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차산성 연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7번째 줄: 7번째 줄:
 
}}
 
}}
 
==개관==
 
==개관==
[[아차산성]] 내부 시설물([[아차산성 장대지]], [[아차산성 대형초석건물지]], [[아차산성 원형수혈유구]], [[아차산성 우물지]] 등) 중 하나로, 성 내부 북서쪽 기단건물지가 조사된 평탄면의 남서쪽에서 조사되었다. 연지의 평면은 말각방형 또는 타원형으로 추정되는데, 시굴을 통해 일부만 조사되었다.  
+
[[아차산성]] 내부 시설물([[아차산성 남문지 배수시설]], [[아차산성 대형초석건물지]], [[아차산성 온돌 건물지]], [[아차산성 원형수혈유구]], [[아차산성 장대지]], [[아차산성 우물지]] 등) 중 하나로, 성 내부 북서쪽 기단건물지가 조사된 평탄면의 남서쪽에서 조사되었다. 연지의 평면은 말각방형 또는 타원형으로 추정되는데, 시굴을 통해 일부만 조사되었다.  
  
 
연지는 암반을 굴토한 후 그 내부에 석축을 쌓아 만들었는데, 암반을 굴토한 규모는 폭 12m, 깊이는 5m 가량 된다. 연지의 바닥과 벽에는 뻘을 채워 방수처리를 하였으며, 그 외곽에는 다듬어진 돌을 쌓아올렸다. 제일 바닥 쪽은 7단의 석재를 쌓았으며, 다시 30cm 가량 밖으로 물려서 다음 단을 쌓아올렸다. 각 단의 높이는 1~1.3m이며, 연지 상부까지는 5개의 단을 쌓았던 것으로 보인다. 연지 내부의 규모는 바닥면이 5.28m, 상부는 7.4m이다.<ref>출처: 최종택, 「아차산성에 대한 고고학적 조사 성과와 과제」, 『사총』, 제 81집, 2014, 23쪽.</ref>   
 
연지는 암반을 굴토한 후 그 내부에 석축을 쌓아 만들었는데, 암반을 굴토한 규모는 폭 12m, 깊이는 5m 가량 된다. 연지의 바닥과 벽에는 뻘을 채워 방수처리를 하였으며, 그 외곽에는 다듬어진 돌을 쌓아올렸다. 제일 바닥 쪽은 7단의 석재를 쌓았으며, 다시 30cm 가량 밖으로 물려서 다음 단을 쌓아올렸다. 각 단의 높이는 1~1.3m이며, 연지 상부까지는 5개의 단을 쌓았던 것으로 보인다. 연지 내부의 규모는 바닥면이 5.28m, 상부는 7.4m이다.<ref>출처: 최종택, 「아차산성에 대한 고고학적 조사 성과와 과제」, 『사총』, 제 81집, 2014, 23쪽.</ref>   

2016년 6월 9일 (목) 17:38 판

개관

아차산성 내부 시설물(아차산성 남문지 배수시설, 아차산성 대형초석건물지, 아차산성 온돌 건물지, 아차산성 원형수혈유구, 아차산성 장대지, 아차산성 우물지 등) 중 하나로, 성 내부 북서쪽 기단건물지가 조사된 평탄면의 남서쪽에서 조사되었다. 연지의 평면은 말각방형 또는 타원형으로 추정되는데, 시굴을 통해 일부만 조사되었다.

연지는 암반을 굴토한 후 그 내부에 석축을 쌓아 만들었는데, 암반을 굴토한 규모는 폭 12m, 깊이는 5m 가량 된다. 연지의 바닥과 벽에는 뻘을 채워 방수처리를 하였으며, 그 외곽에는 다듬어진 돌을 쌓아올렸다. 제일 바닥 쪽은 7단의 석재를 쌓았으며, 다시 30cm 가량 밖으로 물려서 다음 단을 쌓아올렸다. 각 단의 높이는 1~1.3m이며, 연지 상부까지는 5개의 단을 쌓았던 것으로 보인다. 연지 내부의 규모는 바닥면이 5.28m, 상부는 7.4m이다.[2]

유물은 그리 많은 양은 아니지만 토기편과 기와편이 뻘흙층을 제외한 1-5 층에서 출토되고 있다. 연못 내부에서 목제품과 같은 유물이 남아 있을 것으로 기대하였으나 조사에서는 발견할 수 없었다.[3]

지도

아차산성 연지아차산성 우물지아차산성 동문지아차산성 장대지아차산성 남문지 배수시설아차산성 대형초석건물지아차산성 원형수혈유구아차산성 온돌 건물지
*빨간색 동그라미를 누르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4]















클래스

  • 유적

관련 문서

이 문서 관계 관련 문서
아차산성 연지 A는 B에 있다 아차산
아차산성 연지 A는 B에 속한다 아차산성
아차산성 연지 A는 B의 근처에 있다 아차산성 우물지
아차산성 연지 A는 B의 근처에 있다 아차산성 서문지
아차산성 연지 A는 B의 근처에 있다 아차산성 대형초석건물지
아차산성 연지 A는 B에서 조사되었다 서울대학교 박물관
아차산성 연지 A는 B에서 조사되었다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아차산성 연지 A는 B에서 조사되었다 명지대학교 부설 한국건축문화연구소
아차산성 연지 A에서 B가 행해지다 아차산성 시발굴조사

갤러리

B지구 연지 평면도, 단면도 및 입면도[5]










주석

  1. 이동 아래 사진출처: 임효재 외, 『아차산성 시굴조사보고서』, 서울대학교박물관・광진구, 2000, 285쪽.
  2. 이동 출처: 최종택, 「아차산성에 대한 고고학적 조사 성과와 과제」, 『사총』, 제 81집, 2014, 23쪽.
  3. 이동 출처: 임효재 외, 앞의 책 2000a, 78쪽.
  4. 이동 그림출처: 최종택, 앞의 책, 2014a, 15쪽.
  5. 이동 그림출처: 최종택, 앞의 책 2014a, 81쪽.

기여