | |
− | + | * [[서인 KU|서인]]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File:jang_saeng.jpg|300px]] | |
− | [ | + | |
+ | 김장생(金長生, 1548년 7월 8일 한성 ~ 1631년 8월 3일 충청도 논산)은 [[조선 KU|조선]]의 유학자, 정치인, 문신이다. [[동방 18현 KU|동방 18현]] 중의 한 사람이며, 자(字)는 희원(希元), 호는 사계(沙溪), 본관은 광산이다. 아버지는 사헌부 대사헌 [[김계휘 KU|김계휘(金繼輝)]]이다. | ||
+ | |||
+ | 처음에 [[송익필 KU|구봉 송익필]]에게 [[예학 KU|예학]]을 배우고 후에 [[이이 KU|율곡 이이]]에게 [[성리학 KU|성리학]]을 배워 예학파 유학의 거두가 되었으며, 그 뒤 [[성혼 KU|우계 성혼]]의 문하에도 출입하여 수학하였다. | ||
+ | |||
+ | 1578년(선조 11년) 학행(學行)으로 천거받아 관직에 올라 창릉참봉, 돈령부참봉 등을 지낸 뒤 순릉참봉(順陵參奉), 평시서봉사(平市署奉事)를 지낸 뒤 관직에서 물러나 송익필의 문하와 성혼의 문하를 출입하며 학문을 연마하였다. 이후 활인서별제(活人署別提)·사포서(司圃署)·사옹원(司饔院) 봉사가 내렸으나 모두 병으로 나가지 않았다. | ||
+ | |||
+ | 정여립의 옥사 등으로 은퇴하였고 [[임진왜란 KU|임진왜란]] 때는 호조정랑으로 군량미 조달에 노력하였다. 그 뒤 전란이 종결되자 단양군수,남양부사(南陽府使), 양근군수(楊根郡守), 안성군수, 익산군수, 철원부사 등의 지방관을 지내며 선정을 베풀었다. [[인조 KU|인조]] 때는 호조참판과 형조참판을 지낸 뒤 가의대부 행용양위부호군에 이르렀으며, 관직에서 물러나 학문 연구와 후학 양성에 전념하였다. | ||
+ | |||
+ | [[인조반정 KU|인조반정]] 이후로는 서인 산림파(산당) 영수로 공신 세력에 대항하여 영향력을 발휘하였다. 송익필과 [[이이 KU|이이]], [[성혼 KU|성혼]] 등의 제자이자 계승자로 [[기호학파 KU|기호학파]]를 형성, 확장하는데 기여하였고, 예학에 정통하였다. [[김집 KU|김집]], [[송시열 KU|송시열]] 등을 길러냈다. 사후 이조판서에 증직되었다가 다시 의정부영의정에 추증되었다. 시호는 문원(文元). | ||
+ | |||
+ | 1548(명종 3)∼1631(인조 9). 조선 중기의 학자·문신. | ||
+ | |||
+ | ==참조항목== | ||
+ | [[문묘 KU|문묘]] | ||
[[분류:서원 KU]] | [[분류:서원 KU]] |
2017년 3월 5일 (일) 08:41 기준 최신판
Meta Data
- 타입: 인물
- 한글항목명: 김장생
- 한자항목명: 金長生
- 영문항목명: Kim Jang-Saeng
- 생년: 1548
- 몰년: 1631
- 편자: 돈암서원팀 김범수, 201410308 성민영, 201410311 신이슬, 필암서원 201313086 김원주
설명
김장생(金長生, 1548년 7월 8일 한성 ~ 1631년 8월 3일 충청도 논산)은 조선의 유학자, 정치인, 문신이다. 동방 18현 중의 한 사람이며, 자(字)는 희원(希元), 호는 사계(沙溪), 본관은 광산이다. 아버지는 사헌부 대사헌 김계휘(金繼輝)이다.
처음에 구봉 송익필에게 예학을 배우고 후에 율곡 이이에게 성리학을 배워 예학파 유학의 거두가 되었으며, 그 뒤 우계 성혼의 문하에도 출입하여 수학하였다.
1578년(선조 11년) 학행(學行)으로 천거받아 관직에 올라 창릉참봉, 돈령부참봉 등을 지낸 뒤 순릉참봉(順陵參奉), 평시서봉사(平市署奉事)를 지낸 뒤 관직에서 물러나 송익필의 문하와 성혼의 문하를 출입하며 학문을 연마하였다. 이후 활인서별제(活人署別提)·사포서(司圃署)·사옹원(司饔院) 봉사가 내렸으나 모두 병으로 나가지 않았다.
정여립의 옥사 등으로 은퇴하였고 임진왜란 때는 호조정랑으로 군량미 조달에 노력하였다. 그 뒤 전란이 종결되자 단양군수,남양부사(南陽府使), 양근군수(楊根郡守), 안성군수, 익산군수, 철원부사 등의 지방관을 지내며 선정을 베풀었다. 인조 때는 호조참판과 형조참판을 지낸 뒤 가의대부 행용양위부호군에 이르렀으며, 관직에서 물러나 학문 연구와 후학 양성에 전념하였다.
인조반정 이후로는 서인 산림파(산당) 영수로 공신 세력에 대항하여 영향력을 발휘하였다. 송익필과 이이, 성혼 등의 제자이자 계승자로 기호학파를 형성, 확장하는데 기여하였고, 예학에 정통하였다. 김집, 송시열 등을 길러냈다. 사후 이조판서에 증직되었다가 다시 의정부영의정에 추증되었다. 시호는 문원(文元).
1548(명종 3)∼1631(인조 9). 조선 중기의 학자·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