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은혜의 아차산성"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신은혜 작성 기사 목록)  | 
				|||
| 10번째 줄: | 10번째 줄: | ||
**[[평원왕]]  | **[[평원왕]]  | ||
| − | + | *'''유적'''  | |
| − | *[[온달산성]]  | + | **[[온달산성]]  | 
| − | + | *'''기록'''  | |
| − | *[[온달전]]  | + | **[[온달전]]  | 
| − | + | *'''설화'''  | |
| − | *[[온달 설화]]  | + | **[[온달 설화]]  | 
| − | *[[발복설화]]  | + | **[[발복설화]]  | 
| − | + | *'''콘텐츠'''  | |
| − | *[[온달 문학]]  | + | **[[온달 문학]]  | 
| − | *[[온달 콘텐츠]]  | + | **[[온달 콘텐츠]]  | 
| − | *[[온달성재밟기]]  | + | **[[온달성재밟기]]  | 
| − | *[[단양군 온달문화축제]]  | + | **[[단양군 온달문화축제]]  | 
| − | + | *'''캐릭터'''  | |
| − | *[[광이 진이]]  | + | **[[광이 진이]]  | 
| − | + | *'''장소'''  | |
| − | *[[고구려 대장간 마을]]  | + | **[[고구려 대장간 마을]]  | 
== 클래스 구성 ==  | == 클래스 구성 ==  | ||
2016년 6월 26일 (일) 16:22 판
신은혜의 아차산성 지식 네트워크
신은혜 작성 기사 목록
- 유적
 
- 기록
 
- 콘텐츠
 
- 캐릭터
 
- 장소
 
클래스 구성
-  장소
- 행정구역에서 일정한 영역을 가진 소규모 지역까지를 의미함
 - 건물단위의 명칭은 장소에서 제외함
 - 시간에 따른 장소명의 명칭과 영역의 변화는 반영하지 않음
 - 장소 성격에 따른 상세 구별은 하지 않음.
 
 
예) 구리시, 아차산
-  시대
- 왕조 중심으로 구분함, 국가의 영토성보다는 시간성에 초점을 맞춤
 
 
예) 신라 시대, 백제 시대
-  기록
- 문자, 도상, 영상 등의 기록물을 의미함
 - 고문서 및 고지도를 모두 포괄함
 - 문헌에 표기된 글자 그대로 입력하고, 대표명과의 이명 처리
 
 
예) 신증동국여지승람, 대동여지도
-  인물
- 개별인물이나 집단명을 동시에 지칭함
 - 인물의 성격을 따로 구별하지 않음
 
 
예) 책계왕, 진평왕, 온달
-  유적
- 고고학적 유적을 의미
 - 선사시기부터 지금까지의 모든 유적을 망라함
 
 
예) 건원릉, 구리 사노동 청동기유적
-  사건
- 시공간적인 교차지점에 발생하는 이벤트
 - 사건의 유형은 따로 구별하지 않음
 
 
예)구리 갈매동 도당굿
-  개념
- 정신적인 형태의 객체
 - 유형분류
 - 법, 제도, 문화
 
 
예) 현문식문지, 예부(禮部)
-  사물
- 물질적인 형태의 객체
 
 
예) 아차산성시문
릴레이션 구성
-  보편 관계
- A는_B의_이명이다
 - A는_B형식이다
 
 
- 인물 관계
- A는_B의_남편이다
 - A는_B의_딸이다
 - A는_B의_부인이다
 - A는_B의_사위이다
 - A는_B의_아들이다
 - A는_B의_어머니다
 - A는_B의_작은아버지이다
 
 
- 공간 관계
- A는_B를_지나간다
 - A는_B에_걸쳐있다
 - A는_B의_고개이다
 - A는_B의_산맥에_있다
 - A는_B에서_발원하다
 - A는_B의_주변에_있다
 - A는_B의_지류이다
 - A는_B의_지맥이다
 - A는_B의_하위행정구역이다
 - A는_B로_비정된다
 - A는_B에서_합류한다
 - A는_B에_있다
 - A는_B에_속했었다
 - A는_B에_속한다
 
 
-  사건 관계
- A는_B시대에_만들어졌다
 - A는_B와_전투를했다
 - A는_B를_설치했다
 - A는_B를_발굴했다
 - A는_B에서_전투하다
 - A는_B에서_행해진다
 - A는_B를_보수했다
 - A는_B를_수축했다
 - A가_B를_만들었다
 
 
-  기록 관계
- A는_B에_기록되어_있다
 
 
-  시간 관계
- A는_B시대의_왕이다
 - A는_B연호를_사용한다
 
 
온톨로지 설계 주안점
-  설계 주안점
- 장소를 중심으로 연계되는 관계의 교차점을 파악
 - 공간의 절대 좌표 정보 없이 텍스트 만으로 파악 가능한 공간 인지 정도 파악
 
 
작업의 한계
-  Class와 Relation에 Atribute를 설정하지 않아서 발생하는 문제
- Class의 상세 분류를 반영하지 못함
 - Relation의 동사군이 매우 상세해짐
 
 
- 예)행정구역인지 산인지 강인지 - 예)A는 B를 만들다 / 증축하다 / 보수하다 / 복원하다
-  Class의 Attribute가 적당한지 새로운 노드의 연결성이 적절한지
- 인물과 시대를 Node로 구별할지 인물의 속성으로 시대를 넣을지
 
 
-  장소의 시간성을 동시에 설정하지 못하는 문제
- 행정구역 소속 및 변화 문제
 
 
- 예) 조선시대 행정구역 중심인지, 현재 행정구역중심인지
-  장소의 상대적 위치 표현 문제
- 네트워크 만으로는 상대적인 위치도, 순서도 표현하지 못함
 
 
- 예) 산맥 순서 등
-  시각화 방법 개선 필요
- 색깔이 아닌 선의 두께로 링크 조정 필요
 - Node의 크기가 글자가 아니라 중요도에 따라서 조정할 필요있음.
 
 
개선 방안
- gis 솔루션과의 연계방안
 - 건물/장소 들의 공간 재활용성
 -  지명의 역사지리적 변화
- 풍양천 -> 양주의 역사지리
 - 풍양조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